ACR

1 Advanced Combat Rifle

1980년대에 미군이 진행했던 차기소총 개발 프로그램이다. 베트남전때부터 닳도록 굴린 M16의 후계자를 찾기위해 1986년 3억 달러를 투자해 사업을 시작하였다. 급박한 전투상황에서 300~600m 사이에 있는 인간 크기의 표적에 대해 M16A2와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명중률을 보이는 소총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참가한 기업은 AAI Corporation, Ares Incorporated, Colt's Manufacturing Company, Heckler & Koch, McDonnell Douglas Helicopter Systems, Steyr Mannlicher의 총 여섯 회사였다. 이 중 Ares와 맥도넬 더글라스 사는 1단계에서 탈락하고, 1989년부터 나머지 4개 회사를 통해 3단계가 진행되었다.

AAI 사의 프로토타입. 플레셰트탄(fléchette)[1]을 쓰며, 분당 1800발의 속도로 3점사를 할 수 있다. 4배율 ACOG 조준경을 장착했다.
길이가 길어서 조준에 도움이 된다 카더라. 이미 나레이터도 망했음을 알고 있다

콜트 사의 프로토타입. 2000년대 이후의 관점에서 볼 때 특별한 점은 2중 탄두 총알외의 나머지 부분은 기존 M16의 단점을 개선한 수준이다.[2] 탄두가 2개인 듀플렉스(Duplex) 총알도 도입했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3]

H&K 사의 G11K2. 독특하게도 탄피가 없는 무탄피 탄환[4]을 쓰고 분당 2000발의 속도로 3점사를 할 수 있다. 또한 탄약이 작고 무게가 가벼워 대량의 탄약을 소지하고 장전할 수 있다. 고정식 2배율 광학 조준경이 장착되어있다.

슈타이어 사의 프로토타입. 불펍식 구성이며 플레셰트탄(fléchette)을 발사하고, 분당 1200발의 속도로 3점사를 할 수 있다. 탄창 용량은 24발. 2배율 광학 조준경이 달려있다. 여담으로 에반게리온에 나오는 팔레트 라이플은 이 총과 매우 흡사하게 생겼다.

최종적으로는 G11이 사실상 경쟁의 우승자였지만, 결국 ACR 계획 자체가 취소되면서 같이 흑역사가 되고 말았다.(...) 새로운 탄과 소총들은 기존의 5.56mm7.62mm 탄을 쓰는 소총들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고, 소총 개발에 들인 돈과 새로운 탄의 생산에 소모되는 비용을 고려했을 때 비현실적인 방안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5] 획기적인 새로운 추진 방법이 나오지 않는 한, 현재로써는 화약을 쓰는 개인화기의 화력은 거기서 거기인 것으로 결론이 나버린 것. 결국 미군은 다 때려치우고 21세기에도 M16 계열의 소총을 쓰고 있다.(...) 아직도 M2 중기관총을 굴리는 미군인데 새삼스러울 것도 없잖아?

결국 이에 대한 반동으로, 새로운 탄약보다는 정밀 조준이 가능한 유탄을 통한 화력 증대에 촛점을 맞춘 OICW 개발 계획으로 이어진다. 물론 이 구상도 실패했지만, 정해진 거리에서 폭발하는 스마트 유탄이라는 개념은 XM307 OCSW, XM25K11 복합소총으로 이어지고, 그 중에서 XM25와 K11은 실용화에 가장 근접하였다.

또한 OICW를 개발할 당시 시도되었던 총 자체의 강화나 탄약의 개량보다는 총을 보조할 광학장비를 강화하는 쪽이 효과적이라는 발상 자체는 어떻게 하면 그 발상을 좀 더 저렴하게(...) 써먹을 수 있을 지를 검토하면서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AR-15 파생형이나 여러 차기 신형 돌격소총을 보면 작동 구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피카티니 레일이 기본으로 장착된채 생산되면서 보편화되고 소총용 광학장비가 비약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등의 변화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콜트사의 듀플렉스 탄처럼 총알이 두개로 분리된다는 발상 자체는 살아남아서 피갑에 싸여있다가 명중시 총알이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식으로 저지력을 크게 늘린 설계에 적용되었다. 현재 미군이 쓰는 M855A1도 구리 피갑을 벗겨보면 전면의 강철 관통자와 후면의 주석-비스무트 합금 부분이 나뉘어있음을 볼 수 있다. 근접전 교전만을 상정한 돌격소총인 ASh-12.7도 듀플렉스 탄종이 있다. 탄두를 공중에서 분리해서 명중률을 늘린다는 비현실적인 목표에서 한 발짝 물러선 것으로 볼 수 있다.

NIMcase444ACRtest.jpg
현재는 박물관 신세.

  1. 일종의 화살촉같은 탄. 경량이라 휴대 탄 수도 많고, 매우 빠른 속도와 높은 관통력을 가진다. 하지만 너무 가벼워 풍속과 빗물 등에 탄도가 휘는 부작용 등을 때문에 실패.
  2. 수축식 개머리판, 상부 레일 및 광학 조준경 등은 2000년대 이후 개발된 돌격 소총에 대부분 적용되어있다. 사양을 따지면 현재 캐나다군에서 쓰는 C7A2와 거의 동일하다 보면 된다.
  3. 2개의 탄두가 텅스텐이라 비쌌으며 명중률도 매우 떨어졌고 탄도에도 문제가 있어 장거리 사격을 하려면 기존에 사용하던 탄약도 소지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4. 이 무탄피 탄환이 너무 비쌌다. 다른 탄환에 비해 수십배 수준의 가격을 자랑했던 것. 무탄피 개발에 큰돈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G11이 완벽하게 망한 덕분에 결국 회사가 재정난에 빠져 영국의 로열 오드넌스에 합병당하는 굴욕을 당한다. 그냥 작동구조를 손봤으면 그렇게 망하진 않았을텐데
  5. 간과하기 쉽지만, 새로운 탄약의 제식화&탄약체계 변경은 군에게는 엄청난 부담이 된다. 한번 제식으로 결정된 탄약이 어지간해서 바뀌지 않는 것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탄약이야 생산하다보면 싸진다고 하지만, 그래도 기본가격은 중요하다. 그나마 다른 플레셰트 탄은 탄두를 제외하면 기존의 것과 크게 다르진 않아 저렴해질 여지가 있지만, 무탄피 탄환의 경우는 차원을 달리하는 가격과 완전히 다른 구조 때문에 대량생산을 해도 다른 탄약에 비해 매우 비쌀 것이 뻔했다. 애초에 G11 성능 자체도 막대한 돈을 들여 탄약체계를 바꿀 가치가 없기도 했지만.

2 Adaptive Combat Rifle

Adaptive Combat Rifle 항목 참고.

3 Dodge Viper SRT-10 ACR

아메리카 클럽 레이서(ACR)에 출전하기 위해 바이퍼 SRT-10을 트랙 사양으로 하드코어 튜닝한 차량.

SRT로 모델체인지가 감행되기 전 99년에도 바이퍼 GTS를 ACR를 위해 제작한 GTS ACR이 제작되었었다.

다운포스 확보를 위해 곳곳에 거대한 스포일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철저하게 경량화가 되어있다. 특히 주문시 익스트림 패키지를 선택하게 되면 그야말로 주행과 관계없는 모든 장비는 들어내는 극단적인 경량화를 실시한다.

파워트레인은 기본이 되는 SRT-10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며 이 엔진은 8.4리터 V10 엔진으로 600마력의 괴력을 발휘한다.

그 외의 부분은 완벽한 레이스 사양으로써 개조가 되었으며 이러한 극단적인 튜닝에도 불구하고 공도 주행이 가능한 모델로써 개발이 되었다.[1]

원래 바이퍼가 유명하긴 했으나 바이퍼 ACR이 유명세를 타게 된 것은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양산차 부분 랩타임 신기록을 갱신했기 때문이다. 랩타임 7:22.1의 경이로운 랩타임을 기록한 ACR은 굼페르트 아폴로 S와 포르쉐 GT2 RS가 등장 하기 전까지 양산차 부분 랩타임 1위를 지키고 있었다.

바이퍼는 2010년을 마지막으로 퇴역했으며 닷지에서는 이에 따라 ACR을 더욱 하드코어하게 튜닝한 스페셜 모델인 ACR-X를 출시하였다.

바이퍼 SRT-10 ACR의 0-100 가속의 정확한 시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략 3.6초로 알려져 있고 최고속도는 304km/h에 달한다.

4 어쌔신 크리드 : 레벨레이션의 약칭

국내에서는 어크 레벨(리벨) 또는 레벨레이션(리벨레이션) 정도로 부르나, 영어권에서는 ACR이라 부른다. 게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 참고로 ACR이라는 사양 자체는,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반에 닷지 네온에도 존재했다. 이쪽도 세팅 위주로 튜닝이 이루어졌고, 레이싱 차량으로서 써도 무방한 성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