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M

  • 공식 홈페이지 : [1]

webm-558x156.png

1 개요

구글에서 지원하고 개발하는 오픈소스 동영상 포맷. 2010년 5월 19일에 발표되었다. 파일 확장자는 .webm을 쓰며, 이름처럼 Web에 최적화된 미디어 포맷이기 때문에 HTML5의 Video 태그를 이용해서 온라인에서 재생할 수 있다. 비디오 코덱은 VP8과 VP9를 지원하며, 오디오 코덱은 VorbisOpus를 사용한다.

2 상세

WebM 컨테이너는 마트로스카(mkv)를 일부분 수정하여 만들어졌다. 참고로 VP8H.264과 경쟁하기 위해 나왔으나 상대적으로 H.264에 비해 압축률과 인코딩 효율이 떨어지며, VP9도 비슷하게 H.265과 경쟁하기 위해 나왔지만, 상대적으로 H.265에 비해 압축률이 떨어지고 인코딩 시간도 훨씬 오래 걸린다. 다만 음성 코덱의 성능은 매우 좋은 편인데 VorbisMP3보다 더 좋은 압축률을 보이고, Opus는 현존 최고의 압축율을 가진 오디오 코덱이다. (더군다나, 이들 비디오/오디오 코덱은 전부 오픈소스이며, 특허관련 로열티가 없는 완전 무료 코덱이다!)

특허권과 별개로 관련 소스가 전부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ffmpeg과 같은 프로그램은 이미 예전부터 지원을 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오픈소스 진영을 확실히 밀어주는 파이어폭스, WebM의 개발을 담당하는 구글 크롬이나 크롬의 변종판이라 할 수 있는 오페라 등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반대로 H.264 관련 특허를 많이 가진 마이크로소프트IE는 기본적으로 WebM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1주년 업데이트에서는 VP9 DXVA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한다. 근데 구글 크롬은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 안한다.

WebM은 구글에서 On2를 인수하여 발표한 비디오 컨테이너이며 이 컨테이너에 사용되는 영상 코덱과 음성 코덱 전부 완전히 무료이기 때문에 이미 유튜브에서는 이 포맷을 일부 사용하고 있다. 아직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가 많기 때문에, 지원하는 브라우저일 경우에만 서버에서 보내주는 방식이다. 플래시 플레이어는 이 포맷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HTML5 방식으로 재생할 때만 사용된다.

사용료가 없다는 가장 큰 장점과 구글이 밀어주고 있어 사용률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VP8VP9의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기기가 없는데다 성능만 놓고 봤을 때 H.26x보다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 아직까지는 마이너한 포맷으로 머물고 있다. 게다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적다는 것도 큰 단점. MS는 이런 WebM은 실패한 포맷이라고 비웃고 있는 실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WebM을 실패한 에스페란토 언어로 비유해. 에스페란토 지못미 실제로 이 때문에 컴퓨터 사양에 따라 구글 크롬에서 유투브 영상 재생시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WebM 지원을 강제로 막아 H.264로 재생(컨테이너는 MP4)하게 해주는 확장 기능이 나온 상황이다.문제는 구글이 VP9밀어주겠다고 H.264 비트레이트는 왕창 낮춰버렸다는게...

다만 가속 지원 HW가 아예 없는 건 아니고, GTX960부터 채택된 NVIDIA 7세대 퓨어비디오 엔진부터는 VP9 디코딩 가속을 지원한다. HEVC의 진정한 HW 가속 디코딩도 이 세대부터이므로(그 이전 세대 지원은 인터페이스만 DXVA지, 내부적으로 드라이버가 알아서 GPGPU를 끌어다 쓰는 방식이다), 사실 적어도 지포스 지원 한정으로는, 심하게 밀리는 것도 아닌 셈 "introduced with the Geforce GTX 960 and also included in GTX 950 and GTX 750 SE, a second generation Maxwell (microarchitecture) GPU (GM206), adds full hardware-decode of HEVC Version 1 (Main and Main 10 profiles) to the GPU's video-engine. Feature Set F hardware decoder also supports full fixed function VP9 hardware decoding." 출처: 영문 위키백과 AMD와 스마트폰 지원현황을 아는 위키러가 있으면 추가바람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더 발전한 VP10도 개발하고 있다. 한 때(14~15년도 초) VP10은 VP9에 10bit 지원만 추가한 것이라는 낭설도 돌았으나, 실상은 15년도 8월에 막 소스 퍼블리슁이 시작된 따끈따끈한(?) 신작이다. 다만 H265뿐만 아니라, 모질라 재단의 Daala project도 있고, 시스코도 이들에 자극받았는지 Thor라는 이름[1]의 독자 무료 코덱 개발을 발표한 상황인데 2015년 9월 1일 부터 무료 코댁을 개발하고 있는 구글, 모질라, 시스코 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인텔, 넷플렉스가 H.265의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MPEG LA에 대항하기 위해 The Alliance for Open Media라는 이름으로 연합을 맺었다. 홈페이지 이 연합을 맺은 덕분인지 5년 간 이어진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특허분쟁을 끝내고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관련 코덱이 전부 완전 무료라는 점 때문에 조금씩 사용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에서는 Animation GIF 포맷을 대신에서 소리 없는 WebM(HD 급의 움짤!)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가 늘고 있다.[2] 대표적인 사이트는 4chan.

이렇듯 WebM은 짤방으로 쓰이면 괜찮게 써먹을 수는 있는데, 아직도 한국 내 커뮤니티는 WebM 영상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에서는 IE를 대부분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IE는 WebM이 재생되지 않고 엣지 브라우저는 VP9를 지원하지만 개발자 설정에서 비활성화되어있다. OS X의 기본 브라우저인 Safari에서도 기본적으로 WebM 영상을 지원하지 않아 WebM으로 짤을 올려도 많은 사람들이 보지 못 하기 때문에 보급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매 프로젝트로 이미지 포맷 형식인 WebP도 있다. 확장자는 .webp다.

구글이 VP10을 AOMedia Video Codec(AV1)에 통합시키기로 결정했다. 기존 VP10의 기능들은 모두 통합된다.
  1. 우리가 아는 그 토르가 맞다.
  2. Animation GIF와 비교해 가장 큰 이점은 바로 '압축률'. 동 화질의 경우 WebM의 용량이 1/10 가량 적게 나온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Animation GIFPC통신을 쓰던 인터넷의 여명기 시절에 나온 압축기술이고 WebM은 21세기에서 최첨단을 달리는 비디오 인코딩 기술이 들어간 놈이다. 당연히 비교가 될 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