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이체자간체자(동일)
빛날소리[1]부 4획총획수 7획
유니코드56E7급수범위 밖[2](교육용 범위 밖)인명용 한자[3]
한어병음jiǒng주음부호ㄐㄩㄥˇ창힐수입법WCB(田金月)
일본어 음독(없음)훈독(없음)(상용한자 범위 밖)
베트남어quýnh

파일:Attachment/2042288261 1970dcb196.jpg
이게 뭔 글자게?[4]

빛날 경. 인명용 한자. 상용 한자는 아니고 큰 옥편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수없이 많은 듣보잡 한자 중 하나였는데, 왠지 황당한 표정을 짓고 있는 사람 얼굴처럼 생겨서 대만 웹에서 이모티콘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 후 홍콩 웹을 거쳐 전 중화권으로 퍼졌다. 한자파괴다.

한국의 '-ㅁ-;;' 정도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형으로 囧rz 등이 있다.

과거 PC통신이나 초기 외계어가 유행하던 시기에는 플로피디스크를 나타내는 용도로 아주 가끔 사용되기도 했다. 그 용도로는 한국에서 그림 도(圖)가 비슷한 위치를 대신하고 있다.
중국 만화 등에 아주 많이 나오므로 눈을 사시로 깔고 네모로 입을 벌리고 있다면 100% 이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IME에서는 완성형의 한자만을 사용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IME 설정에 가서 확장 한자 입력에 체크해 주면 입력할 수 있다.[5]

  • XP 운영체제에서 입력하고 싶은 경우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탭 → 자세히 → 설정 → 한국어 키보드 속성에 들어가서 확장한자 입력하기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그 후에 경 → 한자 → page down 11 번 누르고 6번을 선택하면 된다.
  • 또한 아래아 한글에서 '경'을 입력하여 변환해도 가능하다. 이미 한컴 2바이트 코드를 사용한 구버전부터 입력이 가능했다.

글자 크기가 작으면 왠지 눈을 깐 게 아니라 동그랗게 뜬 것처럼 보인다(…). 영정 사진으로 잘못보지 말자

파일:Attachment/jiong.jpg
모에화되기도. 왠지 등신 같지만 귀여워

이체자로 冏이 있다.(아래가 뚫려 있다) 당연히 얘도 '빛날 경'이다.[6] 제무민왕齊武閔王의 이름이 이거다.

56E7.gif56E7.gif56E7.gif
갑골문금문소전

지금은 벽자지만 갑골문에도 나올 만큼 역사가 오래된 한자다. 창문으로 밝은 빛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낸 상형자.

6719.gif660E.gif
朙의 소전明의 소전

밝을 명(明)의 경우도 갑골문을 보면 日과 月이 결합한 明의 꼴과 囧과 月이 결합한 朙의 꼴 두 가지가 모두 쓰였다. 따라서 明의 소전체도 두 가지다. 설문해자에 朙만 나와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창문에 달이 환하게 비치는 것'(朙)과 '해와 달이 같이 있어 밝은 것'(明) 둘 다 올바른 풀이이다. 어느 한쪽이 틀린 것이 아님에 주의하자.

1 언어별 자형 차이

파일:Attachment/u56E7.png
(G: 중국 간화자, T: 대만 정체자, J: 일본 신자체, K: 한국 정체자)

2 관련 문서

  1. 큰입구몸
  2. 특급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3. 인명용 한자 목록을 보면 '경'의 맨 끝에 있는데 한자의 밑이 트여 있다.
  4. 구품지마관 한 장면인데, 글자는 합성이다. 원래는 못생길 추(醜).
  5. Windows 8에서는 확장 한자 입력 설정이 기본값이다.
  6. 아래아 한글에는 囧가 冏와 같은 뜻을 가진 글자로 풀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