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A3(2016)

삼성 보급기
갤럭시 그랜드 맥스, 갤럭시 J5갤럭시 A3(2016), 갤럭시 J3(2016)
width=200
삼성 갤럭시 A 시리즈
분류A3A5A7A8A9
1세대갤럭시 A3갤럭시 A5갤럭시 A7갤럭시 A8-
2016 에디션갤럭시 A3⑥갤럭시 A5⑥갤럭시 A7⑥갤럭시 A8⑥갤럭시 A9⑥
2017 에디션갤럭시 A3⑦갤럭시 A5⑦갤럭시 A7⑦--
width=100%
블랙화이트골드핑크 골드
한국 삼성전자 SM-A310N0 공식 사이트

1 개요

삼성전자가 2015년 1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2 사양

프로세서삼성 엑시노스 7578 SoC. ARM Cortex-A53 MP4 1.5 GHz CPU, ARM Mali-T720 MP2 700 MHz GPU
메모리1.5 GB LPDDR3 SDRAM, 16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규격 상 2 TB, 128 GB 공식 지원)
디스
플레이
4.7인치 HD(1280 x 720) (배열 추가바람) 서브픽셀 방식의 삼성D Super AMOLED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LTE Cat.4,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근접통신Wi-Fi 802.11b/g/n, 블루투스 4.1, NFC, ANT+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LED 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lon 23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 5.1 (Lollipop) → 6.0 (Marshmallow)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
규격65.2 x 134.5 x 7.3 mm, 132 g
색상[1]'블랙, 화이트, 골드[2], 핑크 골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일부 모델 하이브리드 듀얼심 지원

국제FM 라디오 지원
'VoLTE 및 Wideband Audio 지원

3 상세

갤럭시 A 시리즈의 2016년 타겟 스마트폰이자 갤럭시 A3의 정식 후속작이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정식 발매명에 '2016년 에디션'이 추가된다. 줄여서 '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동시에 공개된 갤럭시 A 시리즈의 2016년 타겟 스마트폰 중 최하위 라인업을 담당하기 때문에 지문인식 솔루션과 MST 솔루션이 탑재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삼성 페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갤럭시 S6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전작인 갤럭시 A3와도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기본 색상은 블랙, 화이트, 골드, 핑크 골드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삼성 엑시노스 7578을 사용한다.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ARM Mali-T720 듀얼코어 GPU를 사용한다.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가 설계한 최초의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 기반 모바일 AP로, Geekbench 3GFX벤치의 시스템 정보에는 삼성 엑시노스 7580이라 표기되어 정확한 파트넘버를 알 수 없었으나, 이미 2015년 12월 2일에 독일 삼성전자에서 대놓고 밝힌 것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xda-developers에 의하면 이는 단순히 엑시노스 7580의 CPU 코어 중 4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막아놓고 다운클러킹한 것으로, 커스텀 펌웨어를 통해 엑시노스 7580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1.5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단, 듀얼심 모델의 경우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Super AMOLED이다. 픽셀 배열은 2015년 12월 2일 공개일 기준으로 불명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300 mAh을 사용한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다만, 같이 공개된 갤럭시 A5 2016 에디션갤럭시 A7 2016 에디션과는 달리 OIS 모듈은 탑재되지 않았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또한,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 모두 조리개 밝기가 F/1.9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5.1.1이다.

4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하이브리드 듀얼심
일부 모델에서 지원하며 두 번째 SIM 카드 트레이와 micro SD 카드 슬롯을 하나 통합해 운용하는 것이다. 다만,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으며 둘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5 출시

5.1 한국 출시

2016년 2월 6일, 한국 내수용 기기로 추정되는 모델이 FCC 인증을 통과했다고 한다. 기기명을 볼 때, 단말기 자급제 모델로 추정된다. 또한, 고객지원 사이트도 개설이 되었다.

2016년 3월 7일, 한국 출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단말기 자급제 모델로, 일반적인 단말기 자급제 판매가 아닌 갤럭시 그랜드 맥스처럼 이동통신사가 위탁 유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출시되었다.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가 위탁 유통에 참여하고 블랙, 화이트, 핑크 골드 색상만 출시되며 출고가는 352,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5.2 한국 외 지역

삼성전자가 진출한 국가 혹은 시장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6 소프트웨어 지원

6.1 OS 업그레이드

6.1.1 5.1 롤리팝

2016년 5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A310N0S/K/U의 대한 롤리팝 5.1.1 마이너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업데이트 내역으로는 단말 보안 안정화 코드를 적용하였다.

6.1.2 6.0 마시멜로

2016년 5월, 갤럭시 A3(2016)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추정되는 벤치가 나왔다. OpenGL ES 3.1로 업데이트 된거를 보면 삼성전자에서 테스트한게 맞기에 조만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 커널 개발자 및 커롬 개발자들이 OpenGL ES 3.0에서 3.1로 업데이트 하는게 매우 귀찮고 어려운 작업이라서 일반인들은 아무리 미쳐 날뛰는 실력이라도 적용이 매우 힘들다는 점에서 삼성전자가 테스트한게 맞다고 보면 됨

2016년 6월 10일, 한 유저가 삼성전자 이메일 문의를 통해서 SM-A310N0모델의 마시멜로가 예정이 되어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다만, 시기는 언제 될 것인지 언급은 안 했다.

2016년 7월 14일, 놀랍게도 A5 2016과 A7 2016보다 더 빨리 마시멜로 업데이트가 시작되었다. 통신사 검수가 필요없는 자급제 모델이라 그런가

7 장점과 단점

이 목차는 사용자의 주관이 어느 정도 들어갈 수 있음에 유의. 사용후기

7.1 장점

  • 작고 가볍다. 개인 취향이나 손의 크기(특히 미성년자여성) 등으로 인해 작은 크기의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2014~15년 이후 스마트폰이 5인치, 5.2인치 이상의 넉넉한 사이즈가 대세가 되면서 작은 크기의 제품을 찾기가 쉽지 않게 되었다. 4.7인치 사이즈와 일체형 배터리를 통해 한손으로 모든 동작을 하기에 충분할만큼 작고 슬림한 사이즈를 구현한 이 제품은 이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종에 비해 40~50g 가까이 가벼운 무게는 매우 편안할 뿐만 아니라, 떨어뜨리거나 했을 시의 파손 가능성도 타 기종에 비해 상당히 낮다.
  • 싸다. 만만하다 보급형 컨셉인 갤럭시 A 시리즈의 2016년형 모델인 A3, A5, A7 이 셋 중에서도 이 A3는 나머지 둘에 비해 좀 심하게 후려치다시피(…)할 정도로 각종 옵션들을 뺐고 그 결과 출고가 35만 2000원을 찍었다. 이는 같은 라인업의 A5(52만 8,000원), A7(59만 9,500원)은 비해서도 출고가격이 10만원 이상 낮으며, 비슷한 레벨이라 할 수 있는 갤럭시 J5(29만 7000원)과 비슷한 수준.
그 결과 일선 대리점에서도 단통법 이전시절 추억의 버스폰 거의 공짜폰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낮은 가격에 개통되고 있다. 모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서 제공한 A3(2016) & KT 기변의 경우 6개월 간 35안심요금제(월 38,500원) 사용 & 이후 18개월 간 KT를 유지하는 것(요금제는 마음대로 선택 가능)이 전부이다. 할부원금을 따지기가 민망할(…) 정도로 싼 조건.
  • 퍼포먼스가 깔끔하고 무난하다. 2016년에 영 어울리지 않다 싶을 정도의 사이즈의 CPU와 RAM에도 불구하고 최적화가 나름 되어 있는지, 느린 퍼포먼스로 유저들의 불만을 샀던 종전의 보급형 라인업(ex: 갤럭시 S4 mini 등)에 비해 아주 부드럽고 날렵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가벼운 모바일게임을 포함한 멀티태스킹도 큰 무리없이 소화할 정도는 된다. 4.7" HD S AMOLED 액정 또한 작은 사이즈가 주는 버프가 더해져 상당한 수준의 색감을 제공하며, 카메라도 자동색보정 등 평균 이상의 화질을 보여준다. 2300mah 용량의 배터리의 지속시간/사용시간도 이용에 큰 어려움이 없다.

7.2 단점 및 논란/문제점

다른 기종들에 비해 구린 사양이야 애초에 대놓고 표방한 컨셉이지만 원가 절감에 따른 일부 하드웨어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2016년 들어 각종 갤럭시 폰에서 특장점으로 내세우는 삼성페이, 지문인식 등 최신 기능? 당연히 없다.(…) 가격을봐라 가격을봐
  • 카메라는 화질만 놓고 보면 상당수준을 뽑아준다. 그러나 형제라인업인 A5(2016), A7(2016)에는 물론, 심지어 종전 보급폰에도 부족하나마 들어 있던 손떨림방지 기능(OIS 모듈)이 아예 없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의 야간촬영 기능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촬영에 애로사항이 생길 수 있다.
  •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햅틱 모터가 삭제되어 해당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햅틱 모터가 없으므로 타이핑을 할 때 진동 피드백이 오지 않고,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없으므로 해당 센서를 이용하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련 기능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조작하던가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3]
  • 알림 LED가 없다.
  • 와이파이가 5GHz 대역을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KT올레 기가 와이파이존과 같은 초고속 무선망도 사용할 수 없다. 원가절감을 핑계삼기에는 종전의 염가/보급폰들도 대부분 소화하던 영역이라 다소 생뚱맞다는 평도 있다. 덕분에 iptime 등 두 개 이상의 대역을 제공하는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다가 이 기종을 구매한 사용자 일부는, 이를 모르고 멀쩡한 공유기가 고장난 거 아닌지 헤매기도 하였다(…).
  • 멀티터치가 인식이 안 되는 결함이 보고 되었다. 사용 중 간헐적으로 무작위적으로 멀티터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참조링크 약간 느릿하고 또박또박한 타이밍으로 타이핑을 하는 등 어떻게든 적응이 가능한 부분이기도 하지만, 엄연히 큰 불편을 주는 심각한 오류임에는 분명하다. 카톡 등 SNS 사용에 있어 빠르고 많은 타이핑을 즐겨하는 유저와, 많은 컨트롤이 요구되는 모바일게임을 하려는 유저는 구매를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2016년 7월 16일 현재 안드로이드 6.0.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 중인 것으로 보인다.는 개뿔 전혀 개선이 없다.

단점으로 열거된 사항들은 대부분 '라이트하게' 사용할 때에 큰 영향을 주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기본적인 스마트폰의 기능들은 멀쩡히 존재한다. 이렇게 된 원인으로 원가 절감 목적이 있을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갤럭시 A 시리즈는 2016년 기준으로 갤럭시 S 시리즈 바로 밑에 있는 하이엔드 스마트폰 라인업이다. 싸다고는 하나, 출고가 35만 2000원이 그렇게까지 저렴한 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유도 아닌 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이러한 하드웨어 요소를 너무 많이 삭제했다는 부분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갤럭시 A 시리즈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애매한 위치에 놓여있다. 동일한 콘셉트를 가진 2016년도 갤럭시 A 시리즈 중에서 가장 낮은 하드웨어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갤럭시 A9 2016 에디션과 비교하면 하이엔드와 로우엔드 수준의 격차를 보여준다. 갤럭시 A 시리즈보다 하위 라인업인 갤럭시 J 시리즈와 비교해도 가격을 고려할 때 사양이 좋지 않다. 이는 삼성전자가 자가 잠식을 우려해 동급 하드웨어를 넣는 것에 주저하고 각 라인업의 격차를 하드웨어 성능보다 디자인이나 소재 등으로 차별화를 하는 것을 우선시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7.3 총평

갤럭시 A3(2016)은 중가~고가의 기종들에 비해서는 분명 여러가지로 성능이 딸리는 탓에 아쉬운 점이 적지 않은 기종이다. 그리고 각종 고사양 모바일게임 등을 하지 않고 카톡/간단어플/웹서핑/사진촬영 등 위주의 라이트한 사용자, 작은 사이즈의 휴대폰을 선호하는 사용자, 어린이/여성 등 손이 작은 사용자, 그리고 휴대폰 구입비용을 가급적 줄이려는 경제적 유인이 강한 사용자에게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이 조건들을 잘 충족하는 사용자 중 하나가 초등학생~고등학생들이며, 실제로 학부모에게서(...) 반응이 좋은 편이다.

  1.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 국내 미출시
  3. 키보드의 경우 Google 한국어 입력기를 설치해 설정할 수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갤럭시 A 시리즈 문서의 334판, 2.2.1.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A 시리즈&action=history 이전 역사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