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의 고도리(코토리)에 대해서는 모노우 코토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목차
1 고등어의 새끼, 혹은 고등어의 옛말
일부에 제주도 방언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제주방언 자체가 옛우리말을 많이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생겨난 오해이다.
2 '고두리'의 중세국어 표기
'고두리'는 물건의 끝 뭉툭한 부분을 의미한다. 몽골어 발음 <qodoli>에서 왔으며, 중세국어 표기는 고도리로 1번 항목의 것과 발음이 같다.
'고두리살'은 화살 끝에 화살촉 대신 철사나 대(竹)로 고리를 만들어 끼운 것을 의미한다. 작은 새(小鳥)를 잡는 데에 썼다. 응!?!?
3 고스톱에서, 매조ㆍ흑싸리ㆍ공산의 열 끗짜리 석 장으로 이루어지는 약
참새나 동박새, 종다리 등과 같은 '작은 새(小鳥:こ-とり)'를 이르는 일본어. 우연히도 해당 패의 새 숫자가 5마리[1][2]이기도 하다.
4 3에서 이름을 따온 고전게임
흔히 제작자의 이름을 따서 '찬우 고도리'라고 불린다. 당연히 고스톱 게임이며 1991년 12월에 출시되었고 아마도 최초의 PC용 고스톱 게임일 것이다. 당시 기술력의 한계 등으로 로컬 룰로 간주될 수 있는 잡다한 룰은 생략된 탓에 뻑을 쓸어도 상대방에게 피를 받지 못한다.
5 조선 시대에, 포도청에서 죄인의 목을 졸라 죽이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웹툰 포천의 등장인물중 한명인 고포교의 별명이 이 고도리이다.
6 김수정의 성인만화 날자 고도리의 주인공
고도리(날자 고도리) 문서 참고.
7 가족끼리 왜 이래의 인물
고도리(가족끼리 왜 이래) 문서 참고.
8 지명
전국에 3곳의 고도리가 있다.
예산군과 영천시의 고도리는 전형적인 산골이다. 또한 예산군과 해남군의 고도리는 각각, 읍, 면사무소의 소재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