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손강

公孫康
(164 이전? ~  ?)[1]

1 개요

후한 말의 군벌. 공손도의 서장자

2 생애

요동태수로 취임하기 전의 아버지 공손도는 기주자사까지 올랐던 고관이었으나 불미스러운 뜬소문으로 파직되어 낙향한 상황이었고, 요동의 호족들은 한미한 집안에서 벼락출세한 공손도를 곱게 보지 않았다. 이런 배경 때문에 양평의 현령이었던 공손소는 공손강을 자신의 휘하로 징집해 부려먹었는데, 여기에 원한을 갖고 있던 공손강은 동탁이 집권하면서 요동태수로 임명되자 공손소를 체포해 저자거리에서 때려죽였다.

204년. 공손도가 죽자 그 지위를 물려받는다. 공손도가 요동태수로 세력을 키울 당시의 행보는 불분명하나 관녕전에 따르면, 관녕의 명성을 들은 조조가 그를 천거해 중앙으로 부르자 임명장을 중간에 가로채며 전하지 않았고, 주석으로 언급된 부자에 따르면 공손강은 공손도의 서자였으나 공손도 대신 요동을 장악해 대외적으로는 장군,태수라고 부르며 요동 안에서 왕노릇할 마음을 품고 있었다고 한다.

서자였다고는 하나 204년 당시 공손강의 나이는 이미 40대 초반이었을 것으로 보이고, 공손도에게 마땅한 적자도 없었던데다[2] 공손도 또한 워낙 고령이었기 때문에 후계자로서의 입지는 보통 탄탄한 수준이 아니었던 듯. 주석을 감안하면 이미 실권의 상당 부분이 공손강에게 상당부분 넘어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으로 "나는 요동의 왕인데 무슨 영녕향후냐!"라며 조조가 보낸 인수를 집어던지고, 조조가 업을 함락시키자 "그냥 내가 조조 밀고 중원진출해도 괜찮을듯?" 할 정도로 패기만은 항우급(...)이던 공손도와 달리 대외적으론 장군,태수라 불리며 요동 안에서 소소하게 왕노릇하는 것에 만족하는 현실적인 면이 강했던 듯.

물론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표면적으론 여전히 중앙정부 말을 듣지 않는 입장이었으나, 207년에 원소의 아들들인 원상, 원희가 조조에게 패해 망명해오자 공손강은 이를 받아들였지만, 조조는 요동 공략을 거부하고 철수한다. 공손강의 입장에서는 중앙정부와 화해하기 매우 좋은 기회였기에 이들을 참수하고 수급을 조조에게 바쳐 화친의 선물로 삼았으며, 조조 또한 공손강의 세력권을 인정한다.[3]

이후로 기록이 없다가 221년, 고자공손공이 거기장군에 임명될 때 대사마로 추증되었다. 이로 보면 평소 바램과 같이 요동 안에서 왕노릇하며 잘 지내다가 221년 이전에 사망한 듯 싶다. 그의 아들들인 공손황공손연은 나이가 어려서 그의 동생인 공손공이 뒤를 이었는데, 훗날 차남 공손연이 그 자리를 빼앗았다.

공손강은 낙랑 지방에 세력을 뻗쳐 대방군을 설치했다. 공손강은 건안 연간(196년~220년)에 고구려를 공략하여 피해를 입혔다고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밝히고 있다. 단, 삼국사기에는 공손강과 관련한 기록이 없고 오히려 공손씨의 침입을 공손도 때에 있던 일로 기술하고 있다. 다만 서기 197년의 사건은 삼국사기의 기술대로 공손강이 아니라 공손도의 집권 시절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삼국사기에는 고국천왕 원년조에 고국천왕의 형인 고발기가 공손강의 군대를 빌려서 반란을 일으켰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이때는 공손도도 요동태수가 되기 전으로 기주 자사에서 밀려난 이후 백수로 있었고, 해당 항목의 공손강은 요동군 양평현 현령인 공손소가 하급무관으로 끌고가서 부려먹고 있었다. 189년에 요동태수가 된 공손도가 공손소를 처형해 버린 것으로 봐서 이는 공손도의 의도가 절대로 아니고, 동시에 공손도의 오기일 가능성도 없다. 때문에 이 부분에서 삼국사기는 완벽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만 요동지역에는 공손씨들이 차고 넘쳤기 때문에 한자까지 동일한 동명이인 공손강이 존재하였다면 해당 대목이 맞게 된다. 여튼 이 시기의 언급이 사서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고국천왕, 산상왕, 고발기의 정체에 대해서 논란이 많다.

3 미디어 믹스

삼국지 12,13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언제나 그랬듯이 이 공손씨 일족들은 좋은 능력치를 받지 못한다. 그래도 삼국지 3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서는 그나마 아버지, 동생, 아들에 비하면 능력치 합으로 볼때 제일 나은 편. 본인이 군주로 나올 때는 자신에게 의탁해 있던 원상과 원희, 보너스로 순심까지 부하로 지니고 있기에 공손 시리즈들 중에서는 그나마 진용이 갖춰져 있으나 적벽대전이 일어나기 직전이기에 조조가 가장 강력할 시기라는 게 문제다.

삼국지 3에서는 아버지처럼 무력70/지력62/정치/56/매력72, 육전/해전70이라는, 장군에 임명될 수 있는 능력치을 자랑한다. 시나리오 4부터 위나라 소속으로 등장하고 그 이전에는 203년부터 양평에서 수색을 하면 공손공과 함께 재야로 등장한다. 위나라 소속일때는 좀 묻히는 편이지만 원소로 플레이 할때는 매우 소중한 인재니 반드시 등용하자. 더불어 수명이 매우 길었는데 이는 삼국지 4까지 이어진다.

삼국지 8에서의 66/54/60/58. 4레벨 전법인 기습이 있어서 전장에서 나름 활약하며, 상재 특기가 있어 상업 수치 올리는 내정용으로 쓸만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71/무력64/지력71/정치력68. 주사와 돌파, 혼란을 가지고 있다. 주사를 보유한 덕에 좋은 장수라고 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선 전 능력치가 50~70대에 포진해 있어서 능력치 총합이 무려 300을 넘는다. 구체적인 능력치는 통솔력74/무력60/지력68/정치력70/매력57이며 특기는 3개밖에 없긴 하지만 통솔을 살릴 수 있는 치안셔틀로 쓰면 되고 이쪽 공손씨 일족에서는 그래도 에이스급이다.

삼국지 11에선 특기가 있지만 킹잉여매복이다.

삼국지 12에서는 전법이 전군색적이며, 감시 특기를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전작에서는 일러스트가 좀 찌질하게 나왔는데 이번작에서는 좀 그럴듯하게 나왔다.

삼국지 13에서의 전법은 적군의 사기를 깎고 도발하는 선동도발.

삼국전투기에서는 이름만 언급된다. 아예 짤린 공손도나 공손공보다야는 낫겠지만. 원상과 원희를 베었다는 것이 언급되지만 전후과정을 다 잘라먹었다.

4 관련 항목

  1. 공손강은 공손도가 요동태수로 부임한 189년 이전에 이미 공손소 휘하의 오장(= 분대장급)으로 병역을 마친 상태였다. 후한의 징병제는 23세에 징집되어 2년간 복무를 원칙으로 하기에 이를 기반으로 역산한 것.
  2. 공손공이 적자였을 가능성도 있지만, 공손공은 애초에 고자였기 때문에 적자 구실 하기 어려웠다(...) 물론 이 경우에도 공손강에게 밀린 진짜 이유는 무능함 때문이겠지만,
  3. 차라리 공손도라면 모르겠지만 중원 진출에 별 관심이 없던 공손강의 성향상 원상의 정치적 가치는 그리 크지 않았고, 오히려 내부적으로 위험요소만 가득했다. 그래서 조조는 회군하면서 공손강을 최대한 자극하지 않으려 했고, 원상은 원상대로 숙청당하는 것이 시간문제라고 여겼는지 먼저 선수를 쳐서 공손강을 암살하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