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기

고구려의 왕족. 신대왕의 아들(들). 高拔奇高發岐가 있다. 동일인물이라는 설도 꽤 있다.

이름보고 흠칫한 사람?

1 정체에 대한 논란

삼국지삼국사기등에는 음독이 같은 이름을 지닌 두 명의 발기가 등장하였는데, 이 인물들이 동일인물인지 아니면 다른 사람인지는 아직도 많은 의혹이 있다.

이 두 발기가 같은 인물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일단 두 사람이 공통적으로 왕의 형이고, 왕위를 잇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어 나라를 버렸으며, 똑같이 공손씨의 성을 지닌 사람에게 의탁했다는 점을 증거로 들고 있지만 두 명의 발기의 반란이 디테일하게 다르기에[1] 다른 인물로 보기도 한다. 산상왕 측이 정통성을 위해 발기를 깎아내렸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수삼국지에 따르면 신대왕을 계승한건 산상왕이고, 삼국사기에서는 고국천왕의 다른 이름이 이이모(伊夷模), 산상왕의 다른 이름이 위궁(位宮)이라고 하나 삼국지에서는 이이모는 산상왕, 위궁은 동천왕이라고 하고 있어 많은 논란이 제기된다. 즉 고국천왕과 산상왕이 동일인이라면 발기도 자연스럽게 동일인이 된다. 다만 이 기록은 당시 후한말의 혼란 속에서 중국의 사가가 착각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

2 맏형 고발기高拔奇

(? ~ 184?)

2.1 개요

발기는 신대왕의 맏아들로, 고국천왕의 형이었다.

아버지인 신대왕이 죽었을 때 불초하다는 이유로 고국천왕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이에 원한을 품고 한나라(요동)의 공손강에게로 달아났다.[2]

한나라의 군대를 이끌고 와서 고구려를 침략하여 복수하려 했으나 계수의 패배를 듣고 달려온 고국천왕에 의해 좌원에서 격파당했다.

2.2 생애

성격이 못나고 어리석은 탓에 맏아들임에도 불구하고 왕위를 잇지 못하고 동생인 고국천왕이 대신 물려받았다고 한다. 이에 불만을 품은 발기(拔奇)는 거느린 하호 3만여명을 거느리고 공손강에게 의탁하며 비류수에 머물렀다고 한다. 이후 있었던 공손강의 고구려 침공은 발기의 사주를 받고 일어난 일로 여겨진다.

2.3 죽음

삼국지와 삼국사기는 공통적으로 발기가 '비류수에 돌아와 살았다'고 되어 있는데 고구려가 건국된 졸본이 바로 비류수 유역이다. 따라서 후에 용서 받았든지 하여 다시 고구려로 돌아왔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아래 발기와 동일인물이라면 반역을 용서 받았으면서도 다시 반역을 저지른 배은망덕한 인간이 된다.[3]

3 셋째 고발기高發岐

(? ~ 197)

3.1 개요

발기發岐는 신대왕의 셋째 아들이었으며, 고국천왕의 동생이자 산상왕, 계수의 형이었다.[4]

형인 고국천왕이 후사를 얻지 못한 채 죽었을때 고국천왕의 왕후였던 우씨에게 속아 동생인 산상왕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이에 원한을 품고 요동으로 달아났다. 이후 요동 공손씨의 군대를 이끌고 와서 고구려를 침략하여 복수하려고 했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이때 동생 계수가 나라를 배신했던 발기를 꾸짖었던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3.2 생애

3.2.1 왕위를 놓치다

197년 5월, 형인 고국천왕이 후사를 이을 자식을 얻지 못한 채 죽자 고국천왕의 왕후였던 우씨(于氏)는 형사취수의 관습에 따라 왕의 동생이었던 발기와 연우(延優) 중 한명과 혼인하여 그를 왕으로 추대해야 했다.[5]

우씨는 왕이 죽은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발기에게 찾아가 "왕에게 후손이 없으니 님이 왕위를 이어야지요?"라고 물었다. 그러나 아직 왕이 죽은 것을 몰랐던 발기는 왕후 우씨의 의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되려 "왕의 부인이라는 사람이 오밤중에 함부로 싸돌아다닌다."고 면박주었다. 사실 발기의 입장에서 보면 한밤중에 왕후라는 사람이 찾아와 그런 불순한 말을 한다면 분명 좋은 의도로 받아들이지는 못했을 것이다. 오히려 고대나 현대를 막론하고 정상적인 개념인, 상식인이었다는 이야길 수도 있다. 더러운 세상!

발기에게 망신을 당한 우씨는 곧장 자리를 떠나 발기의 아우인 연우의 집에 찾아갔는데, 연우는 왕후 우씨가 찾아왔다는 소식을 듣자 의관을 차려입고 술자리를 열어 우씨를 환대해주었다. 우씨는 무뚝뚝한 발기보다는 부드러운 태도의 연우에게 더욱 마음이 끌렸는지 "왕이 후손없이 죽어서 발기가 맏이라서 왕이 돼야 하는데, 나에게 다른 마음이 있다고 이르고 무례하고 오만하고 예절없이 대해서 아주버니에게 온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결국 그날 밤에 우씨는 연우를 궁궐로 대려갔고, 다음날 아침에 고국천왕유언에 따른다면서 연우와 혼인함과 동시에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으니 그가 바로 산상왕이었다. 단순히 발기가 거절해서, 연우에게 우씨가 찾아갔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데 다른 식으로 생각해 보면 "상당한 정치적 계산과 왕후 우씨의 개인적 욕망"이 들어갔음을 유추할 수 있다.

  • "발기에겐 고국천왕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전혀 알리지 않았다." (삼국사기에 버젓히 기록되어 있는 사실이다!) 이러니 당연히 발기 입장에선 차기 왕에 대한 언급 자체가 자기 목숨을 거는 행위나 다름 없는 상황이다. 당연히 상식적으로 왕의 후계자에 대한 말을 왜 하는지 이해가 안 되었을 것이다. 왕조 시절엔 왕에 대해 함부로 언급하는 것 자체가 자기 목숨 뿐 아니라, 자기 집안 전체의 목숨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조선시대 수많은 역모 사건만 봐도 답이 나오지 않는가. 왕이 가장 두려워 하는게 쿠데타고, 후계자 문제도 매우 민감했었다. 우씨는 거절당할 것을 알고도 일단 찾아간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차기 왕으로 가장 유력한 것이 고국천왕의 첫째 동생인 고발기였기에 명분 쌓기용으로 찾아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난 분명히 찾아갔었어. 거절한 건 당신이야! 이런 식으로...)
  • 둘째로 발기에겐 아들이 있었다는 것을 보아, 기혼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연우는 후에 우씨를 왕후로 맞이하고, 그 외에 다른 여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6] 자기 자신이 왕비로 계속 있기 위해선 발기보다 연우를 택하는 편이 더 나았다.[7] 덕분에 고국천왕의 왕비로 들어와서 대략 50여년 간이나 고구려 왕실 내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사망한다. 동천왕도 우씨의 눈치를 상당히 살펴야 했을 정도. 동천왕의 매우 착한 성격은, 실제 착한 성격이 기본으로 깔려 있더라도, 우씨의 눈치를 보느냐고 조심스레 행동한 측면도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8] 고구려판 측천무후
  • 연우를 데리고 궁궐로 들어간 뒤, 고국천왕이 사망시 후계자를 연우에게 주기로 했다고 알린다. 당연히 거짓이다.[9] 발기도 그런 거짓말에 누가 속느냐고 군사들을 이끌고 국내성에 쳐들어 온다. 문제는 신하들. 우씨가 고국천왕의 유언을 알렸을 때, 의구심을 표하는 신하들이 한명도 없다. 있는데, 기록에 안 나왔을 수도 있지만, 단순히 삼국사기 기록만을 본다면 반발하는 신하들이 안 보인다. 미리 신하들과 정치적으로 합의했을 가능성이 높다.
  • "가장 중요한 건 연우에겐 고국천왕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렸다는 것." 그것도 어느정도 얘기를 진행하면서 이 사람이 차기 왕으로 삼아야겠다... 라고 판단된 시점에서 말한 것이 아니라, "집에 찾아가자마자 바로 알렸다는 것."
왕후가 말하기를 “대왕이 돌아가셨으나 아들이 없으므로, 발기가 연장자로서 마땅히 뒤를 이어야 하겠으나, 첩에게 다른 마음이 있다고 하면서 난폭하고 거만하며 무례하여 당신을 보러 온 것입니다.”

ㅡ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다시 말해서 이미 연우와 어느정도 정치적으로 합의된 상태라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후에 발기가 난을 일으켰을 때, 백성들이 호응해주지 않았다는 기록을 보아 이 문제도 충분히 계산되었으리라 판단할 수 있다.

발기는 왕위 차기 순서 제1순위였으나,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밀려났을 것이다. 하지만 발기 본인에게도 문제가 있는 것이, 난을 일으키자 신하들은 물론, 백성들도 호응해주지 않았다는 기록을 보아 민심을 전혀 얻지 못하고 있는 상태였다.[10]

3.2.2 복수를 꾀하다

아우인 연우가 자신을 제치고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들은 발기는 그제서야 우씨에게 속았음을 직감하고는 분노하였다. 발기는 곧장 군대를 이끌고 왕궁을 포위한 후에 "왕위는 마땅히 형이 잇는 것이 예이다."라고 외치며 왕위를 넘기지 않는다면 왕과 그 처자를 모두 죽여버리겠다고 위협을 가하였다. 이에 산상왕이 별 반응을 보이질 않자 산상왕의 처자식을 몽땅 잡아 죽여버렸다.

그러나 발기의 군사들에게 포위당한 상태에서도 산상왕은 궁궐 문을 굳게 닫은체로 3일 동안이나 뻐기며 뜻을 꺾지 않았다. 게다가 주위의 여론도 산상왕의 편을 드는 쪽으로 기울어 발기를 따르는 사람이 없었다.[11] 결국 발기는 처자를 거느리고 요동으로 달아나서 한나라의 태수 공손도에게 의탁하였다.

이후에 발기는 공손도를 찾아가서는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겼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그리고는 왕위를 되찾을 수 있도록 군사를 빌려줄 것을 청하였다.[12] 공손도는 이를 받아들여 발기에게 3만의 군사를 내주었으며, 발기는 한나라의 군대를 거느린채 고구려를 침략해왔다. 복수 때문에 나라를 팔다니

3.2.3 죽음

발기가 요동 공손씨의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해오자 산상왕은 동생인 계수로 하여금 이를 막게 하였다. 이 싸움에서 계수는 큰 승리를 거두었으나, 발기는 크게 패하여 달아났다. 이에 계수는 직접 군사를 이끌고 선봉에 서서 발기를 추격하였다.

계수는 달아나는 발기를 따라잡아서 거의 잡기 직전에 이르었는데, 이때 발기가 계수에게 "동생이 늙은 형을 해치려드느냐?"라고 묻자 형제간의 정이 떠올라 차마 발기를 잡지 못하였다. 그러나 계수는 발기의 잘못을 큰 소리로 꾸짖으며 폭풍간지의 명언을 남겼다.

“연우(산상왕)형님이 나라를 넘겨주지 않은 것은 비록 의롭지 못한 것이지만 발기 형님은 겨우 한 때의 분함을 가지고 자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하니 이게 무슨 짓입니까? 죽은 후 무슨 면목으로 조상들을 보겠습니까?"

이 말을 들은 발기는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해 괴로워하다가 배천(裴川)으로 달아나 그 곳에서 스스로 목을 찔러 자살하고 말았다. 계수는 죽은 발기의 시신을 거두어 후히 장사를 지내준 후에 돌아갔다가 산상왕의 꾸지람을 들었는데 이번에도 왕의 잘못을 꾸짖었다. 동생의 말을 들은 산상왕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쳤다고 전한다.

  1. 대표적으로 고국천왕과 맏형 발기의 경우 반란에 (왕후 우씨의 가문이기도 한) 연나부가 참여했고, 이후에도 많은 말성(반란)을 피워 고국천왕에게 여러 차례 탄압받았다. 반면 산상왕과 셋째 발기의 경우에는 소노부의 세력이 참여했다. 왕후의 일가인 연나부는 산상왕 편을 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2. 하지만 이는 시기상으로 너무 이르다. 공손강이 공손도의 뒤를 이어서 요동을 장악한 것은 204년 공손도가 죽은 이후의 일이고, 요동지역을 장악하는 계기가 되는 공손도가 요동태수가 되는 것은 189년의 일이다. 다만 현도군에도 공손역을 포함한 공손씨가 존재했기 때문에 동명이인일 가능성은 있다.
  3. 사실 동일인물일 수 없다. 동일인물이면 우씨는 반역을 저지른 왕자에게 붙으려는 건데 친척들이 반역을 일으켰다가 죽은 마당에 반역을 저지른 왕자에게 붙으면 본인은 이미 요단강 익스프레스를 탄거라고 봐야 한다.
  4. 위의 발기와 동일인물로 보는 견해는 고국천왕의 형이지만 잘못 기록한 것으로 본다.
  5. 사실 당시까지만해도 고구려의 왕위는 형제간에 계승하는 경우가 무척 잦았다.
  6. 후사가 없어서 한참 뒤에 여자를. 그것도 우씨 눈치를 보면서 겨우 들인다. 여기서 태어난 아들이 동천왕
  7. 물론 연우도 아내와 아들이 있긴 했지만 우씨로서는 다행히(?) 발기에게 다 죽었다.
  8. 하지만 우씨의 유언을 받아들여 아버지 곁에 묻어준걸 보면 일단 기본이 착한 성격이고 눈치는 두번째는듯하다.
  9. 원래 왕위 계승이라는것이 맏이가 먼저고 없으면 그 아래 아들들이고 아들이 없으면 바로 아래 동생이다. 발기가 제정신이 아니지 않은 이상 고국천왕이 연우에게 물려줄 리가 없다.
  10. 만일 발기가 백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면 차마 우씨도 연우를 선택하지 못하거나 선택해도 얼마 버티지 못했을 것이다.
  11. 아마도 처자식을 다 잡아 죽인 일도 한몫 했을 듯하다.
  12. 분명 뭔가 대가가 있었겠지만 그에 대한 기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