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제1기 국수전 출범식 기념사진. 가운데 앉은 사람이 동아일보의 설립자 김성수 사장이다.
國手戰
1 역사
국내 바둑 기전인 국수전을 말하는 것으로 한국에서 시작한 최초의 정식기전, 현재로선 국내에 유일하게 남은 도전기 형식의 대회이다. 주최사는 동아일보로 그 시작은 1956년부터 시작되었다. 후원사는 기아자동차. 한국내 가장 유서깊은 전패준 제조 대회
1966년 국수전 도전국 복기 장면. 오른쪽은 그 유명한 조남철, 왼쪽은 그의 아성을 깬 김인. 김인은 조남철의 10년 권좌를 무너뜨렸다. 결승대회는 운당여관에서 진행되었다. 결정국은 김인의 반면 2집,[2] 총 6집반승을 거두었다.
1956년 당시 정식 명칭은 국수 제1위전. 제1기 대회에는 조남철 九단[3]이 전승으로 국수에 등극하였고, 이후 10년 가까이 국수전 반상을 지배하게 된다. 당시 국수전은 엔터테인먼트가 절대 부족한 전후 한국에 가장 큰 재미였으며, 현 일민미술관이자 당시 동아일보 사옥이었던 광화문네거리 앞은 국수전 실황중계로 인산인해였다.[4]
1969년 제13기 국수전의 야외공개해설. 지금의 일민미술관인 동아일보 구사옥 앞에서 진행되었다. 사진 중앙의 세모꼴 기와지붕은 고종황제 즉위 40년 칭경 기념비전으로 지금도 제자리에 남아있다. 왼쪽 검은 지붕 자리는 1966년에 완공된 광화문지하보도 출구로, 지금의 5호선 광화문역 출구다.
당시 그의 권좌를 깨러 등장했던 김인은 1대 3이라는 끔찍한 전적에 실망한 후 곧바로 도일하여 공부를 계속한다. 귀국 직후 가진 국수전에서는 곧바로 조 국수를 꺾어 김인 시대를 개막한다.
1972년 제16기 국수전 도전4국. 왼쪽이 김 국수, 오른쪽이 윤기현 기사. 장소는 최고위전과 마찬가지로 운당여관에서 열렸다.
이후 국수전 반상은 김 국수가 점령하게 된다. 약 7년여간의 기간동안 타이틀을 방어한 김 국수는 1972년 제 16기 국수전에서 새롭게 등장한 윤기현을 꺾지 못하고 자리를 내주게 된다.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반상의 군웅할거가 시작되었다.
1972년 제16기 국수전 도전국 계가 직후. 오른쪽이 조 국수의 권좌를 무너뜨린 김인 국수. 왼쪽은 신예로 등장한 윤기현 九단. 윤 국수의 저지로 김 국수의 7년세대는 막을 내렸다.
국수전이 폐지되었다고 말들이 많은데, 절대 폐지되지 않았다. 기사 직전 59기가 일정이 늦춰져 2016년 초에 마감하였기 때문에 60기 일정도 늦춰진 것이다. 한국 바둑의 전설들이 한데 모인 역사적인 대회를 동아일보[5] 는 물론 한국기원이 사라지게 둘 일이 없다.
2 상금 규모
2010년 기준으로 총상금 한화 4억5000만원, 우승자에게는 4500만원, 준우승자에게는 1/3수준의 상금이 돌아간다.
3 대회방식
1956년의 첫 대회에서는 참가한 기사들이 리그전을 치뤘으나 차회부터는 일종의 플레이오프제인 도전기 방식을 채용하여 전 대회 국수에게는 자동으로 도전기에 진출하여 타이틀 방어전을 갖는 형식을 취했다. 도전기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치뤄지며, 마지막 도전자 결정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한다.
이 결승기에서 단 한번의 기전도 이기지 못하고 방어에 실패할 경우에는 빼도박도 못하고 전패준이 되어버린다.
첫 도전기때는 결승전이 13전 7선승제, 그 다음부터는 7전 4선승제 방식을 쓰다가 5전 3선승제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한때는 3전 2선승제를 채택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5전 3선승제로 돌아왔다.
단 2009년 한정, 이세돌 기사의 휴직과 관련하여 2008년의 우승자였던 이세돌 기사의 타이틀을 반납받으면서 도전기 방식을 치룰 수 없게 되자 토너먼트 우승자가 바로 타이틀을 획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4 전패준?
역사가 오래되었고 도전기라는 대회방식 때문에 전패준이 나온 경우도 많은데 전패준이 나왔던 적은 총 6번이다. 이 부분 최다타이틀 보유자는 국수전 최다 타이틀 보유자인 조훈현 九단이다.
년도 | 전패준 |
1986 | 조훈현 |
1988 | 서봉수 |
1990 | 조훈현 |
1998 | 이창호 |
2000 | 루이나이웨이 |
2007 | 윤준상 |
5 대회 연혁
아래의 표는 우승연혁과 우승한 기사의 당시 단수를 적는다.
년도 | 국수 | 단수 |
1956 | 조남철[6] | 五단 |
1957 | 조남철 | 五단 |
1958 | 조남철 | 五단 |
1959 | 조남철 | 六단 |
1960 | 조남철 | 七단 |
1961 | 조남철 | 七단 |
1962 | 조남철 | 七단 |
1963 | 조남철 | 七단 |
1964 | 조남철 | 八단 |
1965 | 조남철 | 八단 |
1966 | 김인 | 五단 |
1967 | 김인 | 六단 |
1968 | 김인 | 六단 |
1969 | 김인 | 六단 |
1970 | 김인 | 七단 |
1971 | 김인 | 七단 |
1972 | 윤기현 | 七단 |
1973 | 윤기현 | 七단 |
1974 | 하찬석 | 五단 |
1975 | 하찬석 | 六단 |
1976 | 조훈현 | 六단 |
1977 | 조훈현 | 七단 |
1978 | 조훈현 | 七단 |
1979 | 조훈현 | 七단 |
1980 | 조훈현 | 八단 |
1981 | 조훈현 | 八단 |
1982 | 조훈현 | 九단 |
1983 | 조훈현 | 九단 |
1984 | 조훈현 | 九단 |
1985 | 조훈현 | 九단 |
1986 | 서봉수 | 九단 |
1987 | 서봉수 | 九단 |
1988 | 조훈현 | 九단 |
1989 | 조훈현 | 九단 |
1990 | 이창호 | 四단 |
1991 | 조훈현 | 九단 |
1992 | 조훈현 | 九단 |
1993 | 이창호 | 六단 |
1994 | 이창호 | 七단 |
1995 | 이창호 | 七단 |
1996 | 이창호 | 九단 |
1997 | 이창호 | 九단 |
1998 | 조훈현 | 九단 |
2000[7] | 루이나이웨이[8] | 九단 |
2001 | 조훈현 | 九단 |
2002 | 이창호 | 九단 |
2003 | 이창호 | 九단 |
2004 | 최철한 | 九단 |
2005 | 최철한 | 九단 |
2006 | 이창호 | 九단 |
2007 | 윤준상 | 四단 |
2008 | 이세돌 | 九단 |
2008[9] | 이세돌[10] | 九단 |
2008 | 이창호[11] | 九단 |
2010 | 최철한 | 九단 |
2011 | 조한승 | 九단 |
2012 | 조한승 | 九단 |
2013 | 조한승 | 九단 |
2014 | 박정환 | 九단 |
2016[12] | 박정환 | 九단 |
6 역대 우승자
아래는 역대 국수 칭호를 가졌던 기사들이며, 총 12명의 기사가 이 영광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기록순서는 최초 타이틀을 딴 번기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함을 기준으로 한다.
국수 | 통산우승 |
조남철 | 9회 |
김인 | 6회 |
윤기현 | 2회 |
하찬석 | 2회 |
조훈현 | 16회 |
서봉수 | 2회 |
이창호 | 10회 |
루이나이웨이 | 1회 |
최철한 | 3회 |
윤준상 | 1회 |
이세돌 | 2회 |
조한승 | 3회 |
박정환 | 2회 |
굇수 셋이 보인다면 눈의 착각이다
- ↑ 실제로 있다.
- ↑ 계가를 하고 얻게 된 집이 덤보다 많을 때 '반면'이라는 용어를 쓴다. 이때에는 백의 덤이 4집반이었기에 이를 넘어서 2집을 더 얻었다는 뜻이다.
- ↑ 당시 기력은 四단이었다.
- ↑ TV보급이 매우 더뎠기에, 엄청 큰 바둑판을 걸고 수순에 따라 돌을 두는 형식이었다. 지금의 TV 바둑 중계에서 해설자들이 해설하는 형식.
- ↑ 동아일보는 사시로 "문화주의를 제창함"이 있을 정도로 문화에 쏟는 관심이 지대하다. 그 일례로 바둑에 대한 지원이 국수전이다.
- ↑ 지금도 전설로 추앙받는 전승우승의 기록으로 남아있다. 이때는 리그전이었음에도 전승으로 우승
- ↑ 43번기는 결승이 해를 넘어감에 따라 2000년 1월 17일에 도전기 1국이 시작되었다.
- ↑ 사상 최초로 여성기사 우승, 결승 번기의 대전상대는 국수전 최강자인 조훈현 九단, 준결승전에서는 이창호 九단을 이기고 올라왔다.
- ↑ 52번기는 결승까지 빠르게 진행되어 도전1국이 11월 13일에 시작되었다.
- ↑ 휴직사건으로 인해 현재 타이틀은 반납되었다. 즉, 흑역사가 되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우승했던 기록으로써 남겨둔다.
- ↑ 이때는 이세돌 九단의 국내기전 휴직 사건으로 이세돌 九단이 결승기에 나오지 않았다. 때문에 도전기 방식을 제외하고 풀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가렸다.
- ↑ 59기는 도전 1국이 2015년 12월 5일에 시작되었으나 도전 2국부터 해를 넘겨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