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지존록』
1 개요
"적으로 생각하면 진정 싸울 만한 가치가 있는 자였고, 함께 술잔을 기울이면 두주불사로 마셔도 기꺼운 상대였지요. 그만한 인물을 다시 보기 힘들 것입니다."[1]
풍종호의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에서 오십여 년 전, 일기(一奇), 쌍마(雙魔), 삼괴(三怪), 사신(四神)으로 분류되던 천하십대고수(天下十大高手) 중 사신의 한 명이 귀문신투(鬼門神偸)이다. 그것도 말석(末席)으로 꼽혀서 십대고수로 언급되다가도 누군가 새로운 사람을 꼽으면 바로 빠지는 이름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귀문신투는 자기 대신 언급된 자가 마음에 들면 놔두고, 마음에 안 들면 쫓아가서 바지를 벗겨버렸다고 한다.
귀문신투는 본래 대과를 보려는 유생이었다. 빌어먹을 관리 놈에게 호되게 당한 그는 대과에 급제하여 그 빌어먹을 놈들을 날려버릴 목적으로 암자에 들어가서 열심히 공부한다. 산속 암자인지라 소일꺼리로 다른 일을 할 것은 없어서 암자에 굴러다니는 책이란 책들을 닥치는 대로 읽는다. 그중에 왕창 뜯겨 나가고 찌꺼기 먹물 닦는 뭉치가 된 음마비천록의 사본을 얻으면서 무예에 입문한다.
무예에 한 번 빠져들자 결과는 생각도 않고 휘말려 들어가고 말았지만, 글공부도 멈추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나라가 부패해 있어 대과의 장원이 재물로 결정되어 진다고 하자 글공부의 의미가 없어진다. 그리하여 기념품으로 그 빌어먹을 관리 놈과 자식놈의 머리통을 들고 돌아온다. 고민 뒤에 본격적으로 무림에 출사한 귀문신투는 이곳저곳 유람을 하다가 이 년 만에 고향에 다시 들른다.
귀문신투가 이 년 전 벌인 일이 귀신이 탐관을 벌한 것이라는 소문으로 둔갑하여 있었고, 심지어 사당까지 있었다. 그 고장의 새로운 탐관은 사사건건 방해가 되는 그 소문을 없애기 위해 사당을 불태워버리려고 하는데, 이참에 귀문신투는 그 새로운 탐관과 그에게 빌 불어 패악을 떠는 불의한 다섯의 목을 한낮에 잘라 불타는 자신의 사당 안으로 던져 넣는다. 이때 그가 펼친 미완의 음부귀장신법(陰府歸藏身法)은 이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경지에 이르렀고, 그는 이때부터 귀문을 넘나들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게 제멋대로 이십여 년을 천하를 떠돌며 지내는 동안, 어떤 근심도 거리낌도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귀문신투는 제자를 얻는다. 그래서 제자가 자신보다 뛰어난 인물이 되도록 바라는 마음으로 자신이 터득한 것을 능가하는 절기를 찾아다닌다. 그러다 마침내 제세칠성(濟世七聖)의 유적 안으로 들어간다. 일월주천로(日月周天路)의 최상층에서 밑으로 내려와 진정한 일월주천로에 도달하지만, 결국 탈출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석실을 남기며 후대의 인연을 안배한다.
오십여 년 뒤에 무영문(無影門)의 혈채를 갚고자 시조의 절기를 찾아 칠성의 유적에 들어온 풍현이 그 인연에 닿는다. 그는 잡언(雜言)과 무경요람(武經要覽), 신투묘해(神偸妙解)를 얻으면서 진정한 무영문의 절기를 잇게 된다.
2 무공
- 음부귀장신법(陰府歸藏身法) : 무영객이 무상장과 통합한 음부귀장신법이 아닌 변화된 새로운 형태의 음부귀장신법이다.
- 신영장(迅影掌) : 무상장과는 완연히 다른 형태로 보다 완성된 독문장법이다.
- 무적대금나(無敵大擒拿) : '무적'이란 적을 없애는 것이 아닌 적을 만들지 않는다는 주장이고, 그 뒤에 붙은 '대금나'란 마음 속에 적을 가둠으로 세상에 적을 두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그리고 만약의 경우, 마음 밖에 적이 생기면 할 수 없이 가장 빠른 길로 저 세상으로 보내는 조금 실제적인 작은 수법. 풍현도 자주 사용하고, 묵연동(默然洞)에서 묘선자(妙仙子)가 무적대금나로 한선자(恨仙子)의 암기술을 모조리 막아내기도 한다.
- 무상법(無想法) : 방금 있던 일도 태어나기 전의 일처럼 뇌리에서 깨끗하게 접어둘 수 있고, 십 년 전에 있던 일도 지금 눈으로 보듯, 귀로 듣는 듯 생생하게 되짚어 낼 수 있는 심법이다.[2]
- 무애심법(无碍心法) : 음마비천록의 불완전하고, 파편화된 부분에서 얻었던 내공심법을 바탕으로 여기저기서 얻어 배운 연기(鍊氣), 양기(養氣), 취정(聚精)의 비방 중에 해봐서 기별이 오는 것으로 끼워 때웠다고 할 수 있는 내공심법이다. 상당히 애매모호한 심법이어서 본래 천마신공(天魔神功)을 바탕으로 천마호심진기(天魔護心眞氣)를 이끌어내야 하는데, 무애심법은 바로 천마호심진기를 이끌어낸다. 또한, 절대천마(絶代天魔)는 풍현이 뒤로 물로서지 못하는 현상이 이 무애심법 때문이라고 얘기할 정도로 복잡하고 골치 아픈 심법임에 분명하다.
- 이매화영(魑魅化影) : 직접적인 설명이 나오지는 않으나, 이형환위(移形換位)와 비슷한 효력을 가진 매우 빠른 회피성 보법인 것 같다. 이매화영을 전개하면 부수적으로 펼치게 되는 이매장속의 포진을 이용해 간단한 진법을 구축할 수 있다. 풍현이 무상인마(無上人魔)의 마령십이지살(魔靈十二地殺)과 싸울 때, 이를 이용해 잠시나마 은신처를 만든다.
3 기타
- 소선(蕭仙) - 귀문신투 - 봉래파(蓬萊派)는 무슨 연관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