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후백제)

金剛금강 항목의 2 문단의 금강들과 같다.

(? ~ 935)

후삼국시대의 인물.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넷째 아들이다.

1 상세

삼국사기에 따르면 금강은 본래 외모가 훤칠하고 군사적인 재능이 탁월하여 견훤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심지어 견훤은 장남인 신검을 재쳐두고 금강에게 자신의 왕위를 물려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를 시기한 신검은 두 아우인 양검과 용검, 그리고 능환 등과 모의하여 마침내 935년 3월, 쿠데타를 일으켜 왕위를 찬탈하기에 이르었다. 이로 인하여 견훤은 왕위를 빼앗기고 금산사에 유폐당하였고 결국 금강은 신검에게 살해되었다.

금강의 죽음은 견훤으로 하여금 대단히 분노케 했으며 견훤이 위험을 무릅쓰고 필사적으로 금산사에서 탈출해 고려로 가서 후백제를 멸망케 한 것도 이 사건에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신검 아래의 형제들이 각각 양검, 용검으로 돌림자 이름을 쓰는데 유독 금강의 이름에는 돌림자가 없고 형들이 힘을 모아 쿠데타를 일으킨 점 때문에 금강은 윗 형제들과는 배다른 형제일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견훤도 왕건처럼 지방 호족 가문의 여성들과 혼인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았는데, 실제 신검의 어머니와 금강의 어머니는 각각 무진주완산주라는 큰 지역에 기반을 둔 가문들의 여인들이라 서로 오랜 기간 신경전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에 인용된 "이제가기"에는 견훤의 넷째 아들이 '태사 총지'라고 돼있는데 아마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견훤의 아들 중 '수미강(須彌康)'이라는 인물이 기록에 남아 있는데, 이 사람이 바로 금강이라는 설이 있다. '수미(須彌)'를 '금(金)'의 훈독으로 보고 적었다는 이야기인데, 일본서기에서 연개소문(연개금)이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라고 표기된 것과 같은 예라고 보는 것이다.

2 미디어 믹스에서

6844392.1.jpg
드라마 태조 왕건에 등장했다. 배우는 전현.

용맹함과 총명함을 갖추어 아버지 견훤의 사랑을 독차지했으며, 전장에서도 큰형인 신검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줬다.[1][2] 신검이 싸움에 나서면 잘 나가나가다도 고집을 부려 실패하는 데에 비해 이쪽은 그런 것 없이 신중하고, 총명한 모습을 자주 보인다. 다만 신검이 쿠데타를 일으켰을때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는 건 달라지지 않았다.

성격이 모난 것도 아니라 처음에는 형들과 우애있게 지내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였으나, 끊임없는 견훤의 갈굼에 시달려온 신검 입장에서는 대놓고 아버지의 편애를 받는 금강이 곱게 보일 리가 없었던지라 노골적으로 차갑게 대했다.[3] 이 때문에 금강 스스로도 형들에 대한 반감이 생기게 되고, 여기에 권력욕에 앞뒤 못가리는 어머니 고비의 부추김까지 받으면서 급기야 신검을 제치고 견훤의 후계자가 될 결심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금강의 지지 기반이 취약하기 짝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가장 큰 버팀목인 아버지 견훤은 등창으로 인해 병석에 누워 앓고 있던 처지였고, 견훤의 강권에 못 이겨 금강의 후원자가 된 최승우는 본시 중도파였다.[4] 여기에 후백제의 관료들은 대부분 신검을 따르고 있었다. 이처럼 자신을 도울 이라고는 그나마 박영규 정도 밖에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금강은 자신이 견훤의 후계자가 된다는 기대감에만 들떠 판단착오를 일으키는 어리석은 면모를 보여준다.[5] 결국 신검이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제대로 저항조차 해보지 못하고 허망하게 최후를 맞게 된다.

전장에서 화살에 눈을 맞고는 화살에 꽂힌 눈알을 부모님이 주신 것이라면서 씹어먹는 삼국지하후돈 짝퉁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본인이 직접 하후돈의 일화를 언급하며 먹는다. 작가 이환경이 삼국지의 팬이라[6] 금강이 실명했다는 기록을 토대로 삼국지를 덧붙였다고 한다.

별개의 이야기지만. 2014의 사극 드라마 정도전에서 전현은 조준의 역을 맡았는데. 여기서 신검역을 맡은 이광기가 하륜을 역을 맡았다.(...)금강:챠 이 금강은 햄보칼수가 없어! 견훤:또 졌어! 또 졌어! 금강이가 또 졌어!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금강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조물성을 공략할 때 신검이 지휘했을 때에는 죽는 병사만 늘어나고 별다른 진전이 없었던 반면, 금강이 지휘했을 때는 거의 함락시킬 뻔 했다. 다만 운이 없게도 난전 중에 한쪽 눈을 잃어서...
  2. 또한 운주전투 때에도 신검, 양검, 용검은 공명심 때문에 무리하다가 최필, 종훈, 훈겸 등을 잃고 크게 패배한 반면, 금강은 견훤의 병환을 걱정하여 회군을 주장하였다. 이 때문에 견훤은 후방으로 이송할 때 금강을 후계자로 확실히 정한 것이다.
  3. 형들과 같이 나간 조물성 전투에서 금강이 선봉에 서겠다고 하자 신검은 이를 반대하고 예비군으로 남겼다가 자신과 형제들이 지고나자 마지못해 맡긴다.
  4. 신검이 쿠데타를 일으키기 얼마 전, 최승우는 나라의 앞날을 염려하여 금강을 찾아가 후계자 자리를 포기할 것을 종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강은 그렇게 되면 자신은 무조건 죽는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를 단칼에 거절하였다.
  5. 견훤은 자신의 사위라는 명분으로 박영규 장군를 군부의 수장으로 세웠지만, 그 이전에 신검파의 신덕 장군이 오랜 지휘 경험을 바탕으로 사실상 군부를 통제하다시피하였다. 신검파의 쿠데타는 박영규의 납치 감금에서 시작된걸 보면 견훤과 금강은 군부에 대해 너무 안이하게 대처한 셈.
  6. 이 장면은 방영 직후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 삼국지를 흉내냈다는 것도 그렇지만 공중파 드라마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고어한 연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뽑혀나온 눈알을 모자이크 처리도 안 하고 대놓고 내보냈으니... 한 마디로 무리수. 그나마 이후 같은 작가가 집필한 연개소문 드라마에서는 이 부분을 모자이크 처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