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

김기림(金起林, 1908~?)

1 개요

한국의 시인이자, 비평가이다. 필명은 편석촌(片石村)이다. 최재서와 함께 대한민국 문학계에 모더니즘 이론을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비평 및 시작 활동을 한 사람이다.

2 일생

1908년 함경북도 학성군(현 김책시) 에서 태어났다. 1921년 서울 보성고보[1]에 입학하였다가 중퇴하고 일본 도쿄 메이쿄 중학, 니혼대학 문학예술가를 거쳐 1929년 조선일보사 기자로 활동하였다. 1936년 도호쿠 제국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여 1939년에 졸업하였다.

김기림은 종래 1920년대 한국 시단을 지배하고 있던 내용 편향의 문학과 감상주의 문학의 지양을 외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카프로 대변되는 계급문학과 백조파로 대변되는 감상적 낭만주의 시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시 정신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림이 주장한 새로운 시는 건강하고 명랑한 '오전의 시'이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근대적 감성을 담은 과학적 방법으로 쓰여진 시이다. 그가 주장하는 새로운 시는 기차, 비행기, 화물차 등의 근대적 사물을 다루면서 도시적 감각과 정서를 담은 근대성을 주된 정서로 다룬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는 종래의 리듬 중시의 노래하는 시에서 벗어나 이미지와 의미, 음성 자질을 치밀하게 짜맞춘 과학적인 시이다. 문학사조론으로 볼 때는 차가운 이성을 강조하는 주지주의와 회화성을 강조하는 이미지즘의 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태준, 정지용 등의 모더니스트들과 함께 구인회 활동에 활발히 참여했으며, 시론, 평론 외에 실천적 창작도 활발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론가로서의 명성에 비해 시의 문학적 성취는 그렇게 뛰어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30년대 모더니스트들 중에서는 정지용이 섬세한 언어 감각과 감정의 절제를 통한 생동감 있는 이미지의 창출로 가장 성공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방 이후는 모더니스트에서 일변하여 좌익 계열의 조선문학가동맹에 합류하여 적극적인 현실 참여의 시를 쓰게 된다. 김기림 뿐만 아니라 이태준, 정지용, 박태원 등 1930년대 모더니스트들의 상당수가 좌익 계열로 돌아서는 게 인상적인데, 그들이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조선공산당 불법화 및 카프 해산 등으로 이념성의 문학이 사실상 금지되었던 시기였으므로 사상과 관계없이 내면의 문학으로 침잠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했다.

1948년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이 미 군정의 탄압으로 와해되면서 상당수의 인사들이 월북하는 가운데 김기림은 서울에 남아 대학 강단에서 시론을 강의하면서 후학 양성에 몰두해야 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 납북되어 아직까지도 생사가 확인되고 있지 않다.

3 기타

1940년, 김기림은 한 설문[2]에서 20대 때 탐독했던 책으로 최서해의 『탈출기』(1925)를 꼽았으며[3], 30대 때 탐독했던 책으로 D.H.로렌스의 『아들과 연인』(Sons and Lovers, 1913)이라고 하였다.

이상은 그의 유고 <소설체로 쓴 김유정론>에서 '암만해도 성을 안 낼뿐더러 누구를 대하든 늘 좋은 낯으로 대하는 타입의 우수한 견본'이라고 김기림을 소개했다. 관련 기사

김기림이 1949년 이상의 작품들을 모아 『이상선집』[4]을 출간했다. 이는 최초로 도서형태로 출간된 이상의 작품모음집이다. 여기서 김기림은 이상이라는 필명에 대해서 '조선총독부 건축기사 시절 공사장의 한 인부가 실수로 그를 ‘이상(イさん)’ 하고 부른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설명했다.[5]

4 주요 작품

  1. '날개'로 유명한 이상보성고 출신이며 둘은 같은 학교 동문이라 그런지 친분이 상당히 두터웠다.
  2. 잡지 삼천리에서 한 당대 작가들 대상 '작품 애독' 관련 설문조사다.
  3. 모더니스트인 김기림이 신경향파 문학을 탐독했다고 하니 뭔가 이상한 느낌이다(...)
  4. 이상의 소설 3편, 시 22편, 수필 6편이 실렸다.
  5. 하지만 이상의 항목에서도 나오듯이 이상은 그 이전 고등학교 시절부터 '이상'이라는 필명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