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바지

대한민국 육군의 정식명칭은 '방한복 하의 내피'이다. 방한복 상의 내피(깔깔이)와 세트를 이루는 하의로 그냥 깔깔이라고 부르지만 상의와 구분할 때 이 명칭을 사용한다. 깔깔바지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포지션은 전투복건빵바지 아래이지만 추위가 심한 곳은 내복 위 전투복 아래에 입기도 한다. 주저 앉는 포지션. 즉 X싸는 폼을 자주 취할 경우 높은 확률로 검열삭제와 항문 사이의 재봉된 부분이 찢어진다.

초도보급이 안되기 때문에[1] 선임병에게 물려받거나 개인적으로 구입, 혹은 아버지 군번이 사주길 기대하는 수밖에 없다. 특히 가을/겨울군번 신병일 때는 하늘같은 고참에게 감히 달라고 할 수도 없고, 사오면 개념없이 사왔다고 갈굼당할까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자대에 따라 상황이 달라, 병력관리 차원에서 추워지기 전에 빨리 사라고 간부나 선임들이 닥달하는 경우도 있고, 후방부대의 경우 깔바지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추운 지방에서 군생활 할 경우 일상생활의 필수품중 하나이므로 다들 입고다녀서 이등병도 눈치 안보고 사입는 경우도 있다.

궁극의 레어오리 깔바지는 착용시 미쉐린 타이어 캐릭터같아 보인다.

만약 바느질에 재주가 있고, 여름 전역자 등이 벗어놓고 간 깔깔이 상의를 얻을 수 있다면 재활용해서 깔바지를 만들어 입을 수도 있다. 혹은 찢어져서 창고에 들어간 깔바지를 얻어다 수선해서 입을 수도 있고.
  1. 이거 개인 보급품도 아니고 목록에도 없다. 정식으로 보급되는 방한복 하의 내피는 부대 단위 품목으로, 동계에 경계근무를 서는 인원들이 몇 벌을 돌아가면서 입는거다. 병사끼리 물려입거나 병장들이 그냥 입고 다니는 깔바지는 100% 사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