初度補給
initial supply; initial issue
1 개요
창설부대나 증편부대에 대하여 초도소요품으로 인가된 물자나 건의에 의해 인가를 득한 물자를 해당 보급지원부대에서 보급하는 최초 보급품을 말하며, 해군에 서는 최초 보급이라고도 한다. 이전 문서에서는 훈련병에게 처음으로 보급품을 주는 것으로만 나와있는데 실제로는 부대단위에서 부터 개인까지 최초 보급품을 지급하는 광범위한 뜻으로 쓰인다.
참고로 초도보급으로 나오는 물건 중 애초에 소모품인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추가로 보급이 안되는 것이 많다. 즉, 한 번 받으면 정말로 마르고 닳도록 써야한다. 개인 지급품 기준으로 몇몇 물품은 자대에 배치된 뒤에 한 번 정도는 추가 보급을 받거나 일정 기간마다 보급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론 잘 안나온다. 전투화나 야전상의의 경우 정말 못쓸 정도가 되면 1회에 한해 보급을 받을 수 있지만, 보급을 받을 수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1]
훈련병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군대에서 훈련병이 훈련소 과정 수료 후 처음으로 보급품을 주는 것.
(다른 나라도 그렇겠지만)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보급품과 함께 보급품을 함께 들고갈 보급주머니도 준다. 이 주머니를 더플백이라고도 부르는데 정식 명칭은 '의류대'다. 자대로 갈 땐 여기에 물건을 차곡차곡 잘 정리해서 넣어두면 그걸 풀어주는 바로 윗고참들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문제는 원래 이 때 초도보급이라고 해서 새 것을 줘야하는데, 부대에 따라서, 악질조교에 따라서 신병들에게는 헌 보급주머니를 주고 자기들이 새 보급주머니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사실 상황훈련시 짐을 쌀 때 이외엔 쓸일이 별로 없는 물건이고, 자대에도 꽤 남아도는 물건이라 큰 상관은 없다.
2 대한민국 국군 초도보급 품목(현역병 기준)
- 전투모 1착 (육군한정 베레모)
- 정복 1벌(육군 제외)
- 전투복 상하의(동, 하계) 3벌 [2]
- 삼각팬티 4매(갈색&국방색, 공군은 흰색)
- 사각팬티 3매(이쪽은 랜덤. 단 자신의 사이즈가 클 수록 사각팬티는 큰사이즈가 없기때문에 삼각팬티만 보급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충역 훈련소에서는 더욱 그렇다.)
- 런닝(소매(T형), 민소매(R형)) 각 3매 (공군한정 모두 T형)
- 디지털 런닝(기능성 티셔츠) 1매
- 동내의 상하의 2벌
- 방한복 상의 내피(일명 깔깔이)
- 방상 외피(야전상의)
- 얼룩요대+버클 → 버클없는 디지털 요대(2012년 11월 군번 이후)
- 양말(면2, 모4, 방한용2) 8켤레
- 전투화 2켤레 [3]
- 동계 활동복 상하의 1벌
- 하계 활동복 상하의 2벌
- 춘추 활동복 1벌
- 세면백 + 바느질 세트(실+바늘)
- 세면비누 + 비누갑
- 세탁비누 or 가루비누
- 치약, 칫솔
- 면도기와 면도날 2개
- 활동화 1켤레
- 슬리퍼 1켤레
- 장갑(외출용, 전피장갑, 모장갑, 방한장갑)
- 의류대(더플백)
- 수건 4개, 손수건 2개
- 군번줄(인식표)
- 휴지 2롤
- 구두약, 구두솔
- 안면마스크[4] 1착
- 세탁망 2망
- 수양록 1권
- 손발톱정리도구(손톱깎이)
- 이등병 계급장 4개(벨크로3, 일반1)
-
고무링[5]
- ↑ 이런 문제가 없는 부대가 있는데 바로 보급수송대대다. 부대 특성상 엄청나게 많은 물품을 가지고 있어서 이쪽은 뭔가 모자라다는 개념과 거리가 멀다. 전역하는 선임의 군복이나 활동화, 군화 같은 것을 물려 받아야 할 정도로 사정이 열악한 경우가 많은데, 보수대에선 활동화를 신다가 빨때가 되면 버리고 새 활동화를 신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충격을 받기도 한다.
- ↑ 하계용 1벌, 사계절용 2벌.
- ↑ 2013년 말 이후로 102보충대 입소장병들은 기능성 전투화 두 켤레를 지급받는다.
- ↑ 2012년 1월 이후
- ↑ 이젠 더 이상 지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신교대나 훈련소에서는 잘만 지급한다 카더라... 예비군 복장단속이 빡세져서 신형군복에도 고무링을 요구하는
윗대가리 븅신들경우가 많아 잃어버리지 않고 잘 간수하면 훗날에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