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거품사건

the-south-sea-bubble.jpg파일:Attachment/largecompany.jpg
주가변동표거품 3대천왕의 기업 규모의 위엄

1 개요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수 있어도 인간의 광기는 도저히 측정할 수 없다.(I can calculate the movement of the stars, but not the madness of men)

아이작 뉴턴[1]

1720년 영국을 뒤흔든 경제위기. 네덜란드의 튤립 파동, 프랑스의 미시시피 거품과 더불어 고전 경제기의 경제위기 중 하나로 꼽힌다. 옛날에 나온 책에서는 일본식 표기인 "남해의 포말"로 표기하기도 한다. 포말(泡沫)은 물거품을 의미. 대한민국과는 무관하다.

2 사건 진행

2.1 남해회사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는 본래 영국 정부가 남미와의 무역을 전담할 목적으로 전직 재무장관이자 문학작품 수집가로도 유명한 로버트 할리(Robert Harley)백작[2]이 세운 일종의 공기업이었다. 그러나 이는 겉으로 내세운 목적이었고 기실은 영국 정부의 채무상환 이자가 너무 커져서 그것을 떠넘길 차원에서 만든 회사였다. 한 이자폭탄 하실래예? 이에 따라 1711년에 영국 정부의 부실채권과 증권 1000만 파운드를 남해회사 주식으로 전환하고 돈이 되는 노예무역을 독점할 수 있도록 특권을 주었다. 할리 백작과 남해회사는 좋아했지만 결과는 썩 좋지 못했다.

남미를 장악한 나라가 가상적국스페인이였으니 무역이 순탄할 리가 없었다. 이익금의 25퍼센트는 스페인 국왕에게 귀속된다는 조건 아래에 1년에 단 한 번 영국 무역선이 페루칠레, 멕시코를 오가며 교역을 할 수 있다는 계약이 맺어졌지만 1717년에서야 이루어졌고, 남해회사는 이 교역으로 이익은 커녕 자본금만 까먹었다. 게다가 이듬해인 1718년에는 스페인이 영국 선박의 입항을 금지시켜 남해회사는 200만 파운드의 빚을 지게 되었다. 그러자 남해회사는 노예무역 대신 금융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당시 영국에는 잉여자본들이 쌓여 있어 이를 노리고 복권형식의 채권을 판매했는데 이게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이것이 성공을 거두자 남해회사는 본격적으로 금융회사로의 변신을 추진하게 된다.

2.2 주식 발매와 투자광풍

남해회사는 이에 영국 정부에게 회사 주식을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얻어내려 했다. 물론 다른 은행들도 이 권리를 얻어내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펼쳤고 남해회사는 전환사채(만기 8년에 연이율 5퍼센트)를 발행해 3,100만 파운드의 국채를 전액 인수하겠다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지만, 당시에는 국채에 대한 인식이나 신뢰도가 극히 낮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효과를 저울질했고, 의회에서는 논란이 일어났다. 결국 여기에 혹한 영국 정부는 남해회사에 주식의 일반 공개 권리를 부여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750만 파운드의 상납금을 내야 했는데 이는 남해회사의 당시 재정상황을 생각하면 상당한 부담이었다. 이에 남해회사는 마치 판돈이 아주 크게 걸린 도박판에 올인한다는 심정으로 단박에 엄청난 이윤을 내서 상황을 만회하려 했다.

이를 위해 남해회사는 무리하게 주가를 높였는데 1720년 6월 초, 설립 이후 9년간 주당 100파운드로 시작한 주가가 세 배 할증발행이라는 신규 공급에도 890파운드까지 치솟았고, 8월 초에는 스페인으로부터 남미 지역 전 항구에 대한 기착권을 따냈으며 새로운 금광을 발견했다는 소문이 돌면서 무려 1,000파운드까지 치솟았다. 1월에 남해회사 주식을 구입했다면 8월초에는 무려 10배가 넘는 이득을 볼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당연히 앉아서 몇 배로 돈이 불려진다는데 가만있을 사람이 없었다. 남해회사 주식을 못 가지면 바보, 해마다 몇 백 퍼센트씩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식이라는 소문까지 퍼지기에 이르렀다. 위대한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을 비롯해 로빈슨 크루소의 저자인 대니얼 디포, 연작화 "어느 난봉꾼의 일생"으로 유명한 영국의 화가 윌리엄 호가드 등의 유명인들도 남해회사 주식에 투자했다. 특히 디포는 격일간지<리뷰>를 창간해서 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주식시장에 관한 기사와 사설을 빈번하게 실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서 얼마 남지 않은 재산을 전부 잃어버리고 10년 뒤 가난과 무관심 속에 사망했다. 또한, 뉴턴이 보유한 주식은 한때 평가이익 7,000파운드를 달성하기도 했지만 끝내는 2만 파운드를 날렸다. 요즘 가치로 따지자면 20억이라는 거액을 잃은 것이었다.

2.3 거품은 꺼지고 템즈강 정모가 개최되다

그러나 무한히 부푸는 풍선이 없는 것처럼, 남해회사의 광풍같은 투자도 그 끝으로 치달았다. 문제는 남해회사가 엄청난 이득을 보자 다른 이들도 씨바 우리도 주식으로 돈 못벌거 뭐냐라면서 정부 허가도 안 받고 불법으로 주식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시중에 주식 공급이 마구 넘쳐났고 당연히 주가는 떨어지기 시작했다. 상황이 안 좋다고 느낀 영국 정부는 서둘러 1720년 6월 24일에 "거품 방지법"을 제정하고 무허가 주식회사들을 단속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 자체가 페이크였다. 남해회사는 무허가 주식회사들로 인해 주가가 떨어지자 주가를 다시 높이기 위해서 의원들에게는 로비를 했고, 스페인과 조약을 맺어 남미 주요 항구에 대한 통상권을 확보했다는 소문을 퍼트렸다. 심지어는 은이 철만큼 많이 생산되는 포토시 은 광산의 운영권을 남해회사가 따내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정상적으로 보면 스페인과의 통상 조약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스페인이 자국 경제의 중요한 젖줄 중 하나인 포토시 은광산의 운영권을 영국 회사 따위에게 줄 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소문이 신빙성있게 나돌았다는 자체가 당시 사람들의 탐욕어린 광기를 보여주는 주요한 사례가 된다. 사실 고종운산 금광의 채굴권을 외국인에게 넘겼던 등의 사례가 물론 있지만, 이건 고종이 망국 직전(1890년대)에 어떻게 다른 외국 세력을 끌어들여 보겠다고 한 일이다. 1700년대의 스페인은 카를 5세, 펠리페 2세의 시대만큼은 아니었지만, 카를로스 3세의 노력으로 상당히 국가적 안정을 찾아간 시기로 고종마냥 중요한 광산을 다른 나라 사람에게 그것도 역사적으로 사이가 안 좋은 영국 사람에게 가져다 바칠 이유가 하등에 없었다.

시장에서 남해회사의 주가가 오르자 의회는 1720년 4월 남해회사가 제안한 법률을 통과시킬 수 밖에 없었는데, 그들 중에서도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았고, 만약 주가가 더 오르면 남해회사의 주식과 국채의 교환비율이 떨어져서 정부가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주식이 주당 1,000파운드라는 가격을 찍을 수 있었던 것이었다. 정부관료들은 주식이 오를대로 오르자 주식을 팔아치우기 시작했다. 정부관료들이 팔아치운다는 소문이 들려오자 남해회사 주식은 다시 흔들리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그간 남해회사의 허풍으로 오르던 주식이 남해회사의 사업 이득이 별로 없다는 의심이 커지고, 소문이 거짓으로 밝혀지자 사람들은 이제 앞다투어 팔자로 돌아섰다. 결국 9월 주가는 주당 150파운드까지 떨어지기에 이르렀다.

템즈강 수온은 따뜻하냐?

결국 엄청난 손해를 보고 파산한 투자자들이 영국 정부에 거세게 항의했고 결국 정부가 조사를 벌여 남해회사에서 뇌물을 받고 내부 정보를 제공받아 주식을 매도한 정부 관료들을 쳐내야 했다. 고점에서 남해회사 주식을 팔아 90만 파운드라는 거액을 챙겼던 재무부 장관은 런던 탑에 수감되어야 했고 당시 수상이던 스턴호프는 국민들의 빗발치는 비난에 수상자리에서 물러났고 그 며칠 뒤에 급사하고 말았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영국 경제도 타격을 심하게 받았는데, 거품 방지법으로 회사 설립에 까다로운 제약이 가해졌고, 투자를 선동한 자의 재산을 몰수한 이후 영국의 자본 형성이 크게 둔화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영국은 이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었는데, 때마침 이루어진 신대륙 개척과 신기술, 학문의 발달이라는 것으로 이 위기에서 헤어나온 것이었다.

당시 영국 주식시장 규모가 약 5억 파운드로 추정되는데 이는 국내총생산의 약 7배에 달하는 규모였다. 요즘 미국 주식시장 규모가 국내총생산의 2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사건의 버블이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다.

2.4 이득을 본 사람과 후세에 남긴 것

그러나 소수나마 이득을 본 사람들도 있다. 조지 프레드릭 헨델의 경우는 남해회사 주식을 잘 팔아서 그 수익으로 왕립 음악 아카데미를 설립해서 자기 베이스로 잘 써먹었다. 그리고 훗날 영국 수상에 오르는 윈스턴 처칠의 9대조 할머니이자 당대의 영웅이었던 영국군 사령관 존 처칠의 아내, 사라 처칠은 남해회사 버블 시기에 주식투자로 무려 10만 파운드를 벌었다고 한다. 사실 제로섬 법칙이 어느정도나마 적용되는 분야라서 다수가 잃은 손해만큼 누군가는 이득을 얻게 된다.. 사회적 혼란은 알게 뭐야.[3]

그리고 재정 전문가 로버트 월폴조지 1세의 명으로 사태 수습에 나섰다. 물론 월폴은 남해회사 설립에 관여한 휘그당 출신이라 이 사태를 엄정하게 처리하면 정권이 토리당에게 넘어갈까봐 되도록 덮는 쪽으로 사태를 해결했다. 하지만 어쨌든 월폴에 의해서 경제적인 문제는 어느 정도 혼란이 수습되었고 조지 1세는 이런 월폴을 신뢰하여 월폴에게 정권을 맡기게 되었다. 남해회사 사건을 처리한 공으로 월폴은 1742년까지 장기집권했고 오늘날 영국 의원내각제에서 월폴은 초대 수상으로 여겨진다.

또한 찰리 스넬이 남해회사의 회계를 담당하던 브릿지 상회의 회계장부를 조사하면서 "브릿지 상회의 회계장부에 대한 소견"이라는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는데 이것이 세계 최초의 회계감사 보고서가 되었다. 이후 남해회사와 같은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영국 정부는 주식회사들은 반드시 제3자를 통해 회계기록 평가를 의무화 하여 영국에서 최초로 공인회계사와 회계감사의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물론 사람이 하는 일이라 이후에도 이런일이 안 일어났던 건 아니지만.300년쯤 뒤의 엔론이라던가 그리고 사족을 달자면 정부의 공식문서에서 버블이라는 용어가 이 사건 때 처음으로 쓰였다.
  1. 남해회사 주식으로 돈좀 만졌다가 다시 재투자해서 폴딱 말아먹은뒤(...) 뉴턴이 내뱉었다는 말이다. 속사정을 모르고 보면 마치 뉴턴이 쿨시크하게 제3자 입장에서 사태를 지켜본 다음 내뱉은 명대사 같지만 실상은 뉴턴도 한 마리 개미였던 것.
  2. 그 할리와는 성도 다르고 전혀 관계 없다
  3. 사실 이런 버블 붕괴 사건은 사회적 혼란, 경제시장의 경직, 줄도산 등을 거의 반드시 수반하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제로섬 게임이 나지 않는다. 사회적 후생 손실이 그 와중 이득을 얻는 사람의 이득보다 더 클 수 밖에 없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