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고르 브라골라크

가운데땅 세계관의 대전쟁들
등불의 시대
아르다 최초의 전쟁
나무의 시대
권능들의 전쟁 벨레리안드의 첫 전쟁다고르 누인길리아스
태양 제1 시대
다고르 아글라레브다고르 브라골라크한없는 눈물의 전쟁분노의 전쟁
태양 제2 시대
제1차 반지전쟁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태양 제3 시대
제2차 반지전쟁
제4 시대 이후
다고르 다고라스

1 개요

다고르 브라골라크는 벨레리안드 4번째 대전쟁으로 태양 제 1시대 455년에 발발하였다. 명칭인 다고르 브라골라크는 돌발화염의 전투라는 뜻이다. 이 전쟁 이후로 요정들과 모르고스의 전쟁의 주도권이 모르고스 측으로 넘어가게 된다.

지도 http://vignette2.wikia.nocookie.net/lotr/images/3/37/Dagorbragollach.gif/

2 전쟁의 배경

모르고스는 이전 전투인 다고르 아글라레브에서 참패를 당한 이후 거의 300년 간 큰 전쟁을 일으키지 않고 앙그반드에 가만히 도사리고 있었다. 한편 당시 놀도르 대왕이던 핑골핀은 동부에서 인간들이 유입되었고 요정들의 숫자도 늘어 전력이 확충된 지금이 모르고스를 공격할 최적의 시간이라고 주장하며 앙그반드에 대한 선제공격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늘 앙그반드를 보고 살던 앙그로드아이그노르를 제외한 모든 요정군주들이 반대함으로써 공세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오랜 세월 동안 전쟁을 준비했던 모르고스는 준비가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전쟁을 개시한다. 그리고 어느 날 밤 요정군주들이 제대로 된 준비를 갖추지 않았을 때, 갑자기 대규모의 화염을 내뿜으며 전쟁을 개시했다.[1] 이 공격으로 앙그반드 앞의 평원[2]이 모두 불타 사막이 되었고 그 평원에 있던 요정군주들의 전진기지 몇몇은 아예 불타 버렸다.

3 중앙전선

화염의 강을 발원시켜 도르 다에델로스를 불태운 모르고스는 곧장 군대를 진격시켰다. 가장 먼저 당한 것은 도르소니온이었다. 도르소니온은 당장 앙그반드와 도르 다에델로스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던 최전방이었는데, 이곳은 피나르핀의 둘째와 셋째 아들인, 앙그로드아이그노르가 지키고 있었다. 모르고스가 도르소니온을 공격한 이유는 여기가 벨레리안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점령해야 했던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이곳을 점령한다면 서로 보일 정도로 가까운 상고로드림에서 도르소니온을 지원하여 전진 기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였고, 동시에 동부의 페아노리안과 서부의 핑골핀 가문의 연결을 단절시킬 수 있다는 전략적 장점도 있었다. 또한 도르소니온을 점령할 경우 도리아스로 남하할 길이 열린다는 이점도 있었다. 사족으로, 같은 이유로 도르소니온은 이전 전쟁인 다고르 아글라레브에서도 목표가 되었다.
모르고스군의 공격을 막아내다가 앙그로드와 아이그노르는 전사하고 그들의 영지인 도르소니온은 모르고스의 손에 넘어가게 된다. 피나르핀의 장남인 핀로드는 나르고스론드에서 지원군을 이끌고 동생들을 지원하러 달려오다가 세레크 습지에서 패배하고 자신도 죽을 고비를 맞지만 인간 가신인 바라히르[3]의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을 구해 달아난다. 이후에도 핑골핀의 히슬룸에서도 지원 시도가 있었지만 패퇴당했고 결국 도르소니온은 모르고스의 손에 들어간다. 바라히르는 도르소니온이 함락당한 이후에도 항전을 이어갔지만 결국 남아있던 소수의 무리와 함께 전멸하고 만다. 바라히르의 무리 중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은 베렌이었다. 바라히르와 베렌에 관한 이야기는 "베렌과 루시엔" 부분 초반에 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4 동부전선

동부전선은 페아노르의 아들들이 맡아 지키고 있었다. 동부전선 중에서도 중앙은 맏이인 마이드로스가 자신의 성인 힘링에서 최전방을 맡았고, 그 동쪽으로는 둘째 마글로르가 지키는 계곡이 있었다. 서쪽에는 각각 셋째, 다섯째인 켈레고름과 쿠루핀이 지키는 아글론 고갯길이 있었고 넷째는 마글로르의 계곡의 후방인 사르겔리온에, 막내 쌍둥이는 더 먼 후방에 있었다. 이 중에서 아글론 고갯길과 힘링, 마글로르의 계곡에 모르고스의 공세가 집중된다.
동부전선 중에서도 아글론 고갯길은 모르고스가 벨레리안드로 남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길목이었다.[4] 그리고 켈레고름과 쿠루핀이 지키던 아글론 고갯길은 거센 공격에 뜷렸다. 켈레고름과 쿠루핀은 남은 세력을 데리고 나르고스론드로 도망친다. 마글로르의 계곡도 함락당했지만 마글로르는 도망치는 대신 바로 옆인 힘링으로 달려가 형에게 합류한다. 마글로르의 계곡 뒤의 사르겔리온(혹은 도르 카란시르)[5] 역시 연이어 함락당했다. 카란시르도 남은 세력을 이끌고 멀리 있는 막내들에게 향한다. 그러나 가장 거센 공격을 받았던 힘링에서는 마이드로스가 엄청난 무용을 눈에 불을 켜고발휘하여 모르고스군을 격퇴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켈레고름과 쿠루핀이 지키던 아글론 고갯길이 함락당하면서 모르고스는 벨레리안드로 남하할 수 있는 길을 확보하게 된다.

5 서부전선

한편 핑골핀은 자신의 왕국에서 도르소니온이 함락당했고 페아노르의 아들들도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자 놀도르의 세력이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무너졌다고 판단[6]하고 분노와 절망에 빠져 단기로 모르고스에게 도전하러 달려간다. 분노에 찬 핑골핀의 모습은 마치 오로메처럼 보였다고 하며 모르고스의 군대는 아무도 그를 가로막지 못한다. 아무 방해 없이 모르고스의 요새 앙그반드에 다다른 핑골핀은 소리높여 모르고스를 부르며 도발한다. 모르고스는 발라 중 유일하게 두려움을 느낄 수 있는 존재였기 때문에 그 목소리에 두려움을 느꼈지만 결국 체면 때문에 그의 도전을 받아들이고 앙그반드 밖으로 나간다. 그는 무늬 없는 검은 방패와 그론드라는 망치로 무장하였다. 이 결투는 모르고스가 승리하였으나 모르고스도 일곱 군데에 상처를 입고 그 이후로 다리를 절게 되었다. 이 결투의 자세한 내용은 핑골핀 문서 참조. 핑골핀이 이렇게 전사한 뒤 그의 장남인 핑곤이 놀도르의 대왕에 오르게 된다.

  1. 용암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2. 지명은 도르 다에델로스. 단 도르 다에델로스는 앙그반드 주변을 모두 가리키는 지명이다.
  3. 베렌과 루시엔 이야기의 주인공인 베렌의 아버지.
  4. 다른 길목은 서부 전선의 시리온 통로였다.
  5. 카란시르의 영지
  6. 오판이었다. 일단 마이드로스가 힘링을 방어하는 데 성공했고 그 외 곤돌린이나 나르고스론드 등 건재했던 국가들이 남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