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코타랍토르

다코타랍토르
Dakotaraptor steini DePalma et al., 2015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미분류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chia)
아목수각아목(Theropoda)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아과†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Dromaeosaurinae)
†다코타랍토르속(Dakotaraptor)
D. steini(모식종)

1 개요


복원도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에 존속한 거대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수각류. 몸길이는 5.5m정도로 추정되며 다른 어떤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보다 크고 유타랍토르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헬 크릭 층에서 산출되었다. 다코타랍토르가 산출된 모식 기층에서는 다른 수각류의 화석은 보고되지 않았다. 동시대에 존속한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으로는 아케로랍토르가 있다.[1]

2 상세

이 공룡의 척골에 있는 깃혹(quill knob)[2]들은 이 공룡이 깃털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거대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 공룡이 소형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처럼 깃털이 나 있었음을 보여주는 첫번째 사례이다. 어떤 개체는 더 강건하며 어떤 개체는 조금 더 호리호리하며 이들이 서로 비슷한 연령대인 것을 보아 같은 종 내부에서도 개체마다 체형이 크게 달랐으며 이는 성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성적이형에 따른 것이라 해도 어떤 개체가 암컷이고 수컷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 공룡의 발견으로 헬 크릭 층의 포식자들이 아케로랍토르같은 소형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와 티라노사우루스같은 대형 수각류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다는 기존의 견해가 수정되었고 이들 사이에 중형 수각류 그룹인 다코타랍토르가 있었으며 이들은 다른 두 그룹과는 다른 종류의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코타랍토르는 몸길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아성체 티라노사우스와 경쟁했을 것이다.

최초 논문 발표 이후, 모식표본에 있던 차골이 실은 같은 지층에서 살았던 거북의 잔해라는 의견이 나왔고, 결국 2015년 12월 초에 해당 차골은 사실 자라의 복갑 일부였다는 논문이 나왔다. 단 학명이 말소될 정도의 심각한 사항은 아니었기에 존재가 부정당하지는 않았다.

속명은 지명인 다코타 주(Dakota)에 '약탈자'라는 의미의 raptor가 합쳐진 것이고 종명은 고생물학자 Walter W. Stein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3 대중매체


논문 발표와 동시에 헬크릭 지층이 배경인 게임 사우리안에 등장이 확정[3]됨은 물론이고 컨셉아트까지 함께 공개되었다. 참 발빠르다.[4] 그리고 이에 질세라 메소조이카에도 등장 예고가 떴지만 논문이 올라오기 전에 D-Raptor라는 이름으로 자신들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언급을 해서 논문 저자가 매우 화났다는 비화가 있다.

4 참고자료

해당논문 링크는 Robert A. DePalma, David A. Burnham, Larry D. Martin, Peter L. Larson, and Robert T. Bakker(2015) "The first giant raptor (Theropoda: Dromaeosauridae) from the Hell Creek Formation"이며 Pdf파일로 다운받아 열람할 수 있다.

5 기타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 중에서는 비교적 큰 체구에 몬태나에서 발견된 것으로 인해 모 영화공룡(?)현실화 되었다는 드립이 흥하고있다.[5] 이는 유타랍토르 발표 후에도 있었지만, 유타랍토르는 영화상의 랩터보다 체구가 조금 더 크기도 하고, 새로운 표본에 의하면 체형 역시 딴판이기에 이후에는 자주 엮이지 않은 편. 또한 다코타랍토르는 쥬라기공원 시리즈의 얼굴마담인 티라노사우루스와 공존했기에 이런 드립이 더욱 흥했다.

이와는 별개로 두개골이 발견되지 않아 일각에서는 그냥 덩치 큰 아케로랍토르가 아니냐 하는 드립도 나오고 있다(...). 공교롭게도 아케로랍토르는 두개골 일부로만 알려지기도 했으니...
  1. 불확실한 종류로는 드로마이오사우루스,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도 있긴 하다.
  2. 벨로키랍토르에서도 보고된 적이 있다!
  3. 이후 2016년 4월경에 아케로랍토르를 제치고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4. 사우리안 제작진들은 헬 크릭 지층에 대해 연구하던 학자들에게 팁을 미리 받아왔기 때문에 이러한 미발표된 연구와 관련된 컨셉아트도 빨리 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5. 실제로 쥬라기 공원1편에서 랩터화석을 발굴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자막으로 몬태나라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