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키랍토르 | ||||
Velociraptor Osborn, 1924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미분류 | 석형류(Sauropsida) | |||
목 | 용반목(Saurichia) |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
과 |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 |||
아과 | †벨로키랍토르아과(Velociraptorinae) | |||
속 | †벨로키랍토르속(Velociraptor) | |||
종 | ||||
†V. mongoliensis(모식종) †V. osmolskae |
복원도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모습귀엽다
골격도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 대륙에서 서식했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수각류 육식공룡.
벨로키랍토르 혹은 벨로시랩터.이름의 뜻은 "날쌘 도둑" 혹은 "재빠른 강탈자"라는 뜻.
벨로키랍토르의 화석은 1923년 몽골의 고비 사막에서 미국 뉴욕 자연사 박물관에서 파견한 미국인 화석 탐사대에 의해 발견되었다.그리고 이듬해인 1924년 미국의 공룡학자 헨리 F 오즈번 박사에 의해 지금의 이름이 명명되었다.그러다가 미국과 소련이 치열하게 대립하던 냉전 시대때 소련과 폴란드의 과학자들에 의해 몽골에서 화석들이 추가로 발견되었고 1988년에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도 벨로키랍토르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공룡이 유명해진 건 바로 1971년 몽골 고비 사막에서 폴란드 탐사팀에 의해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다 죽은 화석을 통해서였다. 처음에 발견되었을 당시 프로토케라톱스가 벨로키랍토르의 다리를 물고, 벨로키랍토르는 프로토케라톱스의 목에 발톱을 박은 형태 그대로 화석이 되었는데 이를 놓고 학자들은 벨로키랍토르가 프로토케라톱스를 사냥하던 중 둘이 물고 싸우다가 모래더미나 돌 무더기에 파묻혀서 그리 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상단 두 번째 항목의 그림이 바로 이를 묘사한 그림이다.[1]
몸길이는 약 2m 정도이지만 몸높이는 0.5~0.9m로 성인 남성의 허리에도 못닿을 정도이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놓고 봤을땐 몸집이 작다.
2 사냥 방식 관련사항
2.1 무리사냥을 했을 가능성
갈리미무스를 사냥하는 벨로키랍토르
대중 매체들에서 자주 오늘날의 리카온과 늑대[2]처럼 무리사냥을 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하지만 단체로 발견되는 화석이 없는 점을 들어 단독생활을 했을 것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실제로 벨로키랍토르는 친척인 데이노니쿠스[3]와 달리 여럿이 같이 발견된 사례는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증거들은 이들의 무리생활, 그리고 어쩌면 무리사냥까지 지지한다. 일단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4] 보행렬들 중에서는 여러 개체가 같은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달린 경우가 여럿 있다[5]. 특히 벨로키랍토르가 발견된 지층에서는 세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6]가 한 오르니토미무사우루스과의 공룡을 쫓는 듯한 발자국 보행렬도 나왔다고 한다.
그래서 현재로서는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에서는 무리를 지었던 듯한 공룡들이 있었고, 벨로키랍토르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2.2 발톱의 용도는 무엇이었나?
벨로키랍토르의 외형적인 특징으로는 긴 주둥이, 접히는 앞발, 그리고 유명한 두번째 발가락 발톱이 있다. 다른 발톱 중 가장 크며 달릴 때는 세워서 보호한다. 한때 학자들은 벨로키랍토르가 사냥시 이 긴 발톱을 상대방의 몸에 박아 넣어 피부를 가르는 방식으로 공격했다고 추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뒷발톱같은 경우에는 모의실험 결과 돼지가죽[7]조차 찢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8] 대신 맹금류처럼 먹잇감을 붙들어 잡기에는 적합하다고 하니 적어도 뒷발톱은 살상용보다는 붙들기 용도로 쓰였을 지도 모른다. 어쩌면 먹이의 목에 발톱을 박아넣었을 수도 있다.
3 깃털 공룡
2007년 벨로키랍토르 앞다리뼈에서 깃털 부착점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발견되면서 이제는 벨로키랍토르가 잘 발달된 날개를 가졌을 거라는 견해가 학계에서 지배적이다. 육상에서 날개가 무슨 필요가 있겠냐고 할 수 있겠다만 오늘날 타조는 큰 날개를 이용해 빨리 달릴 때에도 꽤나 민첩한 회전을 하고, 둥지를 품을 때 알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는 등, 벨로키랍토르가 그 날개를 잘 활용했을 방법은 많은 셈이다
고생물학자들은 직접적인 깃털의 증거가 없는 공룡들이[9] 깃털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단할 때는, 계통학적 바구니를 사용한다. 짧게 설명하자면, 이 방법은 그 공룡이 속한 계통과 주변 계통들에게서 발견된 외피 증거들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다. 일단, 벨로키랍토르가 속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는 조류와 매우 가까운 계통이다. 또한 이들보다 더 조류와 연관성이 적은 공룡들에게서도 다양한 형태의 깃털[10]그리고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안을 보면, 백악기 중국에서 발견된 수많은 화석들에게서 동물의 실루엣(근육과 피부)를 가릴 정도로 두꺼운 깃털층,[11] 커다란 앞다리 날개, 심지어 뒷다리 날개까지 발견되었다.
게다가 해부학적 특징들 또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12]가 나무 사이를 깃털이 달린 날개로 글라이딩하던 공룡들의 후손임을 보여준다. 즉, 이들은 마치 타조나 오늘날의 육상조류 같은 셈이다. 그리고 물론, 오늘날 육상조류는 깃털을 매우 찰지게 달고 있다.
이 모든 것으로 보면, 벨로키랍토르는 넓은 깃털 공룡들의 가계도에서 깊숙히 있는 것이라 보면 되겠다.
물론 쥬라기 공원 시리즈와 그를 이은 이은 여러 대중매체에서 비늘 벨로키랍토르가 가진 인기와 영향 때문에, 깃털 벨로키랍토르는 "그저 가능성"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 고생물학자의 말을 따르자면, "벨로키랍토르가 깃털이 없었을 가능성은 여느 조류가 깃털이 없었을 가능성과 거의 같다"라는 소리가 최근 나올 정도로 현재 벨로키랍토르나 데이노니쿠스,드로마이오사우루스 같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 공룡들의 모습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같은 무리에 속한 공룡 종류들에게서 깃털의 증거와 흔적등의 발견이 되면서 깃털이나 털을 지닌 모습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시각에서는 '깃혹만 나왔지 깃털 자체가 나오지 않았으니 깃털이 없었을수도 있지 않냐'는 의심을 하기도 한다. 특히 플라밍고나 호아친 등 깃혹이 없는 새들의 예를 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의견에는 모순이 있는게, 뒤집어 생각해보면 깃혹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공룡에게도 칼깃이 있었다는 전제 역시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내에서 깃혹의 존재가 밝혀진 종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내에서도 극히 일부며, 역시 칼깃이 보고된 오비랍토로사우루스상과에서도 깃혹 혹은 깃털 부착점이 발견된 예 역시 일부 종에 불과하다. 더군다나 애초에 깃혹만 있고 깃털이 없는 조류가 전무하다는 점을 보면 더더욱 허술한 반론인 셈. 또한 깃털의 흔적이 남아있는 공룡의 화석은 대부분 연조직을 온전하게 보존시킬수 있는 지역에서만 발견된다는 특징이 있다. 미크로랍토르나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같이 깃털의 존재가 입증된 공룡들은 대부분 중국 랴오닝 성에서만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아르카이옵테릭스나 쥐라베나토르도 마찬가지로 연조직을 온전하게 보존시키는 독일의 졸른호펜(Solnhofen) 지역에서 발견되었기에 깃털의 흔적이 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벨로키랍토르나 데이노니쿠스, 드로마이오사우루스 같은 대표적인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 공룡들이 뼈나 두개골, 뼈대의 깃털 부착점등만 발견되고 깃털이나 털의 인상이 발견되지 않거나 깃털 없이 그린 복원도가 많은 이유는 깃털등 연조직의 보존률이 낮은 지역에서 발견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 대중문화에서의 벨로키랍토르
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기묘한 생물에 대해서는(?) 벨로시랩터(쥬라기 공원 시리즈) 참조.
첫 출연은 쥬라기 공원 시리즈였으며 이 영화 덕분에 벨로키랍토르는 대중에게 커다란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영화상의 오류도 적지 않았던 것이, 실제 벨로키랍토르는 덩치가 15kg 정도 밖에 나가지 않는 상당히 작은 공룡이었지만, 영화상의 벨로키랍토르는 덩치가 실제 크기보다 더 클 정도로 무진장 딴판이었다.[13]진격의 벨로키랍토르 한 마리가 어린 애보다 작아 영화같은 연출이 애초에 불가능하다 보니, 영화 쥬라기 공원의 벨로키랍토르는 실제 벨로키랍토르가 아닌 북아메리카의 데이노니쿠스를 모델로 했다.[14] 1편 제작 당시만 해도 데이노니쿠스가 벨로키랍토르속에 속하는 종으로 분류되었기에 일어난 착오라고 한다.[15] 이후 디즈니의 다이노소어에도 등장. 여기서는 그나마 실제 벨로키랍토르에 가깝게 나오지만[16], 두개골이 심하게 가늘게 나와서 오히려 트로오돈에 가까운 외양이다. 실제 크기보다 세 배 이상 뻥튀기된 점과 생존 시기 및 지역을 무시하는 건 넘어가주자. 영화 자체가 고증으로 따지면 막장 중의 막장이라서...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전시 가능한 공룡으로 나온다.[17]
다큐멘터리에서는 BBC의 공룡대탐험 스핀오프 에피소드에서 등장. 극중에서는 당연히 프로토케라톱스를 사냥해 잡아먹는 모습으로 나온다. 이후 같은 방송사의 The Truth about killer dinosaur에도 같은 역할로 출연. 2004년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Dinosaur Planet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 EBS의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에도 출현하는데, TV판에서는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그것을 완전히 베낀 듯한 잘못된 모습으로 나온다.[18] 극중에서는 무리를 지어서 친타오사우루스를 사냥하지만 실제 체구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실제로는 불가능하다.[19] 이후 극장판인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 3D에도 나오는데 여기서는 그나마 실제 모습에 가깝게 나오지만 여전히 깃털이 심하게 부실하게 나왔다. 극중에서의 묘사는 하이에나 그 자체. 한반도의 공룡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 MBC의 공룡의 땅에서도 등장. 극중에서는 깃털의 상실 등을 제외하면 한반도의 공룡보다 더 실제에 가까운 모습으로 나왔다. 그래도 통닭 벨로키랍토르는 충격적이었다 2011년에 방영된 디스커버리 채널의 Dinosaur Revolution에서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모식종이 아니라 오스몰스카에 종이 나온다.게다가 색도 빨개서 세 배 더 빨라 보인다.# 같은 해에 EBS에서 방영된 다큐프라임 생명 40억년의 비밀 시리즈 중 두번째 에피소드에도 등장. 복원은 보다 실제에 가깝게 나왔다. 2014년 1월에 방송된 1억년 뿔공룡의 비밀에서도 나온다.
공룡킹 어드벤처에서는 최종보스의 카드로 3마리가 트리오로 등장. 티라노사우루스건 프테라노돈이건 다 발라버린다!
비스트 워즈의 다이노봇은 벨로키랍토르로 변신한다. 하지만 쥬라기 공원의 벨로키랍토르를 참고한건지 깃털도 없고 크다. 2m 70cm라고.
게리 모드 2차 창작물에서는 데모맨의 애완동물로 종종 등장한다.[20] 자세한건 Dr.Face항목 참조.
실질객관영화에도 출연 작중 그냥 큰 닭 취급 받는다. 그리고 귀요미라 카더라
슈퍼 전대 시리즈에서 공룡을 소재로 삼은 시리즈에서는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에서 라이드 랩터라 하여 탈 것으로만 등장하는 등 여태까지 제대로 된 메카 출연이 없었는데, 2013년 수전전대 쿄류저에서 수전룡 자크토르란 이름으로 제대로 나와 쿄류 그린의 파트너로 출연했다.
철학하는 공룡 필로시랩터의 모티브도 벨로키랍토르다
철권의 일회성 캐릭인 알렉스도 이 공룡을 유전자 개조(!?)한 캐릭터이다. 애초에 죄다 괴물같은 인간들이 나오는 데다가 벌써 스페이스 콜로니까지 갖추는 등 실제로는 말도 안되는 세계관이니 유전자 개조에 대해선 일단 넘어가자
택티컬 버전도 존재한다. (...)
백괴사전에서는 무심한 듯 시크한 자들을 물리치는 정의의 용사들이라고 한다.(...)
주님의 어린 랩터가 있었다고 한다.
조이드에도 랩터형 기체가 있는데 가이로스 제국의 레브랩터와 헤릭 공화국의 건스나이퍼가 유명하다. 레브랩터는 소형 닥돌기체인 반면 건스나이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원거리 저격 기체라 극단적으로 다르다. 건스나이퍼를 계승한 스나이프 마스터라는 기체도 존재한다.
공룡시대에서는 무리짓는 작은 덩치의 칼이빨로 등장한다.
클론의 습격에 나오는 괴수 아클레이가 벨로키랍토르를 참고해서 디자인된 것이라고 한다.- ↑ 이 장면은 워낙에 유명하여 사이드쇼에서 이 모습을 복원한 모습의 피규어를 팔고 있을 정도이다.제품사진
- ↑ 늑대도 종류나 나이, 무리, 서식지역의 위치에 따라 단독이나 핵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경우가 있다.
- ↑ 미국 몬태나 주의 백악기 전기 지층에서 테논토사우루스와 여러 데이노니쿠스가 발견된 유명한 화석을 말하는 것.매우 오랫동안 이는 데이노니쿠스 무리가 테논토사우루스를 사냥하는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최근 그 화석의 데이노니쿠스들이 테논토사우루스의 고기 시체를 먹다 생매장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래서 지금은 독수리나 콘도르가 죽은 동물의 시체를 발견했을때 여럿이 모이는것처럼 죽은 테논토사우루스의 시체 주위로 여러 데이노니쿠스들이 모인 것이라고 주장도 나오고 있는 중이다.
- ↑ 모두가 잘 아는 위로 들어진 두번째 "살육용 발톱 발가락" 때문에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와 트로오돈과는 두 발가락만 남기는 특징적인 발자국을 남긴다.
- ↑ 심지어 한 보행렬에서는 달리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가 달리다가 옆에서 달리던 동료와 안 부딫히려고 갑자기 방향을 튼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졸귀 - ↑ 벨로키랍토르속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고, 트로오돈과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 ↑ 사실 호랑이 발톱으로도 찢기 힘들다는 말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호랑이가 돼지를 사냥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드로마에오사우리드의 발톱이 고양잇과 동물처럼 먹이를 붙잡는 대에 유용했을 수도 있단 것이다.
- ↑ 그러나 이 공룡이 살아 있었을때는 발톱에 각질의 덮개가 있었고 덮개가 얼마나 날카로웠는지는 알수 없다.
- ↑ 벨로키랍토르의 경우에는 앞서 말한 앞다리뼈에 남은 깃털의 부착점 때문에 Inferred, 즉 '추론된 깃털공룡'이라고 친다.
- ↑ 원시 깃털, 앞발날개, 꼬리 깃털부채, 심지어 리본 모양 깃털까지 발견되었다
- ↑ 보통 비조류 공룡의 몸을 덮는 깃털은 "외형상" 포유강의 털과 더 비슷한 원시깃털이다만, 중국에서 발견된 미크로랍토르 등의 몸을 덮는 것은 오늘날 비행 조류들의 몸을 덮는 깃털과 유사한 상태였다. 즉 깃털 공룡 중에서도 정말 새와 비슷한 공룡이었던 것이다
- ↑ 벨로키랍토르와 데이노니쿠스 등의 꼬리는 보통 공룡과는 달리 매우 꼬리의 근육이 축소되어 있다. 이 축소된 꼬리근은 달리는 데에는 단점이지만, 균형을 잡고 방향을 전환하는 데에는 큰 이점이기에, 나무에서 글라이딩을 하던 미크로랍토르 같은 형태의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형질로 생각된다.
- ↑ 슬프게도,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이 모습이 대중들에게 인지도가 높아지는 바람에 일부 대중문화에서 벨로키랍토르는 이런 모습으로 등장한다.
- ↑ 이는 원작상에서 등장한 "벨로키랍토르 안티로푸스(Velociraptor antirrhopus)"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사실 이 종의 정체는 다름아닌 데이노니쿠스 로, 마이클 크라이튼이 쥬라기 공원을 집필할 당시 참고한 그레고리 폴의 저서에서 데이노니쿠스가 벨로키랍토르의 한 종으로 분류되어서 이를 따른 것이다.
- ↑ 로버트 T. 바커가 지은 소설인 '붉은 랩터'에서 이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당시, 제작진들은 실제로 없는 공룡(영화 속의 랩터)을 만드는데 불만이었다고 한다.
- ↑ 작은 체구, 갸름한 얼굴 등.
- ↑ 이 게임에서는 쥬라기 월드에 등장하는 유전자 하이브리드 공룡인 인도미누스 렉스가 설정상 벨로키랍토르의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인도미누스의 유전자 재료로 한몫 한다.
- ↑ 이 다큐는 대중들에게 "외국 공룡이 아닌 우리 고유의 공룡"
백악기에서 애국심 찾기 프로젝트를 소개한다고 했지만, 쥬라기 공원의 여러 공룡 모습과 그 오류를 복붙한 듯 하다.어떻게 20년이 지났는데도 그대로일수가 있을까Fail - ↑ 현생 동물을 예로 든다면 독수리가 무리를 지어 코끼리에게 덤비는 수준이나 마찬가지다.
- ↑ 다만 생긴 모습은 위에서 언급한 쥬라기 공원의 벨로키랍토르와 더 흡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