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키스트 던전/몬스터/해안 만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1 소개

스폰지밥만 없다
엘드리치 속성을 가진 해산물 계열 적이 주적이다.이 해산물들은 비늘로 덮여 있기 때문에 출혈 저항이 높지만,중독 저항은 가장 낮다.
대양인 계열 적들은 탱/딜/힐의 역할을 확실히 나누어 맡고 있고,그 밖의 해산물들은 디버프와 상태이상에 특화되어 있거나 자폭능력을 갖고 있거나 하는 식의 유틸리티 능력이 있기 때문에,몬스터 파티의 안정성이 굉장히 뛰어나다.가벼운 마음으로 안이하게 갔다가는 말려 죽기 십상.
그리고 베테랑 이상 난이도에서 출몰하는 대형 몬스터인 농게는 악랄한 위력의 출혈 공격을 하기 때문에,베테랑 이상 해안 만 던전에 갈 때는 출혈 회복 능력이 있는 영웅을 데려 가거나 붕대를 왕창 싸 갖고 가는 등 출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1.1 대양인 일족 (Pelagic)

몬스터HP회피스피드종류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대양인 참바리
(Pelagic Grouper)
[1]
801엘드리치0%25%100%25%
대양인 와이드마우스
(Pelagic Widemouth)
[2]
1823345%70%145%63%
대양인 피라냐
(Pelagic Piranha)
2828855%55%95%55%

멀록? 딥 원?
해안의 기본 보병급 몬스터.
작살창과 검으로 무장한 어인이며,전열에서 전열을 검으로 공격하고 후열에서 후열을 창으로 공격하는 별다른 특징없는 녀석.
하지만 기본 보병주제에 공격력만큼은 우수해서 전열 공격의 피해량이 상당히 높아서[3], 주술사에게 버프라도 받는다면 탱커라도 1/3에 가까운 피가 한 방에 날아간다. 거기에 크리라도 터진다면....그렇다고 후열에서의 창 공격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전열 공격보다는 위력이 떨어지지만 크리티컬 확률이 높은 데다가 베테랑 난이도 이상부터는 아군을 1칸 끌어오는 능력까지 있다.
해산물 종족특성인 높은 출혈 저항을 제외하면 상태이상 저항력이 낮으며,그렇다고 체력이나 회피가 높은 것도 아니라서 방어 측면에서는 부실하니 스턴기를 걸어버리거나 화력을 집중해 우선적으로 제거하자.

1.2 대양인 주술사 (Pelagic Shaman)

몬스터HP회피스피드종류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대양인 주술사
(Pelagic Shaman)
8010엘드리치0%25%100%25%
대양인 예언자
(Pelagic Oracle)
18231145%70%145%63%
대양인 파도술사
(Pelagic TideMaster)
24301255%55%95%65%

다른 던전에서는 등장한 바 없는 최초의 본격적인 사제형 몹.
아군을 치유하거나 공격력, 치명타, 명중률 증가 버프를 걸며, 또한 플레이어에게 스트레스 공격을 하거나 전열에 위치해있을 경우 단검으로 직접 공격하기도 한다. 치유 스킬은 빈사 상태의 적도 회생시킬 수 있을 정도이며, 이 회복도 플레이어처럼 크리가 뜰 수도 있다. 공격력 버프도 굉장히 효과가 좋으므로 우선순위로 처리하도록 하자.

예전에는 3턴지속에 공격력 50%상승이라는 정신나간 버프를 해서 버프받은 공격력 높은 적이 크리를 뛰우면 탱커가 아닌 왠만한 아군은 한방에 실피 혹은 죽음의 문턱을 볼 정도로 정신나간 버프로 유명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괴인패치때에 반토막났다.

1.3 대양인 수호자 (Pelagic Guardian)

체력방어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대양인 수호자
(Pelagic Guardian)
8801엘드리치0%25%100%25%
대양인 방패수
(Pelagic Bulwark)
182323345%70%145%63%
대양인 투사
(Pelagic Champion)
505023270%55%105%55%

징징이

한손에는 칼날주먹, 다른 한손에는 큰 방패를 든 문어 형태의 탱커 몬스터.
공격력이 낮지만 출혈 효과가 붙은 공격을 하며, 중보병의 가드 스킬을 사용한다. 기본 방어력도 강하고 방어력 버프까지 받으니 중독공격으로 처리하거나 가드를 받지 못한 몬스터부터 처리하도록 하자. 스턴이 걸리면 가드가 풀리게 되므로, 스턴기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 참고로, 가드 스킬은 노상 강도의 포도탄 같은 광범위 스킬을 막아주진 못하므로 만약 파티 중 광범위 스킬을 사용하는 영웅이 있다면 가드 스킬에 연연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공격 범위에 가드 대상/수호자가 둘다 들어가있어야한다는 제약조건이 있다. 1열의 수호자가 4열의 주술사를 가드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열 3,4열에 스턴을 넣으면 주술자 대신 수호자가 스턴을 맞는다.

1.4 가시 해파리 (Stinger)

몬스터HP회피스피드종류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심해의 가시 해파리
(Deep Stinger)
801엘드리치0%25%100%25%
충전된 가시 해파리
(Energized Stinger)
1523870%30%70%30%
마비의 가시 해파리
(Paralyzing Stinger)
2035995%55%95%55%

기다란 촉수들이 달린 해파리 형태의 몬스터. 단일 출혈 공격과 단일 기절 공격 때문에 매우 골치 아프지만 맷집은 약한 편이니 광역기로 쓸거나 우선순위로 처리해주는게 좋다. 가끔 낮은 확률로 질병이 걸리기도 한다.

1.5 농게 (Uca)

체력방어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농게
(Uca Crab)
423300엘드리치50%10%60%20%
농게 분쇄자
(Uca Crusher)
635010070%30%80%40%
농게 야수
(Uca Savage)
845023295%55%105%65%

집게사장
해안만의 진보스

베테랑 이상부터 등장하는 2칸을 차지하는 대형 농게형 몬스터.[4] 다른 지역의 2칸 몬스터 처럼 매우 튼튼하고 강한 몬스터로, 아군에게 기절과 3칸 넉백을 유발하는 스킬인 조수 강타(Tidal Slam)나 지속 출혈 스킬인 동맥 조이기(Arterial pinch)를 쓴다. 스킬 대미지 자체는 둘 다 강한 편은 아니나 출혈스킬의 부과효과가 상당히 끔찍한데, 베테랑 난이도에서는 턴당 8(총 24),챔피언 난이도에서는 턴당 10씩 3라운드(총 30)이라는 미친 피해를 준다! 그것도 모자라서 회복량 33% 감소 디버프까지 걸기 때문에, 피해를 복구하는 것도 골치아프다. 이 녀석 때문에 해안에 갈 경우 반드시 출혈 대책이 필요하다.

어마어마한 출혈과 방어력 때문에 베테랑/챔피언등급 해안 만 던전 파티조합의 핵심이 된다. 특히나 1~3열을 타겟으로 하는 동맥 조이기의 경우 출혈 저항이 가장 낮은 적을 집요하게 파기 때문에 특정 캐릭터의 출혈저항이 낮은 경우 4열로 잠시 운용하거나[5] 4열 나병환자는요?[6] 출혈저항을 올려주는 Blood Charm같은 장신구를 들려주는 것이 좋다. 또한 출혈을 회복하는 흑사병 의사의 야전의술이나, 무법자의 솟구치는 아드레날린 스킬이 매우 유용하게 먹힌다. 그냥 붕대를 한세트 챙겨가자. 출혈대책이 없는 농게의 출혈딜은 타지역의 보스를 가뿐히 뛰어넘는다.

1.6 노예 (Thrall)

체력방어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익사한 노예
(Drowned Thrall)
8801엘드리치,부정0%25%100%25%
고름덩어리 노예
(Pustulent Thrall)
182323345%70%145%63%
부풀은 노예
(Bloated Thrall)
28023295%55%65%55%

뚱이
스랄
물에 빠져서 퉁퉁 부은 익사체의 좀비 형태의 몬스터. 처음 공격은 일반적인 단일공격을 하지만 2~3턴이 경과하면 전체 자폭공격을 한다. 피해량이 상당히 크며 주술사의 공격력 증가 버프까지 받는다면 단번에 파티 전멸 위기까지 갈 수 있으니, 기절 공격을 해서 묶어놓거나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자.

1.7 바다 구더기 (Sea Maggot)

체력방어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바다 구더기
(Sea Maggot)
8801엘드리치0%25%100%25%
도금 구더기
(Plated Maggot)
87510-470%40%53%30%
장갑 낀 구더기
(Armored Maggot)
107523-370%55%105%55%

핑핑이

달팽이처럼 생긴 몬스터. 구더기와는 달리 껍질이 있어 매우 높은 방어력을 가지고 있으니 중독공격으로 처리하자.
해수 분사(Brine)라는 회피치와 속도를 감소시키는 약화 공격을 사용한다. 가끔 낮은 확률로 질병에 걸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해당 몬스터가 생기게 된 배경이 있다. 사냥개 조련사 패치 당시 구더기(Maggot)의 방어력이 굉장히 증가했었는데, 덕분에 구더기가 나오는 던전의 난이도가 급격하게 어려워 지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 플레이어들이 전혀 외형적으로 방어력이 높지 않아보이는 구더기가 어떻게 이렇게 방어력이 높을수가 있냐는 의견이 포럼에서 많은 공감을 받으며, 이를 기점으로 제작진들이 게임을 너무 어렵게 만든다고 항의가 많아지는 일이 있었는데, 이후 사전 PAX 패치 때 제작진들이 항의하는 사람들이 주로 지적하는 시체 시스템과 심장마비 시스템을 끌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꽤 고분고분하게 구더기의 방어력을 없애주었기에 보통 이렇게 타협하는 제작진들이 아닌 걸 아는 사람들이 의아해 하고 있었으나, 아니나 다를까 해안 만 패치에서 클래스 명 부터 아예 원한이 서린 것 같은 '장갑 낀'(Armored) 구더기를 추가 시켜버렸다. 제작진들의 상당한 고집이 드러나는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1.8 보스 1 : 세이렌 (Siren)

280px]
세이렌욕망의 노래로 위장한 모습
난이도
체력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이동
저항
세이렌
(Siren)
119105엘드리치50%33%60%33%25%
난이도
매혹적인 세이렌
(Alluring Siren)
179206엘드리치75%53%80%53%45%
난이도
매력적인 세이렌
(Beguiling Siren)
244357엘드리치100%85%105%85%70%
선조의 기억: 세이렌 (Ancestor's Memoirs: The Siren)

내 고귀한 지위가 항상 공적 지위에 대한 공포만을 동반한 건 아니었다.
한때는 나도 해코지당할 염려 없이 거리를 거닐거나 술집에서 술잔을 들어올릴 때가 있었다.
파도처럼 변함없었던, 조숙한 마을 처녀 한 명은 내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는 걸 취미로 삼았었다.
처음에는 매력적이었으나, 이윽고 그 행위는 꽤나 부담되는 것으로 변해갔다.

재정적인 문제가 덮쳐왔을 때, 난 달이 제 자리에 떴을 때 희생물을 찾으러 상륙한 그 고대의 족속들과 계약을 맺었다.
그들이 요구한 건 한 어두운 우상과, 좀 더 끔찍한 무언가를 달라는 것이었다. 계약은 치러졌고, 내 새로운 계약자들은 조용히 어두운 물 속으로 사라졌다.
불안하게 흔들리는 횃불 사이에 익숙한 인물이 보였고, 그 때 내 마음 속에는 사악한 생각이 떠올랐다.

핏빛 달 아래에서, 나는 부두의 끝자락으로 내 놀란 먹잇감을 불러내었다.
그녀가 자신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기도 전에, 나는 그녀에게 사악한 우상에 매인 수갑을 채웠다.
우상과 처녀를 얼어붙는 물 속으로 보내는 덴, 살짝 미는 걸로도 충분했다.
그리고 썰물이 왔을 때, 지고의 아름다움으로 세공된 보석들이 해변을 수놓고 있었다.

역사

사이렌은 선조께서 완전히 심연속으로 내려가기 전에 마주친 어린 마을 소녀였습니다.
그녀는 선조께서 가는 어느 곳이든 쫓아다녔고, 선조께서는 곧 그녀가 매력적이지만 귀찮은 짐덩이란 것을 깨닫게 되셨습니다.
선조께서 점점 타락할수록 그 분께서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하셨고, 결국 그 분께서는 그녀를 당시 만에 득실득실거리던 대양인에게 팔아넘겼습니다.
현재 그녀는 대양인들의 여왕이자 노예입니다.

내용 출처

해안의 1번째 보스. 인어공주우르슬라를 연상케 하는 초롱아귀 인어 할머니다.

난이도 별 이름은 각각 세이렌(Siren) / 매혹적인 세이렌(Alluring Siren) / 매력적인 세이렌(Beguiling Siren)이다.

본래는 선조가 다스리던 마을에 살던 한 평범한 소녀로[7], 선조에게 반했는지 선조를 졸래졸래 따라다니며 스토킹(...)을 하고 다녔다.
선조 또한 처음엔 이 소녀에게 나름대로 매력을 느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부담감을 느끼게 되었고, 자신이 하는 일이 인신공양이나 인체실험같은 막장스러운 것들로 변해가자 이러한 사실을 알아챌지도 모르는 탓에 그녀를 골칫덩이로 여기게 된 모양.
그러다가 결국엔 돈이 궁해지자 골칫덩이나 다름없던 그녀를 잡아서 대양인들에게 팔아버렸고, 지금의 상태가 되었다.

보스로서의 모습은 과연 생선대가리(...) 대양인들의 여왕 겸 노예답게 끔찍하기 짝이 없다.
다만 욕망의 노래를 쓸 때 잠깐 나오는 모습[8] 등을 보면 원래부터 이런 모습은 아니었고, 대양인들에게 잡혀간 뒤에 이런 끔찍한 모습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조 또한 자신을 졸졸 따라다니던 그녀에게 매력을 느꼈다는 것으로 보아 인간일 적엔 상당한 미인이었던 모양. 다만 원문의 해석에 따라 waifu, charming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엄청 어린 아이었을수도 있다(...) 인외마경에 빠져들어도 로리콘은 아니었던게지

마귀할멈도 그렇고 선조의 주위에 여자가 계속 꼬이는 걸로 보아 선조도 젊었을 때는 꽤나 잘나가는 미남이었는듯 하다.

1.8.1 보스의 패턴

  • 1. 수압 충돌 (Pressure Crash) : 소라 뿔피리를 불면서 미약한 데미지를 동반하는 광역 스트레스 공격을 한다.
  • 2. 높은 파도 (High Tide) : 해산물 계열 잡몹을 소환한다. 대양인 보병, 수호자, 해파리 중 하나가 소환되며, 수호자가 소환될 확률이 높다.
  • 3. 욕망의 노래 (Song of Desire) : 예쁜 인어로 변신하여 아군을 유혹해 데려간다. 패치로 인해 가장 강한 아군부터 데려간다. 유혹된 아군은 적군 전열 또는 후열로 이동하며,[9] 2턴 정도 지나면 아군 최후열로 복귀한다.
  • 4. 집어삼키기 (Devour) : 촉수가 나오는 소라 뿔피리를 불면서 미약한 데미지를 동반하는 광역 출혈 공격을 한다.

1.8.2 보스 공략

  • 기본 공격 패턴들은 그다지 위협스럽지가 않다. 광역 출혈은 피해가 매우 적게 들어오며, 출혈 디버프는 붕대만 잘 감아줘도 버틸 만 하다. 게다가 세이렌 공략에 들어가는 성수가 출혈 저항도 올려주는 관계로, 실전에서 출혈공격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덜 위협적이다. 광역 스트레스 공격 역시 피해량이 적기 때문에, 아군의 스트레스가 위험한 상황이 아니라면 무시해도 좋다. 다만 잡몹을 소환하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높은 확률로 소환되는 대양인 수호자가 세이렌을 가드해주기 때문. 수호자 이외에도 대양인 칼잡이나 해파리가 소환되기도 하는데, 이들 역시 성가신 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후술할 욕망의 노래로 아군이 하나 끌려가기라도 하면, 잘 싸우던 것처럼 보이던 파티가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
  • 아군을 유혹하는 욕망의 노래(Song of Desire) 패턴이 보스 공략의 핵심.
세이렌이 아군 1인을 유혹해 데려가면, 다음 턴부터 적으로 인식되어 아군을 공격하기 시작한다.[10] 유혹에 넘어간 캐릭터는 매 턴당 스트레스가 증가한다. [11] 이미 유혹된 아군이 있다면 욕망의 노래를 사용하지 않는다.
적으로 돌변한 아군은 물론 적이라고 신나서 죽이면(...) 곤란하고,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돌아오니 스턴기를 걸어서 행동을 막아버리거나, 치명타를 먹여서 바로 데려올 수 있다. 이도저도 불가능하다면 무시하고 보스만 열심히 때리자. 영웅이 유혹에 넘어가 적이 되었을 때 후퇴하면 유혹된 영웅은 사망처리되니 주의할 것. 나병환자 같은 경우는 전열이 아니면 할 수 있는 게 없기에 유혹되더라도 후열로 갔다면 패스만 한다. 욕망의 노래의 경우 '디버프' 계열 스킬로 판정되므로 맞는 아군이 회피하거나 저항할 경우 무시할 수 있다! (심지어 스턴처럼 한번 맞으면 돌아온 다음 턴에는 저항력이 늘어난다.)
  • 패치를 통해 AI가 개선되어, 욕망의 노래 패턴을 사용시 가능한 가장 강력한 캐릭터를 데리고 가도록 바뀌었다.
버프를 떡칠받은 딜러가 매혹당할 시 엄청난 화력으로 도륙당할 수 있으니 딜러 하나에게 캠핑 버프를 몰아주는 식의 공략법은 지양하는 편이 좋다. 또한 욕망의 노래 패턴은 디버프 저항이 낮은 캐릭터를 우선해서 노린다. 따라서 디버프 저항을 낮춰놓은 골동품 수집상을 데려가 미끼로 삼는 방법이 있다. 골동품 수집상의 전투능력은 저열하기 때문에, 적이 되었다 해도 아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 단순 디버프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지만, 디버프 저항을 포함해서 모든 상태이상 저항을 올려주는 성수는 이 보스의 카운터이다. 성수를 대량으로 사 가지고 와서 매 턴 성수를 먹거나, 보스방 문 앞에서 모든 파티원에게 성수를 발라주고 들어가자. 물론 갖가지 수단을 동원해서 디버프 저항을 높인다고 하더라도 완전 면역이 될 수 없다는 점은 주의.
  • 중보병은 웬만해서는 데려가지 않는것이 좋다. 중보병은 욕망의 노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어있으며, 만약 유혹당할경우 적 유닛 명중율/회피율/속도 증가같은 짜증나는 버프부터 시작해서 스턴기+이동기로 아군의 진열을 엉망으로 만들 수도 있고, 세이렌에게 가드 스킬을 쓸 수도 있다. 비슷한 이유로 사냥개 조련사도 그닥 추천되지 않는다. 사실 사냥개 조련사의 출혈이 여기서는 시원찮은 관계로 딱히 보스전에만 약한건 아니다.
  • 타 보스에 비해 저항력도 높지 않고 피해량도 낮고, 이론상으로는 욕망의 노래만 조심하면 쉽게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체력이 높고 전투피로를 강제하는 패턴들로 무장하고 있기 때문에 오래 끌수록 크게 불리해진다. 딜러 중심의 파티구성으로 속전속결을 노리는 것을 추천한다.

1.9 보스 2 : 선원들 (Crew)

선원들익사한 닻잡이
난이도
체력회피스피드타입기절
저항
중독
저항
출혈
저항
약화
저항
이동
저항
흠뻑 젖은 선원들
(Sodden Crew)
10003부정50%20%60%20%100%
익사한 닻끌이꾼
(Drowned Puller)
1400부정25%20%60%20%200%
난이도
가라앉은 선원들
(Sunken Crew)
160104부정70%40%80%40%120%
익사한 밧줄잡이
(Drowned Ropeman)
22101부정70%90%130%40%220%
난이도
익사한 선원들
(Drowned Crew)
205235부정95%65%105%65%145%
익사한 닻잡이
(Drowned Anchorman)
29232부정95%115%155%65%245%
선조의 기억: 익사한 선원들 (Ancestor's Memoirs: The Drowned Crew)

오래된 길을 사용할수록, 의심의 눈초리는 많아져갔다.
따라서 난 가장 흥미로운 선적품들을 해양 선적으로 받는 작업에 착수했다.
장원 뒤쪽의 좁은 돌 계단을 통해 갈 수 있는 숨겨진 부두에는, 잘 매여진 보트를 통해 가장 무거운 선적물도 들어올릴 수 있는 도르래 장치들이 있었다.

난 특별히 아주 비도덕적인 선원들을 고용했고, 이들은 나를 위해 세계 곳곳을 누비며 많은 귀한 물건들과 유물들, 서적들을 모아다 줬다. 당연스럽게도, 놈들은 내가 비밀을 강조할 때마다 요구하는 액수를 올려댔다. 그 정도 금액은 이미 다 탕진된 뒤였기에, 난 다른 방식으로 대가를 준비했다.

그 탐욕스러운 개자식들이 선상에서 술을 퍼마시다 잠들었을 때, 난 놈들의 닻에 내가 걸 수 있는 모든 뒤틀린 주술을 걸었다. 그 닻에 나의 야망이 가진 무게와, 놈들에 대한 잔인한 추방을 담아서. 주술이 시작되었을 때, 닻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닌 힘으로 선박과 선원들을 심해 속으로 끌고 들어갔다. 놈들은 분명 비명을 질렀겠지만, 소용돌이치는 검은 물 밖으로 나온 소리는 아무것도 없었다.

History

길이 위험해지고 교통량이 많아질 무렵, 선조는 밀수업자들을 통해 좀 더 귀한 물건들을 수입해 왔다.
그 선원들은 세상을 돌아다니며 선조를 위해 여러 우상과 고대의 서적, 혹은 더 어두운 유래를 가진 물건들을 모아왔다.
그러나 선원들이 출항마다 더 많은 걸 요구하게 되자, 선조는 그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대가를 치르게 해 줬다.
배와 그들을 바다 밑바닥으로 끌고 들어갈 저주받은 닻으로.

내용 출처

해안의 2번째 보스, 가라앉은 배의 해골선장과 그 선원들.개노답 선원들
난이도 별 이름은 각각 흠뻑 젖은 선원들(Sodden Crew) / 가라앉은 선원들(Sunken Crew) / 익사한 선원들(Drowned Crew)이다.

과거, 조상이 지하를 발굴하면서 필요한 흥미로운 오컬트 물건들을 오래된 길로 날라오기 어렵게 되자, 해안 만의 절벽에 비밀스럽게 숨겨진 부두를 통해서 들여왔다. 이를 위해서 조상은 밀수꾼들을 고용했고, 이들은 세계 곳곳을 누비며 많은 귀한 물건들과 유물들, 서적들을 모아다 줬다. 당연히 비밀을 지키기 위해서 조상은 이들에게 돈을 많이 쥐어줘야 했지만, 욕심이 생긴 밀수꾼들은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가격을 높이 불렀다. 안 그래도 없는 재산이 낭비된다고 생각한 조상은 이들을 제거하기로 했고, 밀수꾼들이 술에 취해 배에서 잠들었을 때, 배의 닻과 사슬에 사악한 주술과 저주를 걸어서 배와 선원들을 모조리 휘감고 바닷속 깊은 곳으로 가라앉게 만들었다.

1.9.1 보스의 패턴

  • 1. 전원 갑판으로! (All Hands on Deck!)[12] : 파티원 중 한 명을 앞으로 당기며 적으로 '익사한 닻잡이 (Drowned puller)' 하나를 소환한다.
    • 2. 정선! (Heave to!) : 소환된 익사한 닻잡이(Drowned puller)가 을 던져서 최전방 아군 하나를 구속시킨다.
구속에 성공하게 되면, 그 즉시 익사한 닻잡이의 체력이 최대치로 회복되면서 닻잡이의 버프가 보스에게 이전된다.
  • 3. 죽은 자와 술 한 잔 (Drink with the Dead) : 가라앉은 배의 선원 중 하나가 술을 마시며 파티원 중 한 명에게 스트레스 공격을 한다.
  • 4. 보딩 구속 (Boarding Clutch)[13] : 가라앉은 배의 선원 중 뚱뚱한 선원이 갈고리로 파티원 중 한 명에게 출혈공격을 한다.
  • 5. 선상반란 (Mutiny) : 가라앉은 배의 선장이 파티원 중 한 명에게 피해량 감소, 치명타 감소 약화 공격을 한다.

1.9.2 보스 공략

  • 선원 보스의 기본 패턴은 세이렌과 마찬가지로 낮은 위력의 출혈, 스트레스 공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의할 점은 공격력을 크게 낮추는 '선상반란' 디버프. 삼림지대의 마귀할멈 보스도 비슷한 디버프를 갖고 있지만, 이쪽은 사용빈도가 훨씬 더 높다. 딜러에게 성수를 먹이거나, 허브를 많이 챙겨가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 턴 시작시 닻잡이가 없을 경우에 사용하는 전원 갑판으로! (All Hands on Deck!) 스킬은 무작위 아군 하나를 최전열로 끌어와 진형을 흐트리면서 익사한 닻잡이(Drowned Puller) 를 전열에 소환한다. 이 닻잡이는 방어력 50%, 기절 저항 25%, 중독저항 50%, 출혈저항 50% 라는 수치의 버프를 가지고 있다. 닻잡이는 성전사 수준의 느린 속도를 갖고 있어 보통 막바지에 행동하지만, 자신의 턴이 오면 정선! (Heave to!) 이라는 스킬을 사용해 최전방 아군 하나를 구속해 고정[14]시켜 버린다. 닻잡이를 죽여 빠르게 구출하지 않으면 구속당한 케릭터는 매 행동당 일정 스트레스를 받고[15], 보스는 체력을 회복하게 된다. 만일 구속된 아군이 있는 상태에서 후퇴할 경우 구속된 캐릭터는 사망처리된다.
  • 소환된 익사한 닻잡이(Drowned Puller)가 아군 구속에 성공하게 되면, 그 즉시 익사한 닻잡이의 체력이 최대치로 회복되면서 닻잡이의 버프가 보스에게 이전된다. 소환된 닻잡이를 처리하게 되면 보스의 버프는 사라지게 되므로 구속한 닻잡이를 빠르게 처리하고, 보스를 공격하자. 또한, 아직 구속에 성공하지 못한 닻잡이의 체력을 어설프게 깎아버리면 다음 턴에 곧바로 구속에 성공하여 도로 체력을 회복해 버릴 수도 있으니, 아직 구속을 못한 닻잡이를 처리할 턴과 피해량이 되는지 생각해보고 만약 견적이 잘 나오지 않을 것 같으면 아예 구속 된 뒤에 빠르게 제거하는게 낫다. 또한 닻잡이의 스턴 저항은 25% 버프를 받기는 하지만 기본 수치는 일반 잡몹 수준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스턴기를 가진 캐릭터에게 스턴 장신구를 달아서 데려가면 닻잡이에게 스턴을 걸어 시간을 벌 수 있다.물론 닻잡이와 속도가 같은 성전사는 예외다. 닻잡이가 구속에 성공한 뒤에는 스턴을 걸어봤자 소용이 없다는 것에는 유의.
  • 소환된 익사한 닻잡이의 아군 구속 스킬은 전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점을 이용하여 아주 쉽게 공략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는데 바로 이동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다.
선장이 닻잡이를 소환한 상태에서 닻잡이가 아군 구속 스킬을 시전하기 전 타이밍에 선장을 전열로 끌어올 경우,[16] 자동적으로 닻잡이는 후열로 밀려난다. 후열로 밀려난 닻잡이는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턴을 스킵하게 된다. 닻잡이는 이동저항이 200%가 넘어서 이동 스킬이 먹히지 않으나, 선장은 이동스킬 저항이 낮은 편이라 쉽게 끌어올 수 있다(난이도 下에서 100%, 中 120%, 上 145%). 물론 안전한 위치이동을 위해서는 적절한 이동스킬 강화 장신구의 사용이 필요할 것이다. 일단 닻잡이를 뒤로 빼는데 성공하기만 한다면, 보스는 그냥 피통 좀 많은 일반몹 수준으로 전락하고 만다.
  • 선원 보스는 스트레스 공격에 특화되어 있으며, 장기전을 강요해 아군을 천천히 확실하게 말려 죽인다. 그렇기에 세이렌과 마찬가지로 속전속결이 중요하며, 특히 닻잡이를 빠르게 처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스트레스에 취약한 괴인과, 1열을 공격할 수 없고 전열로 끌려오면 무력화되는 석궁사수만큼은 데려가지 말자. 파티원의 딜링에 자신이 없다면, 차선책으로 장기전을 각오하고 스트레스 저항이나 영웅의 기상 상태를 노리는 세팅을 하는 것도 괜찮다. 영웅의 기상 상태에 돌입한 파티원이 닻잡이의 구속에 목표물이 될 경우, 구속을 시도하는 닻잡이를 뿌리치며 되려 다른 파티원들의 스트레스를 회복시킨다. 영웅의 기상 상태의 파티원이 있다면 이를 활용해 보자.
  1. '그루퍼(Grouper)' 에는 농어과의 식용어라는 뜻과 그룹의 일원이라는 뜻이 있다.
  2. 영국콘월에 실제로 와이드마우스(Widemouth)라는 이름의 해안이 있다. 참고 링크 또한 '크게 벌어진 입'이라는 직역도 가능하다.
  3. 챔피언 등급 방어 0 기준으로 피해량 9~19
  4. 개발자 트윗에 의하면, 해당 몬스터는 농게(Fiddler Crab)에 기반해서 디자인되었다고 한다.
  5. 물론, 이경우 Tidal Slam을 맞고 진열이 무너지고, 4열이었던 캐릭터가 출혈을 계속 당할 수 있으니 주의.
  6. 나병환자는 농게전에서 매우 취약하다. 출혈저항이 낮음에도 1~2열에 서야하기 때문에 방어측면에서 불리하며, 50%씩이나 되는 방어도와 60/80의 체력은 나병환자의 깡딜로도 딜량이 크게 체감이 되지 않는다. 그냥 무법자나 중보병 데려가서 스턴이나 지속적으로 넣고, 딜은 후열의 중독에 맡기자.
  7. 원문에서는 waifu라는 단어를 쓴 것으로 보아 일단은 다른 연고가 없던 것으로 보인다.
  8. 200px
  9. 무법자, 현상금 사냥꾼등의 딜탱들은 주로 전열에 걸리며, 성녀같은 서포터는 주로 후열에 걸린다.
  10. 선택하지 않은 스킬은 물론, 배우지 않은 스킬도 가끔 사용하는 듯 하다.
  11. 유혹된 상태에서는 완전 홀려서 자신의 여왕이라는 둥, 난 사랑을 위해 싸운다는 둥 헛소리를 하는데 다시 복귀할 때는 "친구가 최고","미... 미안하네 친구들!"(...) 등등의 대사를 하면서 돌아온다. 또한, 이 스킬이 명중하면 잠시 동안 배경 음악에 세이렌의 목소리 트랙이 깔려 나온다.
  12. 배 안의 모든 선원들은 갑판 위로 집합하라는 말.
  13. 여기서 보딩(Boarding)이란 적의 배를 공격, 나포하기 위해서 적선에 올라타 백병전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보딩 구속은 백병전을 벌이기 위해 적의 배와 나란히 주행하다가 갈고리가 달린 로프를 던진 후 끌어당겨 적선을 아군배에 갖다붙이는 것.
  14. 진형이동 스킬을 포함한 어떤 방법으로도 진형을 이동할 수 없다. 이를 역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노상강도를 구속시킨 다음에 영거리 사격을 사용하는 것이다.구속 상태에서는 영거리 사격을 사용해도 후열로 밀려나지 않으므로, 영거리 사격을 연속사용할 수 있다. 광대의 피날레로도 같은 응용이 가능하지만, 피날레는 쓰고 나면 디버프가 걸리므로 연속사용을 해도 이득이 적다.
  15. 마귀 할멈의 가마솥과 비슷. 체력 대신 스트레스 공격
  16. 신비술사의 'Daemon's Pull'이나 현상금 사냥꾼의 섬광탄 혹은 Come Hither 등의 스킬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