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 닻 | 유니코드 | B2FB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구성 | ㄷ+ㅏ+ㅊ | 두벌식–QWERTY | ekc | 세벌식 최종–QWERTY | ufZ |
언어별 명칭 | |
영어 | Anchor |
일본어 | いかり(錨/碇) |
에스페란토 | Ankro |
1 개요
얕은 바다에서 배가 정박할 때 쓰는 도구. 닻이 자체 무게로 가라앉거나, 가라앉은 뒤 닻에 튀어나온 부분에 다른 물건이 걸리거나 바다 바닥에 박혀 배를 고정시켜주는 물건. 유사시 배의 브레이크 역할도 한다.
참고로, 배 정박시가 아니면 바닥에 안닿아도 상관없다. 속도를 줄이는 거라면 닻이 바닷물과 일으키는 저항만으로도 충분하다. 단, 대형 선박의 경우 닻[1]을 해저에 끌고 고속으로 항주할 경우 윈드라스[2](Windlass:닻을 감아올리는 윈치)가 버티지 못하고 체인[3]을 놓쳐 버리거나, 심지어는 윈들래스 통째로 뜯겨 나가는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형 선박의 주묘항주는 금기시하고 있다.
닻은 형태는 다를지언정 큰 배를 모는 모든 문화권에서 옛날부터 쓰였기 때문에 배의 상징으로 쓰이고 있으며, 지도에서 항구를 표기하는 기호도 닻이다. 또한 수많은 국가의 해군이 해군기에 닻을 넣고 있다.
2 역사
닻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다. 초기의 닻은 정(碇, 矴)이라고 하는 것으로, 무거운 돌에 줄을 매달아 돌의 무게만으로 배를 지탱하는 구조였다. 우리말로는 이러한 닻을 '돌닻'이라고 한다.
제주도 뗏목인 테우의모형. 배 앞부분을 자세히 보면 줄을 묶은 돌이 보이는데, 이것이 돌닻이다.
또한 개중에는 무거운 돌 대신 나뭇가지나 뿔 등을 사용한 닻도 잇었으나, 이런 닻들은 그 자체로는 가벼워 잘 가라앉지 않아 돌을 끼우거나 무겁게 만들어 사용했다. 이런 닻도 정이라고 쓴다.
한선 닻의 소형모형. 앞쪽 날 바로 뒤 가운데에 좌우로 튀어나온 부분 안에 돌을 넣어 쓴다.
파일:Attachment/c0046952 47f94b205902f.jpg
미국에서 발견된 옛 닻.출처
이후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것이 바로 묘(錨)라는 것이다. 주로 철을 사용해 만들며, 철로 만들어 잘 가라앉으면서 네 개의 발이 달려 있는 형태이다.
중국의 사조묘.
철묘를 만드는 모습을 그린 중국의 고화. 우리나라에서는 철묘를 종종 수입하는 정도였으며, 잘 쓰지 않았다.
출처
3 캡스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배의 크기도 점점 커졌고, 닻 역시 점점 크고 무거워질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닻을 끌어올리기 위한 장치도 연구되었고 그 결과가 바로 "캡스턴(Capstan)"이다. 최초로 발명되어 쓰인 곳은 스페인으로 십자군 원정 때 최초 사용되었다.
500px |
대항해시대의 캡스턴. |
저 구멍(비둘기집이라 한다)에다 막대를 끼운 다음 선원들이 달라 붙어 캡스턴을 돌려 닻이 묶인 밧줄을 감아올렸다. 하단부가 역으로 풀리지 않도록 라쳇으로 되어 있었기에, 무작정 돌리기 보다 리듬을 타고신나는 리듬천국 동시다발적으로 움직여야 했다. 이 때문에 뱃노래가 만들어졌다. 뱃노래에는 노래를 통해 리듬을 맞추면서 중노동의 피로를 잊으려 했던 선원들의 애환이 담겨있다.
캡스턴 작동 모형 사진. 출처 |
캡스턴의 크기도 배의 크기에 따라, 좀 더 정확하겐 닻의 크기에 따라 달라서, 2~4명으로도 돌릴 수 있는 캡스턴이 있는 반면 전열함 같은 경우 수병 수십명이 위아래층으로 나눠 달라붙어 돌려야 했다.
캡스턴은 배에서 인력으로 낼 수 있는 최대의 힘을 발휘할 수 있었기에, 몇 캡스턴은 닻줄을 감은 라쳇을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원동력으로 쓰기도 했다. 아니면 뻘같은데 좌초한 함선을 살려내는데 쓰기도 했다. 함재정을 쓰던 해서 어떻게든 닻을 배 멀리까지 가져가서 떨군다음 캡스턴을 죽어라고 돌려서 인력으로 배를 뻘에서 끌어내는 방법이다.
캐러비언의 해적에서는 크라켄을 부르는데 쓴다
당연하지만 현대에는 기계 캡스턴을 쓴다.
4 닻을 무기로 사용하는 캐릭터
특성상 바다에 관련된 인물들이 사용한다. 공통적으로 닻이라는 물건의 무게 특성상 무지막지한 괴력의 소유자인 경우가 대부분.
- 길티기어 시리즈 - 메이(길티기어)
- 대해원과 와다노하라 - 와다노하라[4]
- 동방 프로젝트 - 무라사 미나미츠[5]
- 드래곤 퀘스트 타이의 대모험 - 보라혼
- 록맨 X6 - 메탈샤크 플레이어
- 도타 2 - 파도사냥꾼
- 리그 오브 레전드 - 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모험유기 플러스터 월드 - D 테라[6]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가오 머슬
- 전국 바사라 - 쵸소카베 모토치카[7]
- 해적전대 고카이저 - 이카리 가이[8]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카모메 (워리어)
-
함대 컬렉션 - 이카즈치(함대 컬렉션)
5 기타
해군, 선원 등 선박 관련 업종의 주 상징물이기도 하다. 한국해양대학교에서는 조그만 닻으로 거대한 선박을 지지하는 감투정신, 선박이 정박해 쉬고있는동안 일을 하는 봉사정신, 더러운 진흙에 자신의 얼굴을 박는 희생정신- ↑ 수만 톤에 달하는 대형 선박들은 닻의 중량만 10톤이 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 ↑ 양묘기라 부르기도 한다.
- ↑ 사슬 하나하나의 크기가 건장한 성인 남성의 몸통만하고, 그런 사슬이 무려 400미터 가까이 달려 있다.
- ↑ 정확히는 닻모양의 지팡이를 사용하며, 스킬에서도 닻관련 기술들이 나온다. 그리고 미래의 바다의 마녀(투르엔딩에서의 와다노하라)를 상징하는것이 바로 닻이다.
- ↑ 전복 '길동무 앵커/침몰 앵커/격침 앵커', 주부 '팬텀쉽 하버/유령선 항구/유령선 영구정박', 묘부 '유령선 장기정박', '딥 싱커'
- ↑ 어깨에 있는 뿔로 공격하는 모습이 닻을 던지는 모습과 비슷하다.
- ↑ 정확히는 닻창.
- ↑ 정확히는 닻 형태의 창인 고카이 스피어. 그런데 이 친구는 헬멧 문양부터 닻 모양이며 골드 모드로 변신하면 삼지창 형태에서 닻 형태로 변한다. 애초에 골드 모드로 변신하는데 필요한 레인저 키이름이 고카이 앵커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