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송촌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학교
대전경덕중학교대전대청중학교대전대화중학교대전매봉중학교대전법동중학교대전송촌중학교
대전오정중학교대전용전중학교대전중리중학교신탄중앙중학교신탄진중학교대전회덕중학교
대전송촌중학교
大田宋村中學敎
Daejeon Songchon Middle School
logo.jpg
교훈알찬 배움 정겨운 삶
개교 2000년 3월 1일
교화 장미
교목 느티나무
성별 남녀공학
유형 일반계 중학교
운영형태 공립
교장 박종오
교감 하혜란
소재지 대전광역시 대덕구
계족산로 110 (송촌동)
홈페이지 학교 홈페이지
파일:/2765 000 203/20131028183743706 ZCLU9IG2X.jpg/1632707.jpg
도색 및 5층 확장 전의 교사 "사진 추가 바람"
x300px
5층 확장 및 도색 후의 모습(2016년)

1 개요

대전송촌중학교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에 위치한 남녀공학 공립중학교이며 반편성은 남녀 분반이다. 2016학년도 기준 3학년은 13개반, 2학년과 1학년은 11개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학생수는 1086명이다.

2 역사

1999. 12. 29 ㆍ대전송촌중학교 설립인가(30학급)

2000. 03. 01 ㆍ초대 최학현 교장 취임

2000. 03. 06 ㆍ제1회 입학식(10학급, 431명) 대전매봉중학교 건물 이용

2000. 07. 18 ㆍ현 신축교사로 이전

2000. 07. 26 ㆍ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9,434㎡ 준공

2001. 03. 05 ㆍ제2회 입학식(10학급, 404명)

2002. 03. 01 ㆍ제2대 성주성 교장 부임

2002. 03. 05 ㆍ제3회 입학식(10학급, 382명)

2003. 01. 22 ㆍ3개 학년 33학급 인가

2003. 02. 07 ㆍ제1회 졸업식(10학급, 432명)

2003. 03. 03 ㆍ제4회 입학식(13학급, 534명)

2003. 12. 31 ㆍ지상 5층 증축(2,202.71㎡, 연면적 11,636.77㎡)

2004. 01. 30 ㆍ3개 학년 39학급 인가

2004. 02. 06 ㆍ제2회 졸업식(10학급, 397명, 총 졸업생 829명)

2004. 03. 02 ㆍ제5회 입학식(15학급, 571명)

2005. 02. 04 ㆍ제3회 졸업식(10학급, 375명, 총 졸업생 1,204명)

2005. 03. 02 ㆍ제6회 입학식(13학급, 518명)

2005. 09. 01 ㆍ제3대 이일성 교장 부임

2006. 02. 09 ㆍ제4회 졸업식(14학급 520명, 총1,724명)

2006. 03. 02 ㆍ제7회 입학식(14학급 553명)

2007. 02. 08 ㆍ제5회 졸업식(15학급 538명, 총 2,262명)

2007. 03. 01 ㆍ제4대 박종민 교장 부임

2007. 03. 02 ㆍ제8회 입학식(14학급 535명), 특수학급 신설

2008. 02. 04 ㆍ제6회 졸업식(13학급 493명) 총 졸업생 2,755명

2008. 03. 03 ㆍ제9회 입학식(13학급 495명)

2009. 02. 06 ㆍ제7회 졸업식(14학급 527명, 총 졸업생 3,282명)

2009. 03. 01 ㆍ제1학급 증설(총43학급), 복수교감 발령

2009. 03. 02 ㆍ제10회 입학식(15학급 617명)

2009. 09. 01 ㆍ제5대 서영봉 교장 부임

2010.02.10 ㆍ제8회 졸업식(14학급 512명, 총 졸업생 3,794명)

2010. 03.02 ㆍ제11회 입학식(14학급 581명)

2010. ??. ?? • 매점이 사라졌다.

2011. 02. 10 ㆍ제9회 졸업식(13학급 482명, 총 졸업생 4,276명)

2011. 03. 02 ㆍ제12회 입학식(13학급 483명)

2012. 02. 09 ㆍ제10회 졸업식(15학급 570명, 총 졸업생 4,846명)

2012. 03. 02 ㆍ제13회 입학식 (15학급 493명)

2013. 02. 07 ㆍ제11회 졸업식 (14학급 548명, 총 졸업생 5,394명)

2013. 03. 04 ㆍ제14회 입학식 (14학급 489명)

2013. 09. 02 ㆍ제6대 한기온 교장 부임

2014. 02. 13 ㆍ제12회 졸업식 (13학급 466명, 총 졸업생 5,860명)

2014. 03. 03 ㆍ제15회 입학식 (13학급 431명)

2014.여름방학 • 학교 외벽 일부를 형광 주황색으로 칠해버렸다.미친 보기 싫어

2015. 02. 10 ㆍ제13회 졸업식 (15학급 477명, 총 졸업생 6,336명)

2015. 03. 01 ㆍ제7대 박종오 교장 부임

2015. 03. 02 ㆍ제16회 입학식 (11학급 328명)

2016. 02. 05 ㆍ제14회 졸업식 (14학급 457명, 총 졸업생 6,793명)

3 특징

주로 송촌초등학교와 대양초등학교 출신들이 많으며, 드물게 매봉초등학교와 법동초등학교 출신이 존재한다.
학교 건물을 찍을 시에는 앞에 있는 동춘당 공원을 마당으로 찍어 사기를 친는다.
정수기 물이 어느 순간부터 맛없어 졌다.
2014년도 여름 방학 기간에 외벽과 내벽 페인트 칠을 했는데 내벽을 형광 주황으로 칠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매점이 사라졌다 그리고 문서창고가 들어섰다
바로 옆에 송촌초등학교와 근처에 송촌고등학교가 존재하여 배정을 잘못받거나 이사가는 경우가 아니면 송촌 초,중,고등학교를 나오는 경우도 있다.

4 학교 상징

4.1 교표

sym_img1.gif

4.2 교육 기저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obj_img1%20copy.jpg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obj_img2%20copy.jpg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obj_img3%20copy.jpg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obj_img4%20copy.jpg

4.3 교훈

sym_img2.gif

4.4 교화

sym_img3.gif

4.5 교목

sym_img4.gif

소나무인줄 알았는데

4.6 교가

sym_img5.gif


'세계 속' 부분은 두음이나 낮춰도 변성기 남,여(...)학생들은 내기 힘든 '높은 레'이다.
그래서 교가로 수행평가를 볼 때면 자꾸 웃음이 터진다
쎄➚계➝ 속➘
키를 낮추어 부르게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힘들다.

5 학교 시설

sc_sub_menu3.jpg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2016%EB%85%84%20%EC%8B%9C%EC%84%A4%ED%98%84%ED%99%A9.jpg

file_push.php?mode=contents&fname=2016%EB%85%84%20%EC%8B%9C%EC%84%A4%ED%98%84%ED%99%A9-2.jpg

넓다.
필요 이상으로 넓다.[1]
게다가 삼지창 모양으로 신입생들에겐 혼란의 구조이다.
보통 교실 외에는 1층,3층 강당과 5층 무용실,4층의 제1음악실과 지하의 제2,3[2]음악실,4층의 진로실,1층의 가정실이 있다. 급식실은 체육관 2층에 있다. 옥상으로 가는 계단은 올라가면 흡연자 간주라는 글로 막혀있다.
운동장은 아주 매우 많이 심히 좁다.[3]골기퍼 골이 허다하다
2016년도로 넘어가는 사이에 일부 화장실 공사를 했다.불도 자동으로 들어오면 켜지고 나가면 꺼진다!핸드 드라이어도 있다!
참고로 급식실과 3층 강당은 언뜻 보기엔 하나 같지만 새로 만들어 이어붙인듯한 체육관에 있다. 그리고 그 교사는 3층까지 있는데 계단은 4층까지 있다.컵라면 먹기에 딱 좋지그 계단으로 올라가면 혼자 명상할 수 있는 창문이 있다.보통 그 계단을 쓰지 않는데 그 계단을 오르지만 않으면 눈에 띄지 않는 창문이다.그리고 4층으로 갈 듯한 문이 있는데 그 문은 그 교사의 옥상으로 통하는 문이다.아주 가끔 열려있었는데 정말 별거 없다.그냥 옥상이다.게다가 벽이 높아서 운동장도 보이지 않는다.그래서 그곳에서의 명상을 포기 했다.대신 본 교사의 4~5층이 보이는데 우연히 창문 너머로 눈이 마주치면 어색하다.(...)

6 학교 생활

6.1 과목

교과목교과서 출판사
국어미래엔
사회비상교육[4]
역사비상교육[5]
도덕동아출판
수학동아출판
과학금성출판사
영어비상교육
기술•가정천재교육
음악동아출판
미술동아출판
체육비상교육
한문천재교육
중국어천재교육

[6]
사회는 1, 3학년, 역사는 2, 3학년이 배운다.
1, 2학년은 한문 또는 중국어를 배우고 3학년은 앞의 2과목 대신 2학년 때 잠시 쉰 사회를 배운다.
그 외에 스포츠, 방과후, 동아리 과목이 있다. 동아리 시간은 화요일 6,7교시마다 격주로 운영하며,시험 기간에는 교과학습을 진행한다. 학기 초에 가입한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것이다.[7] . 방과후 시간은 목,금요일 7교시에 실시하며 약 2만원 정도의 돈을 지불하고 자율적강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과 종합반을 들으며, 체육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배구부나 축구부 등을 지원하게 된다.[8] 스포츠 수업은 이웃한 2~3반 끼리 모여 일주일에 2시간씩 풋살부, 족구부, 농구부 등에서 활동하는 것이다.

6.2 교복

동복 하복청소부

명찰

2016년도 기준으로 3학년이 흰색, 2학년이 노란색, 1학년이 초록색이다.
금년부터 교복 조끼에도 다는 듯 하다.
체육복은 일반적으로 달아야 하지만 잃어버리고 새로 산 경우에는 안 다는 경우도 있다.혼난다.

동복

하늘색 바탕에 흰색 세로 줄무늬의 셔츠에 남색 조끼,넥타이,마이를 착용한다.
그리고 여학생 교복이 바지다..!
바지라고 불평하는 경우도 있지만 졸업할 무렵에는 바지와의 헤어짐을 아쉬워 한다.
남학생 교복이랑 셔츠 카라 모양 빼고는 다른게 없다.[9]
참고로 남학생의 교복은 대전고등학교의 교복과 거의 비슷하다. 셔츠만 빼면 거의 동일한 편.
그래서인지 송촌중을 졸업하고 대전고로 간 몇몇 남학생들은 교복이 중학교 때와 거의 비슷해 변화감이 없어 슬퍼한다.그게 나야^^

하복

남학생 교복은 무난하지만 여학생 교복은 항아리 치마라 불만이 많다.2014년도에 생활복 상의가 생기고 2015년도에 생활복 하의반바지가 생겼다..! 2015년도 신입생들부터는 하복 생활복이 교복으로 아예 바뀌어버렸다 흰색 상의는 더 이상 교복이 아니다 참고로 몇년도 인지는 모르나 예전 여자 동복 조끼는 회색이였다고....[10]


체육복

무난한 남색과 흰색의 디자인이다.동복 어깨의 흰부분에 낙서를 하는 경우도 있다.얼마전 체육복 변경 공문이 나왔다.

6.3 규정

공통

액세서리,염색,파마 금지.
단색 양말을 신으라는 규정도 있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예전에는 가방색도 단속했으나 이제는 안한다.
동복은 넥타이를 매야한다.잃어버리면 근처 문구점에서 사야한다.사복 잠바를 입을 경우 안에 마이를 착용해야 한다.겨울철 조끼 대신 브이넥 니트를 입어도 된다는 규정이 있는데, 선생님마다 달라서 안에 조끼도 입어야 된다는 선생님도 있다.니트 대신 맨투맨이나 후드티를 입는 학생들도 있었으나 2016년도 부터 금지 당했다.(...)그리고 바지 줄이는 것에도 제한이 있다.너무 달라붙게 줄이면 검사할 때 잡힌다.이 규정이 특이한게 선생님마다 다르지만 발목부분 지퍼의 유무를 주로 본다.아무리 줄였어도 지퍼가 없으면 잡지 않고 별로 안줄였어도 지퍼가 있는 경우에 잡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숨막힐 정도로 줄였어도 비닐봉지 하나에 의존하는 학생들이 많다.하복은 여학생들만 교복일 경우 리본을 달아야 하지만 하복은 보통 생활복을 주로 입고 리본은 별로 잡지 않는다.하도 리본을 안매서 리본 맨 학생을 보면 리본도 있었냐는 드립을 치는 선생님도 계셨다.생활복을 체육복 대신으로 입으면 벌점 파티다. 교복 상의가 흰색이라 안에 무채색 티를 입게 한다.하지만 삐까뻔쩍하다.그리고 왠진 모르겠지만 하복에 스타킹을 신으면 잡힌다.

여학생

여학생은 카라를 넘지 않는 단발이어야 한다.고데기로 똘똘 말아도 펴보는 선생님도 있다.(...)앞머리 파마는 당연하겠지만 라면같은게 아니면 잡지않는다.화장 금지.지만 할 애들은 꾸준히 한다.

남학생

남학생은 앞머리는 눈썹을 넘지 말아야 하며 옆머리는 구렛나루, 뒷머리는 머리선을 넘어서는 안된다. 물론 잘 지켜지지 않는다. 특히 앞머리는 선생님들께서 눌러 보신 다음 눈썹을 넘는지 확인한다.

6.4 급식

맛있는 편. 근처 중학교를 돌다 오신 선생님들에 의하면 이 학교가 제일 맛있다고 한다. 졸업생들이 고등학교 급식에 대해 불만을 토로한다고.하지만 풀나오는 날에는 풀만 나오고 고기 나오는 날에는 고기만 나온다는 말이 많다. 얼마 전까지 매우 싱거워서 불평이 많았다.국의 경우 물에 고춧가루 살짝 풀어놓은 수준이었다.하지만 이제 괜찮다는 평이다.김치는 자율 배식인데 맛이 케바케다. 급식 순서는 새학기 첫날을 제외하고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먹는다.[11] 순서는 달로 바뀌는데 한 주씩 돌아가던 때도 있었다.[12]

7 학교 행사

매년 1학기 중간고사가 끝나면 합창 대회를 한다.체육대회는 일단 운동장이 작아서 한번에 한 학년들 밖에 수용하지 못하는데 2014년도에는 아예 하지 않았고 2016년도에는 1학년과 2학년이 수련회를 가 있는 동안 3학년 여자 피구 대회,3학년 남자 축구,배구 대회로 간소화 됐다.
매년 2학기 기말고사 후 학교 축제로 금바위 축제를 연다.오디션에 통과한 재학생들과 대학교 댄스 팀 같은 외부 초청객을 부른다.축제 참가 조건은 벌점 10점 이하만 가능하다.전체적으로 골고루 뽑는 편이지만 일단 3학년한테 우선권을 준다.

7.1 반배치고사

학교 배정이 나고 2월 쯤에 예비입학생은 반배치고사를 치르게 된다. 시험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이며, 이때 일부 교과서 배부도 한다. 유의점은 배치고사 성적은 입학 후 영어 과목의 수준별 수업 반 편성에도 반영된다. 그러므로 무턱대고 찍으면 C반 또는 D반에 편성되있는 자신을 볼 수 있다(...) 물론 입학 후 성적이 오르면 학기마다 반이 바뀐다. [13]

7.2 체육대회

매년 4월에서 12월까지 반 대항 리그전를 여는데, 종목은 남자와 여자가 다르다.
남자의 경우 축구, 농구, 배구 등의 리그가 있으나, 그중 가장 인기가 있는 건 축구다.
보통 송촌컵이라고 불리는데, 가을까지는 리그전을 하다가 10월부터 리그전 순위 5등까지를 뽑은 후, 포스트 시즌과 비슷하게 대진표를 짜 경기를 하게 된다.kbo리그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다. 이렇게 해서 우승한 팀은 다른 반의 부러움을 사며 상장과 함께 금일봉을 받게 된다.[14]
"여학생 종목은 추가 바람"

7.3 수련회 및 수학 여행

2013년도는 1학년이 영어마을 2학년이 해병대캠프 3학년은 "추가바람"
2014년도부터 2015년도 1학기까지 수련회,수학여행,현장체험학습을 모두 가지 못했다. 세월호 사건의 여파라고 선생님들이 안내하셨다. 반에서 영화보고 1시에 학교가 끝나는걸로 마무리했다.
2015년도는 2학기에 반끼리 자율적으로 밖으로 체험가거나 교실에서 영화봤다. 그리고 1학년들은 띵가띵가 1박 2일 현장체험학습을 갔다.

2016년도 1학년부터는 다시 수련회를 간다고한다. 작년에 졸업한 졸업생들은 눈물만 흘립니다.
2학년들의 수학여행은 둘째 날 에버랜드 견학 도중에 비가 와서........첫째날 에버랜드 견학간 반은 더위속에서 신나게 놀았다 [15]
이번 졸업생들도 눈물을 흘리겠다. 1학년때 세월호 2학년때 메르스 이제는 성적이 잘 나와야지 수학여행을 간다 안습

"지금은 송촌고1학년에 다니는 졸업생이 쓴거라 정확하지 못함 수정바람"

8 여담

2016년도 기준 3학년들은 중학교에 올라와서 수련회 및 수학 여행을 가본적이 단 한번도 없다.(...)
후배들을 그다지 탐탁치 않게 여기는 학생들도 몇 있다.[16] 이유는 본인들은 답답한 교실에 박혀서 공부만 할 때사실 멍때렸다.당시 1학년이었던 후배들은 자유학기제로 여기저기 놀러다닌데다 당시 2학년들의 교실 바로 옆 강당에서 브라스 밴드를 불러서 공연하여 소음을 만들어 내거나시험기간이었다. 1교시 부터 삼겹살과 김치 국수를 만들어 교실에 먹지도 않은 삼겹살 냄새가 뱄기 때문이다.16년도에와서도 갑자기 3학년들 졸업 여행은 국가학업성취도평가 성적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말과 1,2학년들이 수련회에 가 있을 때 근처 수목원광장에서 산책해야 한다는 소식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17]그래도 12월 달의 졸업 여행에 관한 설문조사지가 나왔는데 3학년 전부 만장일치로 갈거라고 했다는 얘기가 있지만 1박 2일과 2박 3일 코스가 있는데 1박 2일 코스는 에버랜드와 미술관,절,박물관 등을 이틀도 안되는 시간에 다 해야하는데 한번에 여러 반이 있을 수 없다는 걸 생각하면 에버랜드 같은 경우는 줄만 서다 끝날수도 있다는 거다.게다가 2박 3일 코스는 수련회이다.졸업 수련회(...)학교에선 1박 2일을 원하는 것 같다.

특이하게도 동춘당에서 졸업사진 중 몇 장을 반드시 찍는다.
  1. 이 때문에 토익,공무원 시험을 틈만나면 본다1년 내내 시험 대형을 유지하는 반도 많다.
  2. 재학 3년 동안 한번도 안가보는 경우도 있다.2016년에 탁구장이 만들어지면서 사라졌다.
  3. 그렇지만 인원수는 많아 한 운동장에서 3반정도 같이 수업하기도 한다
  4. 사회과 부도는 금성출판사이다.
  5. 역사과 부도는 금성출판사이다.
  6. 2016학년도 3학년 기준
  7. 2016년도부터 갑자기 취미별 동아리에서 직업별 동아리로 바꼈다
  8. 교무 회의로 인해 한달에 한번 쉬게 된다.주로 마지막주 목요일이다.
  9. 여학생 카라는 둥글다.하지만 남자 셔츠를 입는 여학생도 많다.(...)
  10. 여학생들이 남학생 조끼만 입는 바람에 사라졌다고 한다(...)
  11. 2016학년도 2학기 기준으로 1학년이 운동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는 이유로 매주 금요일마다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먹는다.
  12. 다른 학교처럼 급식 쟁탈전이 없는 대신 반 바꾸기와 새치기가 난무한다.반 바꾸다가 걸리면 제일늦게먹는다
  13. 3과목중 영어가 가장 어렵다. 송촌중에 올 위키러들은 시험 보기 전에 문법책을 하나 사서 복습해보길 바란다.
  14. 그러나 우승한 반 친구의 증언에 따르면 돈은 매우 적다 한다.
  15. 하지만 숙소는 좋았다.
  16. 물론 일부의 이야기이다.
  17. 작년 3학년들도 자율적으로 결정해서 애버랜드를 간반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반들도 많았음 또한 수목원은 작년 3학년들도 소풍으로 갔다.우리반은 안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