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검

(동검에서 넘어옴)

a0119885_4b3316a2b4482.jpg
a0119885_4b3316a29cfd4.jpg

1 개요

청동이 쓰던 검

청동기시대에 쓰이던 검. 청동으로 만들어진 검이다.

녹슨 상태가 청색이지, 사실 주조 직후 색깔은 한국것은 보통 은색이고, 중국것은 보통 금색을 띠고 있다.[1]

시험에선 다른 시대 유물이랑 보기로 묶어놓고 같은 시대 유물을 골라보아라 하는 문제가 자주 나오므로, 국사를 치는 사람은 상식 레벨로 익혀두는게 중요하다.

2 역사

용도는 크게 2가지로 제사용, 전투용. 제사용의 청동검은 대표적으로 비파형 동검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비파처럼 생겼으며 청동기시대에는 군장의 권력의 상징이었다.

청동제 무기가 무기가 아니라니, 전투용으로 쓰이지 않았다니 그건 헛소리다. 워냑 재료가 귀해서 지배층밖에 쓰지 못했을 뿐이지, 전투용으로 쓰이지 않았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세형 동검만 보더래도 청동제 물건의 의기화가 이루어졌던 철기 시대에도 전투용으로 잘 써먹었다는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아무리 청동이 돌이랑 부딪히면 휘거나 부러지더라도 사람 몸에는 충분히 손상을 입힐수있다. 예리하기는 석기 무기보다 더 예리하기에, 베거나 찌르는데는 훨씬 좋은 성능을 발휘했을거라고.

2.1 한국

한국에서는 의제도구로 쓰인 경우가 많으나, 대체적으로 초기 청동기시대 때 만들어진 비파형 동검과, 후기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까지 만들어진 세형 동검으로 나뉘어진다. 이때 비파형 동검은 날이 갈리지 않았기 때문에 의식용 도구로 쓰인 것이 확실하지만, 세형 동검에서부터는 전투용보다는 주로 의식용 도구로 쓰였을 지도 모른다[2]는 설이 있었으나, 이후 밝혀진 바로는 세형동검은 분명히 무기로 사용되었다. 발굴된 세형동검들은 대부분 무기로 사용한 흔적이[3] 있다. 세형동검이 사용되던 시절에는 철기와 혼용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리고 한마디 더 붙이면 청동제 농기구는 없다. 이 두 가지만 기억해도 함정카드시험지에 낚여서 땅을 치는 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것도 한국에 한해서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청동제 농기구가 종종 나온다. 물론 청동값이 비싸서[4] 청동제 농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중고등학생들은 청동기 시대라는 말만 듣고 전투에서 주로 청동기 무기를 사용했다고 낚이곤 한다. 국사문제에 세계사를 열심히 공부해서 적용하게 되면 다소 '억울'하게 낚일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세계사 공부의 포인트를 잘못 잡은 예다. 상식적으로 수만 수천 년 역사에 청동제 무기나 농기구를 '누구도' 사용하지 않았을 리 없지만 사용했다면 이는 보편적 조류에서 '특이한 예'로 기록되기 때문이다. 교과서에서는 이런 내용을 소개하지 않을 뿐더러 이런 걸 내려면 따로 사료나 사진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수능이든 내신이든 이런 식으로까지 괴악하게 문제를 내면 욕을 처먹기에 누구도 이렇게 내려고 하지 않는다. 사학과에 가서 공부를 한다면 모르겠지만. 고등학교 수준이라면 역사의 특이점보다는 보편성과 일반론에 더 주목하자.

실제로는 여전히 석기가 무기로 더 많이 쓰였고, 일상 용품도 대부분 석기와 (남은 건 거의 없지만)목기였다. 위만 조선의 정복활동에 대한 기록에 보면 한나라에서 수입해 온 철기로 무장한 위만 조선의 군대에 맞서서 석기로 저항했다는 말이 나온다.

2.2 해외

이는 다른 나라와는 대조적인데, 중국이나 스키타이와 그리스 등등 대부분의 경우 무기다. 심지어는 청동제무기 쓰는 진나라무기 쓰는 연나라를 바르고 중국통일을 했다. 이는 전국시기 금속가공기술의 발달도 때문인데, 이 시절 청동검은 깨지는 데에 대한 저항력도 철검과 맞먹거나 우월했다. 월왕구천검 참조.[5]

2.3 철기시대

철기시대가 되면서 철검의 생산성이 엄청나게 좋았던 덕분에 밀려서 사라졌다. 단 좋았다는 뜻이 오늘날 보듯이 철이 더 단단해서라는 의미는 아니다. 초기의 철기는 가공 기술의 부족으로 불순물 함유량이 매우 높아서 굉장히 잘 깨졌다. 오히려 청동검보다도 내구도가 낮았던 것. 청동검은 주로 강한 충격을 받으면 그냥 휘기만 했으므로 나중에 고쳐쓸 수 있었지만 철기는 깨지거나 부러지면 버려야 했다. 그리고 내식성에 있어서도 청동의 상대가 안된다.[6] 철의 장점은 청동의 재료인 구리, 주석, 아연 등에 비해 매우 구하기 쉬웠다는 점이다. 중국 전국시대 내지 고조선~삼한 시대에는 철괴가 바로 화폐로도 쓰일 정도였으니.

그러나 사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특히 춘추시대까지는 대부분의 무기는 청동제였다. 월왕구천검이라든가 하는것도 전부 청동제. 전국시대에도 진시황의 秦나라의 주 병기는 청동제였다. 이는 해당국 영토에 청동광산이 많이 있나 철광산이 많이 있나로 갈라진다. 무기의 완전철기화는 한대 이후로, 그전까지는 청동도 많이 쓰였다.

무기 뿐만 아니라 갑옷도 철기화의 이득을 많이 받았다. 청동 갑옷은 무게가 엄청나기 때문.

3 제조 과정

주로 거푸집에 쇳물을 부어 만들며, 경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4 여담

묘하게 많은 RPG에서 철검보다 성능이 낮은 애매한 무기로 나오는 일이 많다. 사실, 철검이 이미 널리 쓰일 정도라면 청동검은 박물관에나 들어 있을테니 조금 고증이 안 맞는 상황이지만.

레어 아이템으로 월왕구천검이 있다.
  1. 주석을 섞느냐 아연을 섞느냐의 차이이다. 이는 고조선을 포함한 북방계와 남방 중국계 문명 발생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다.
  2. 이전에 이렇게 추측한 근거는 세형 동검의 경우 칼날과 손잡이 연결부가 약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전투에서 몇번 휘두르다 보면 손잡이가 부러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라는 추정이었다.
  3. 거푸집에 끼워보면 닳아서 안맞는다던지, 피로 추정되는 철분이 묻어있다던지
  4. 즉 제조에 공이 많이 들어서.
  5. 물론 이때 철검은 가공기술이 청동기보다 부족했기 때문. 이후 철기 가공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청동기는 역사 뒷편으로 사라진다.
  6. 당시의 청동검이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에 비해, 철기는 종류 불문하고 전부 부식되어 형체만 간신히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