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정보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내보내기 때문에 쌍방향 운용, 재생, 축적이 가능한 차세대 방송기술을 말한다.
2 텔레비전 방송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유럽식(DVB)과 미국식(ATSC)이 있고, 그 외에 일본식(ISDB)과 중국식(DTMB)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지상파는 미국식을, 셋톱박스를 경유하는 케이블[1]과 위성은 DVB-C[2]와 DVB-S를 이용하고 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 도입 초기엔 수신률과 다채널, 수상기 가격[3] 이동수신 등의 장점을 이유로 유럽식으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미국식 방식에 대한 기술을 한국 가전업체들이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다가 HDTV 방송 구현이 비교적 용이[4]하다는 점 때문에 결국은 미국식(ATSC)으로 낙점되었다. 다만 휴대용 기기에서 이동하며 수신하는 DMB 방송은 유럽식에 가깝다.
미국식 ATSC는 8-VSB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코덱으로 오디오는 Dolby AC-3, 비디오는 MPEG-2 (앞으로 도입할 개량형에는 H.264 코덱 도입이 예정)을 쓴다. 유럽식 DVB-T는 OFDM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코덱은 MPEG-2를 쓴다. 미국식은 유럽식에 비해 변조가 간단하고 HDTV 방송 구현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럽식에 비해 멀티패스에 취약하고 이동수신이 거의 힘들며 Single Frequency Network(SFN)[5][6]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7] 장점 중에서 HDTV 구현 부분은 유럽식 포맷의 개량으로 그 우위가 점차 희석되고 있으며, SFN 송출이 안된다는 점은 산악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전파환경 상 상당히 아쉬운 부분.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다채널 및 고화질을 구현하기 쉽고 데이터도 같이 송신[8]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파 간섭이나 감쇄에 의한 영향이 적어 고스트 등 화질 열화가 없다. (다만 신호 손상이 크면 아예 안 보이기는 한다. 말 그대로 모 아니면 도) 이러한 장점으로 많은 나라에서 디지털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아예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을 종료하였다. 한국에서도 아날로그 방송이 2012년에 종료 되었다.
하지만, 구형 텔레비전은 현재의 디지털방송과 전혀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디코더 등의 시스템을 별도로 구매하거나, 디지털 디코더가 달려있는 텔레비전을 새로 구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추가비용을 지불해야한다는 단점도 있다. (미국의 경우 디코더 비용을 보조해주었다)[9]
전송방법은 위성으로 방송하는 방법과 UHF 전파(지상파), 기존의 케이블 텔레비전망을 이용하여 방송하는 방법이 있으며, 특이하게도 뉴질랜드의 Freeview라는 디지털방송은 위성과 UHF라는 두가지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한다. 넓은 범주에서 보면 스카이라이프도 디지털 방송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에선 지상파방송사들이 100% 디지털 방식으로 송출하며, 해외에서는 영국의 지상파 다채널 디지털방송 시스템인 Freeview[10], 뉴질랜드의 디지털 케이블방송인 TelstraClear가 대표적이다.
유럽식인 DVB-T/T2 방식을 제외하고는 이동수신이 불가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바일용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구축한 곳도 있다. 한국의 DMB나 일본의 원세그가 대표적.
참고로 디지털 방송으로 HD 수신을 받을 경우, 연기자의 얼굴에 잡티난것까지 선명하게 나온다. 고로, 최근에 텔레비전에 나오는 모든 사람들은 화장에 좀 더 신경을 쓰게 되었다고...
2013년 1월 1일, 아날로그 방송이 중단됨에 따라 방송사 로고 옆에 붙던 HD로고가 모두 사라지고 자막들도 16:9 화면 기준으로 바뀌었다. 다만 북한, 조선족 주민들을 위해 북한향 한정으로 아날로그 방송이 계속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2013년 1월에 서울 문래동에서 확인 되었다. 근데 북한은 PAL 방식일텐데?[11]
북한도 디지털 방송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유럽식이나 중국식 전파방식을 채용할 것으로 보여 남북한 간 TV전파는 완전히 호환이 안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북한향 전파를 유럽식이나 중국식으로 쏜다면? 최근에는 북한에서 중국산 디지털TV 수신기를 대거 수입했다고 한다.
3 라디오 방송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는 유럽의 DAB 방식[12](VHF 대역), DRM 방식(단파 대역 이하)과 미국의 IBOC 방식 등이 있다.
현재의 주류 라디오 방송은 아날로그 방식이지만 사실은 제작단계나 FM, AM 변조(최종 전파송출) 이전의 송출단계에서는 디지털 라디오에 가깝다. 최종 송출된 전파 신호만 아날로그인 셈. 1994년 KBS 1FM 수도권 방송에 APT-X 코덱이 처음으로 적용된 이후 라디오 송출용 전용회선망이 디지털화되었고 2000년대 초반에 스튜디오 장비가 기존의 아날로그 오픈릴에서 테이프리스 시스템으로 교체되었기 때문.
DAB/DAB+는 기존의 FM 대역(VHF 88-108MHz)과 별개의 대역을 사용하는 Out-Band 방식이고, IBOB는 기존의 FM 대역을 활용하는 In-Band 방식이다. DRM은 In-Band 방식이며, DRM+은 VHF 대역의 경우 Out-Band 혹은 In-Band 방식의 혼용인 듯.
3.1 방식별 특징
- DAB/DAB+: 유럽에서 Eureka 147 계획으로 만들어진 방식. DAB는 MPEG-1 Audio Layer 2(MP2) 코덱을 사용하며 DAB+는 AAC 코덱을 사용하며 기존의 DAB보다 잡음에 더 강하다고 한다. DAB는 영국, DAB+는 독일 등 몇몇 국가가 채택하였다. OFDM에서 변형된 C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멀티패스에 강하며, SFN 송출이 가능하여 주파수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유럽지역에서는 TV방송에서 이미 용도 폐기된 VHF Band III (한국/미국식 TV채널 7~13번에 해당) 대역을 사용한다. 1.536MHz의 대역폭을 갖는 하나의 앙상블로 송출되는데 그 앙상블에는 여러 개의 방송국을 담을 수 있다.[13] 한 방송 당 최대 배정가능 비트레이트는 192kbps. 구체적인 방송국 수는 비트레이트 송출에 따라 달라진다. 기존의 AM/FM 대역과 호환성이 없고 별도의 대역에 송출해야 하므로 방송국에게는 별도의 비용이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 사실 우리나라의 DMB의 기술적 기반이 이 방식.
- IBOC: 별도의 대역에 별도의 콘소시엄을 구성하여 송출해야 하는 DAB의 단점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 미국에서는 'HD Radio'로 알려져있다. 디지털 전환이 완료된 경우 각 방송국 당 최대 송출가능 비트레이트가 300kbps까지다. 이 방식의 최대 장점은 별도의 대역이 필요한 DAB와 다르게 기존의 AM, FM 신호를 같은 대역에 병행송출이 가능하여 디지털 전환에 좀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다만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이라 유럽에서 개발된 DAB보다는 세계적인 보편성은 떨어진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FM 스테레오 신호에 간섭을 준다는 얘기도 있다. 사실 이 방식은 유럽의 DAB/DAB+에 비해 기술적으로 뒤쳐진다는 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가 미국 내에서도 제기되었지만, 기득권을 놓치고 싶지 않은 라디오 업계의 압력과 유럽과의 경쟁에서 뒤쳐지기를 원치 않은 미국의 자존심 상 이 방식을 밀고 갔기로 했다는 뒷말도 있다(...).
- DRM/DRM+: 중파, 단파 대역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에서 만들어진 디지털 라디오 송출방식으로, AAC 코덱을 사용하며 전파환경에 따라서 에러정정 코드의 복잡도를 A모드(근거리)에서 D모드(원거리)까지 설정가능하다. 현재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단파방송에 적용을 확대하고 있는 상태다. 설정모드에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AM신호를 병행 송출이 가능하다. FM대역을 비롯한 VHF 대역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DRM+도 있다. DRM+는 하이브리드 방식이라는 점에서 IBOC와 유사하나 200kHz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미국/한국 FM방식과 다르게 100kHz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유럽 FM방식에 맞춰 개발된 것이라 FM방송 주파수가 과포화된 한국의 환경에서는 더 유리할 수 있다. 대역폭이 극단적으로 좁은 중파, 단파 환경에 맞춰 개발된 DRM에서 발전된 DRM+는 다른 방식에 비해 주파수 효율성이 더 좋지만 DRM+ 방식 자체가 나온 지 얼마되지 않은 점이 문제라면 문제.
3.2 라디오 디지털 전면 전환의 문제점
텔레비전 방송에 비해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이 전 세계적으로 지지부진한 이유로는, 라디오 매체의 특성이 텔레비전과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라디오는 대중매체로서의 특성이나 이용층의 특성[14] 모두 상당히 보수적인 매체이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에 적대적인 성향이 짙다(특히 주 이용층의 경우).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를 폐지하고 디지털로 전면 전환하는 것에 대해 반발 심리가 강하다.("기존의 FM라디오가 잘 나오는데 굳이 웬 디지털 라디오야???")
게다가 아날로그 라디오 수신기가 대한민국에 수백만대~수천만대나 이미 보급된 상태다. 만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전면 중단했을 경우 이들 기기는 이제 쓸모없어지게 되며 폐기처분된 수신 장치로 인한 각종 환경문제 및 청취자 권리 박탈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카 오디오를 비롯하여 등산, 캠핑, 비상상황때 주로 쓰는 휴대용 라디오가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MP3P에도 기본적으로 FM튜너가 내장되어 있다. 그나마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경우, 대개 안방에 고정하여 보는 장치라 컨버터를 달면 일단락될 수 있겠지만, 휴대용 아날로그 라디오에 거추장스러운 컨버터를 달 수 있겠는가(...).[15]
그리고 디지털 방송의 특성상 수신상태에 따라 '모 아니면 도'의 성격이 강한데, 아날로그 방송이었다면 지지직하는 잡음이 들릴 뿐 방송의 기본 내용은 파악이 가능할 정도라면 디지털 방송의 경우 아예 방송이 안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의 전력(배터리) 소모량이 아날로그 수신기보다 많다는 것이 큰 흠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단점은 비상사태 시 의외로 치명적인 결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16][17] 또한 수신기 가격이 기존 아날로그보다 비싸다는 것도 문제점.
음질 면에서도 디지털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192kbps급 비트레이트에, 괜찮은 성능의 최신식 코덱(이를테면 AAC)을 사용한다면 일부 민감한 황금귀(?)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스펙 상으로는 기존의 아날로그 FM보다 우월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방송국 수를 늘리기 위해 비트레이트 수를 128kbps로 줄이고, 게다가 코덱이 영국의 사례처럼 상당히 낡아빠진 MP2 포맷을 사용한다면 MPEG 압축 오디오 특유의 치찰음(artifact)[18]으로 범벅이 된 불쌍스러운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아직도 128kbps급 MP3 파일을 많이 듣는 막귀 일반인들이 많은 현실에, 아날로그 FM방송 음질이 치찰음 부분만 제외하면 128kbps급 MP3와 비슷한 상황에 '음질'이라는 요소로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대중들이 매력을 느낄지는 의문이다. 텔레비전의 경우 디지털이 아날로그에 비해 '확실히' 선명하다는 장점을 일반 대중에게 부각시키기 쉬워 상대적으로 디지털 변환이 쉬웠지만, 오디오인 라디오의 경우 이런 점을 부각하기가 쉽지가 않다. 더구나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192kbps급 이상으로 고효율의 최신 코덱이 아닌 MP3와 비슷한 성능의 코덱에 128kbps 정도로 송출한다면...
사실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은 개량을 거듭하여 수십년 전에 이미 완성되어 오랜기간동안 전 세계에서 애용되고 있는 매체다. 반면에 디지털 라디오 방송은 1980년대 말에 개발이 착수되어 1995년에 서비스가 시작된, 상대적으로 최신의 매체이기에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점이 여전히 많으며, 기술발전에 따라 개량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마치 기존 TFT-LCD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는 IPS와 현재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지만 향후 발전 가능성을 지닌 AMOLED의 관계로 비유될 수 있긴 하다.
라디오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잡음과 멀티패스에 강한 디지털 변조방식과 효율성 높은 오디오 압축 코덱을 채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식의 선정은 필수적이며, 보다 저렴하고 저전력의 수신기가 널리 보급되어 일반 대중에게 디지털 라디오의 장점을 확실하게 각인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사실 라디오의 전면 디지털 전환의 가장 큰 실질적 장벽은 사업성 문제다. 대한민국 기준으로, 라디오 방송 자체가 미래의 사업성이 불확실한 매체라는 지적을 받는 마당에 방송사들이 큰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라디오 디지털 전환 문제에 회의적이거나 시큰둥해하기 때문.
3.3 국가별 현황
3.3.1 영국
디지털 라디오 분야에선 선도 주자 급 중 하나로 1995년에 BBC가 DAB 라디오 방송을 시범개시 하였다. 이때 같이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개시한 국가는 독일. 사용 대역으로 유럽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용으로는 이미 용도폐기된 VHF 하이 밴드를 이용. 2013년 현재 영국 정부는 수신가능 지역을 FM 방송의 수준으로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전면 디지털 전환할 계획이다.[19]
하지만 방송국 증설의 이유로 전국구 BBC 라디오 방송의 전송 비트레이트를 MP2 192kbps에서 128kbps로 낮추는 바람에[20] 음질저하 문제로 청취자들에게 욕을 많이 얻어먹은 적이 있다(...). MP3 코덱이 아니다! 낡아빠진 MP2를 저런 비트레이트로 송출했으니 방송음이 MPEG 오디오 특유의 치찰음 범벅이 되었을터(...)[21] 정확히는 음질 좀 떨어지면 클레임이 가장 많이 들어올 클래식 라디오 채널인 BBC Radio 3만 160~192kbps(스테레오) VBR로 송출하고, 팝 채널인 Radio 1, 1Xtra, 2, 6이 128kbps(스테레오), 나머지 채널은 64~80kbps(모노)로 송출한다. 또한 여전히 난청지역이 있는 것도 문제. BBC 방송국 본사 인근인 런던 서부에서 조차도 DAB 수신상태가 고르지 못하다는 내용의 취재방송을 BBC Radio 4(!)에서 한 적이 있다(...).
영국은 소규모 지역방송을 제외한 모든 FM, AM방송을 2017년 혹은 2020년 즈음에 완전 종료하는 계획이 있으나,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 구닥다리 코덱인 MP2 포맷 때문에 음질이 영 그렇고, 수신률도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 영국이 채택한 오리지널 DAB 방식은 2014년 현재 기준으로 매우 낡아빠진 전송 방식인 것이 문제. 최신식 오디오 코덱인 AAC를 사용하고 독일 등 여러 국가가 채택한 DAB+와 다르게 오리지널 DAB는 MP3 코덱보다도 더 구닥다리인 MP2 코덱을 쓰니(...).
3.3.2 노르웨이
영국과 비슷하게 1995년에 DAB 라디오 방송을 개시하여 2017년부로 FM 라디오 송출을 전면 중단할 예정이다.기사
3.3.3 대한민국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는 KBS와 당시 정통부는 KBS 제1라디오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DAB 시험 송출을 했었다. 이후 정보통신부는 유럽의 DAB 포맷을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 방송용 포맷으로 잠정 지정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물은 DMB.
하지만 '오디오와 비디오를 아우르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표방했던 DMB는 휴대용 비디오 방송 전용으로나 전락하였고, 본격적인 디지털 라디오 전환은 지지부진한 상태. 오히려 수많은 디지털 라디오 채널들의 송출이 중단되고 스마트폰용 라디오 스트리밍 앱이 보급되면서 디지털 라디오 쪽이 망하고 있다.
한편으로 방통위는 2013년 1월에 '디지털라디오 방송기술협의회'를 발족하여 8월에 디지털라디오 도입추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9월에 방송사와 청취자를 대상으로 한 공청회를 거쳐 12월에 디지털라디오 방송방식을 선정하고 이듬해 시험방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계획 내용을 방통위 관계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재확인)#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1월 2일 향후 5년간(2014년~2018년)의 정책 방향을 담은 ‘전파진흥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방송통신위원회와 함께 연내 디지털 라디오 도입을 위한 기술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연내 방송방식 및 기술기준을 제정하고 시범방송을 실시해 디지털 라디오 도입을 촉진할 예정이라고기사는 하는데... 2014년 8월 현재까지도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을 보면 진척 상황은 코레일타임급인 듯(...). 사실 이렇게 늦춰지는 것은 라디오 방송 시장의 기득권을 놓치고 싶지 않은 MBC가 In-Band 방식을 고집하여 Out-Band 방식을 선호하는 정부 및 KBS와 대립하기 때문이라는 카더라가 있긴 하다(...).
선정 후보 포맷으로는 미국식 HD 라디오, 유럽식 DAB, DRM+[22]이 있다.
설령 대한민국이 라디오의 전면 디지털 전환을 단행한다고 하더라도 아날로그 중파방송은 북한의 존재 때문에 존치될 가능성이 꽤 있다.[23] 또한 전방지역의 아날로그 FM 송출 또한 TV방송의 선례를 비루어보아 디지털 전면 전환 단행 이후에도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KBS 제1라디오 FM 송출 존치에 대한 문제는 전면 디지털 전환이 진행될 때 그 때의 위키러들이 나중에 반영할 것.
그런데 1995년에 세계 최초로 본격적으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개시한 선두주자인 영국조차도 라디오의 전면 디지털 전환 시기가 2015년에서 2017년, 2020년으로 자꾸 미루어지는 마당에 정부 당국조차 라디오의 디지털 전면에 소극적인(적극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 대한민국의 경우는 언제 전면 전환이 시작될 지부터가 미지수(...). 하지만 수도권 FM 주파수의 포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기는 하다.
2015년 현재에도 디지털 전환 추진정책이 지지부진한 상태(...).
라디오 디지털 변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13년에 발간된 정부 보고서를 참조바람.
3.3.4 미국
별도의 대역이 필요한 DAB의 단점을 해결하지 위해 기존의 AM, FM방송 대역에 활용할 수 있는 IBOC 방식을 개발하였다. 이 방식은 'HD Radio'이란 네임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수백개의 방송국이 이 방식으로 송출(기존 아날로그 신호 병행송출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3.3.5 일본
일본은 예전부터 디지털 라디오 변환 문제가 논의되었으나 FM보완방송 제도를 도입하는 등 사실상 잠정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 케이블 업계에서는 QAM 변조 방식을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다.
- ↑ 하지만 미국에서 들여온 삼성TV를 세팅없이, 셋탑을 거치지 않고 그냥 CATV 단자에 안테나선 꼽고 채널검색을 하면 채널 수백 개를 잡을 수 있는데 아마 ATSC/ClearQAM으로 추정된다. 이와 별개로 아날로그 상품에 가입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아날로그/디지털 겸용 수상기에 연결하면 아날로그 채널과 함께 지상파 디지털 채널(8VSB)을 수신할 수 있다. 모르는 사람이 케이블 표준을 DVB-C라고 적어둔 듯 하니 잘 아는 사람이 국내 디지털 케이블 TV 표준에 대한 내용을 수정바람.
- ↑ 당시에는 미국식보다 유럽식 방식의 디지털 TV수상기 가격이 쌌다. 지금이야 큰 차이는 없지만...
- ↑ 당시 유럽식은 SD 규격만 지원했다.
- ↑ 동일 권역 내의 송신소/중계소에서 동일한 주파수/채널로 송출하는 송출 시스템. 수도권 권역 방송이라면 남산 25번, 관악산 27번, 용문산 31번으로 따로 채널을 나눌 필요없이, 수도권이면 모든 송신소/중계소는 동일하게 25번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주파수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기술방식.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DMB에서 이 기술이 적용 중.
- ↑ 다만 이 SFN 송출이 기술적으로는 좀 복잡하여, time delay를 동기화하기 위해 시간을 일부러 늦추어야 하는 점은 있다.
- ↑ 삼성전자와 미국의 모 송신기 제작업체가 공동으로 개발한 개량형 ATSC 방식에서는 멀티패스에 좀 더 저항성을 갖고 SFN 송출은 가능하게 만들었고 실제로 시험송출(경기도 광명시 도덕산중계소)까지 이루어졌으나 기존에 이미 보급된 수상기(수신기)와의 호환성이 없기에 실제 적용이 흐지부지한 상태.
- ↑ 일본에서는 이 데이터방송(리모컨 d자 모양 버튼을 누르면 볼 수 있다.)이 많이 활용된다. 우리나라 역시 시행 중이기는 하나 디지털 방송 초기단계에서 데이터방송에 대한 관심이 덜했던 탓인지 일본처럼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다.
- ↑ 아니면 그냥 케이블 방송으로 보는 방법도 있다. 나중에야 전국적으로 8VSB를 시행했지만...
- ↑ 호주와 뉴질랜드에 각각 같은 이름의 시스템이 있으나 이 셋은 별개이다.
- ↑ PAL 방식으로 채널 10번에서 KBS 1TV를 틀어주기는 한다.
- ↑ 우리나라 DMB의 기술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 ↑ 우리나라 DMB도 유럽의 DAB를 변형시켜 만든 것이라 한 채널을 일종의 앙상블인 세그먼트로 만들어 여러 방송을 한 묶음으로 송출한다.
- ↑ 라디오 주요 청취층의 대부분이 운전기사, 등산객, 가정주부 등이라는 사실을 기억해두자.
- ↑ 다만 조그만한 FM 미니 송신기를 디지털 수신기에 연결하여 1~5m 이내에 무선으로 연결하여 듣는 방법은 있을 수 있다.
- ↑ 이 때문에 KBS 제1라디오 만큼은 아날로그 송출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 마찬가지의 이유로 영국에서는 BBC Radio 4만이라도 아날로그 송출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 동영상으로 치면 '깍두기 현상'에 해당하는 디지털 압축 아티팩트 현상
- ↑ 원래 계획은 2015년에 전면 전환을 완료하자는 것이었는데 상황이 저러는 바람에... 사실 한국정부도 1990년대 후반에 마련한 디지털방송 전환 안에는 TV, 라디오 모두 2010년에 전면 완료가 목표로 시정되어 있었긴 하다(...).
- ↑ 비트레이트와 주파수 점유폭은 비례관계이다.
- ↑ 자신이 좋아하는 라디오 방송을 잘 인코딩된 160kbps MP3급 음질로 듣다가 갑자기 우리나라 DMB 방송 음성부 음질로 바뀌었다고 생각해보시라(...).
- ↑ 그냥 DRM은 중파, 단파대역 전용.
- ↑ 이 문제 때문에 정부와 지상파 방송국들이 FM화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돈(송출 비용)만 많이 드는 중파 방송을 없애고 싶어도 못 없애는 이유이기도 하다. 북한 문제가 아니더라도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파방송을 존치하는 목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