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SC

1 개요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미국식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표준으로 아날로그 표준인 NTSC의 후속이며, 유럽 디지털 TV 표준인 DVB와 달리 처음부터 HD를 지원한다. 1996년에 표준으로 채택되어 1998년 10월 28일에 최초로 방송된 ATSC 규격은 비월 주사 방식(intelaced) 세로 1080 라인, 초당 30 프레임과 순차 주사 방식(progressive) 세로 720 라인, 초당 60 프레임의 규격을 채택했다.

미국 업체끼리 시작했지만,[1] 지금은 사실상 삼성전자LG전자가 장악하게 되었다. 요태껏 연극이었어?? 사실 애초에 주도권을 오래전 LG전자가 자회사로 인수한 제니스가 갖고 있었다. ATSC 모바일 방송 표준은 사실상 삼성과 LG의 대리전이라 해도 할 말이 없게 되었다. 아무튼, 현재 대한민국의 디지털 TV 방송은 이 ATSC 표준을 따르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한국 외에 남아메리카 일부 국가, 오세아니아 안의 미국영토에만 이용된다. 한편, 아날로그 TV 표준으로 미국식인 NTSC를 채택했던 타이완은 ATSC 대신 유럽식 DVB를 디지털 표준으로 채택했고 변형된 NTSC를 사용하던 일본은 자체 디지털 TV 표준(ISDB)을 채택했다. [2] [3] [4]

이동식/휴대용[5]으로 ATSC M/H(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Mobile/Handheld)가 있다. 하지만 늦게 나와서 한국의 이동식 방식은 DVB/DAB를 마개조한 T-DMB로 먼저 도입되었고 이것이 표준이다. UHD의 ATSC 3.0이 도입되면 어찌될지 모른다.

2 ATSC 3.0

전송 효율이 높아 한 개 주파수에 다양한 채널의 방송이 가능할 뿐 아니라 UHD 방송을 지원한다. 2015년 12월 말~2016년 초에 표준이 완성되는 터라 이 방식을 채택한 대한민국 기준으로 2017년 2월[6]부터 본방송이 가능하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들은 일찍 이 방식을 채택했는데 SBS는 LG전자와, MBC는 삼성전자와 ATSC 3.0을 이용한 시험방송에 성공했다.

KBSLG전자는 세계 최초로 ATSC 3.0 기반 UHD 방송 부가 서비스 실험 방송을 성공했다고 3월 29일 밝혔다. 실험 방송은 UHD 본 방송을 앞두고 유료방송에서 이용할 수 있었던 부가서비스를 지상파에서 구현하기 위해 준비했다. #

3 사용지역

3.1 중미

3.2 남미

3.3 아시아 · 태평양

  1. 주로 미국 업체 및 학계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런데 그 학계 대표인물이 한국인(백우현 박사)였다는 것은 안 비밀
  2. 그런데 원래 유럽을 독일과 친구적부터 동경해서 도쿄=동경 개그안된다!! 유럽식을 비디오오디오기기에 애용하며 늘 장벽을 만든다고 변종을 썼다. 방송이나 기타규격은 미국의 우방이기에 미국식을 쓴다.
  3. 이영향으로 주독 미공군이 현지수급&NTSC단점이 해결된 컬러채널방식인 PAL의 크로마와 녹화장비와 NTSC의 로컬용을 연성하고... 일본기업은 소니외 JVC 파나소닉과 함께 고화질 미디어및 기록장치로 상용화한다.
  4. NTSC는 항목을 보면 나오지만, 원래 있던 NBC의 회전원판식 컬러TV잘있던것을 2차대전의 연장인 한국전떔에 대역재배치하며 없어진후에 호환및 가격-_-, 그리고 종전후 포화상태인 아날로그 채널에서 기존라디오FM도 TV에 음성CH로 쓰면서, 컬러신호를 섞다보니 노이즈가 타서 PAL보다 성능이 깍이게 된것이다
  5. 달리면서 볼 수 있는
  6. 전국 동시가 아닌 수도권 및 일부 지방 거점부터 해당된다. 전국까지 확대될려면 2020년까지 걸릴것으로 보인다.
  7. 대한민국을 제외하면 전부 미국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