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opold von Ranke, 1795.12.21. ~ 1886.5.23
Wie es eigentlich gewesen[1]
1 개요
테오도르 몸젠과 더불어 독일이 세계에 자랑하는 역사학자. 19세기 실증주의 사관의 대표자로, 근대적인 의미의 역사학의 기초를 다진 인물이다.
2 생애
1795년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 가문에서 태어났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고전학을 전공한 이후 김나지움 교사로 근무하면서 틈틈이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연구 성과는 1824년 출판된 <라틴 및 게르만계 민족의 역사, 1494~1514>(Geschichte der romaenischen und germanschen Voelker von 1494 bis 1514)로 이어진다. 내용[2]보다도 서문의 '이 책은 있는 그대로의(Wie es eigentlich gewesen) 사실을 다루고자 했다.'라는 글귀가 역사학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고, 프로이센의 높으신 분까지도 이 책을 읽고 깊은 감동을 받으면서 랑케는 1825년 베를린 대학교 역사학과의 정교수로 발탁된다. 고등학교 선생님이 한 순간에 명문대학교 교수가 됐다. 역시 인생은 한 방
정치적으로 보수성향이었던 랑케는 이 시기 자유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3] 메테르니히를 비롯한 독일 연방 보수계의 거물들과 친분을 쌓았고 그렇다고 어용학자는 아니었으니 오해는 하지 말자. 이러한 친분은 이후 그의 연구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됐다. 특히 메테르니히는 그에게 베네치아의 문서보관소를 개봉해주는 파격적인 특혜를 주기도 했다. 다만 메테르니히와의 친분을 이용하여 교황령의 문서보관소까지 열람해 보려고 했지만 프로테스탄트였던지라 단박에 거절당했다. 그리고 이 때의 앙금이 남았는지, 나중에 종교개혁 시기 교황들의 행적을 다룬 저서에서 자신에게 보관소 열람을 거절한 교황청을 잘근잘근 씹어준다(...) 물론 교황청도 랑케의 책들이 안티크라이스트라고 맞받아쳤다.
이후로도 랑케는 유럽사에 대한 방대한 저서들을 저술했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1841년 호엔촐레른 왕실의 공식 역사가로 지명되는 한편 1865년에는 귀족 작위를 추서받아 성 앞에 Von을 붙이는 것이 허락된다. 70대 이후로는 점차 건강이 악화되서 급기야 한쪽 눈이 멀었지만 역사에 관한 그의 열정은 식지않았고, 85세였던 1880년에는 세계사 전체를 다루는 저서 집필에 착수한다. 하지만 이미 나이가 나이였던지라 집필 작업은 12세기 무렵까지를 다룬 6권 정도에서 중단되었고, 1886년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다.[4]
3 학문적 업적 및 여담
- 이냐시오 데 로욜라, 바오로 4세, 비오 5세가 중심이 된 16세기 가톨릭 교회의 일련의 개혁 시도를 역 종교개혁(Counter Reformation)이라는 명칭으로 부른 최초의 인물이다.
- 프리드리히 대제의 빠로도 유명했다. 호엔촐레른 왕실의 역사를 다룬 저서에서 '프로이센이 이 정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거는 순전히 프리드리히 대제뿐임 ㅋㅋ'라는 논조를 시전하기도 했다.
사실 아닌가?그래서인지 프로이센을 독일 연방의 지도적 위치에 놓인 국가로 묘사하는 대신 단순히 연방 구성국 중 하나로 묘사했고, 그래서 프로이센 사람들은 퍽 자존심이 상해버렸다고... - 처음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된 시절 게오르크 헤겔과 키배를 뜬 적이 있었다. 헤겔은 역사의 흐름성을 강조한 반면 랑케는 각 시대별 고유성을 강조하면서 벌어진 키배.
- 그 시대 역사학의 한계이겠지만, 철저히 정치사에만 관심이 있었다. 미시사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 사학계에서 각광받고 있는 경제사, 문화사 같은 분야에는 철저히 무관심으로 일관했다고.
- '과거사 반성을 통해 인간이 발전한다'라는 오늘날에는 당연히 여겨지는 통념도 거부했다. 그 이유로 실증주의라는 그의 학문관 외에도 종교적 배경을 들 수 있는데, 랑케는 목사 가문에서 태어난 독실한 기독교신자였고 그에게 최고존엄은 기독교와 하느님이었기 때문.
하느님이 알아서 판단할 것인데 어디서 건방지게 니가 판단을 해. 떼엑!
4 평가
현대 사학의 아버지
많은 역사학 연구법이 랑케에 의해서 고안됐다. 논문 인용법이나 저술방법부터 시작해서 1차 사료, 2차 사료의 구분이라는 개념도 랑케에 의해 도입된 것. 또한 역사가들에게 사건 자체에 대한 평가를 자제하고 있는 그대로만을 서술할 것을 주장한 실증사학역시 20세기 초반까지 전세계 역사학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5]
하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영국의 에드워드 카의 주도 하에 단순한 전달자가 아닌 해석자로서 역사학자의 역할이 강조되는게 학계의 주류인지라 오늘날 실증주의 사학관 자체는 구시대적인 것으로 치부되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