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지

1 종이

Roll Paper라는 사전적 의미로 쓰이는 종이의 일종으로, 가운데가 비어 있는 두꺼운 종이 및 플라스틱 원통에 긴 종이를 말아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장지나 영수증을 발행하는 용지, 혹은 포장지 등이 있다.

서울 지하철 및 광역 철도에서는 교통 카드로 전면 대체된 2009년 이전까지 승차권을 사용했는데, 이 때 승차권은 롤지 모양으로 만들어져서 일정한 크기로 잘라져 나오면서 발행되었다. 참고로 만일 수동식 승차권 발매기에 남은 롤지가 없을 경우 "롤지 없음" 경고등이 켜지고, 자동 발매기의 경우는 "발매중지" 경고등이 켜짐으로써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서울 지하철 마그네틱 승차권의 원조인 파리 지하철RER에서는 여태껏 쓰고 있다.

2 행선지 등을 표시하는 종이

1980년대 극후반 이전에 열차의 행선지를 알리는데 유일한 수단.

위아래로 종이가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롤지라고 한다.(또는 롤처럼 종이가 말려있다 하여.)

width=100%
위 열차처럼 보통 롤지의 바탕은 하얀색이며, 회송과 시운전은 빨간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롤지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운전실에서 특수 코드를 맞추면 마치 자기가 해당 코드를 찾듯이 위아래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다 찾아내면 자동으로 멈춘다.[1] 이 특수 코드는 현재 밝혀진 것은 없다는 것이 의문이다. 여기 4호선의 것이 자세히 나온다.

국내에선 우진산전이 제작했으나, 지금도 만들 수 있으면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물론 구매하는 곳은 없다 단가는 롤지에 들어가는 행선지 종이까지 포함해서 20만원선이다.20만원만 있으면 가질 수 있다?

밤에는 롤지에 램프를 비춰서 밝히며, 이 램프가 전기를 많이 잡아먹기로 소문나서, 대다수의 회사들이 LED로 갈아타는데에 일약 공헌을 하게 되었다. 그 누구도 램프를 LED 램프로 교체할 생각은 안 해봤나보다[2] 이 영향으로 코레일의 모든 전동차들은 롤지에서 LED로 갈아타게 되었다.

외국에서(특히 일본)은 최신형 열차들은 거의 LED로 나오고 있으며,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열차들을 모두 LED로 갈아타는 등의 뻘짓은 하지 않았다.(물론, 일부 사철이나 일부 열차등은 개조를 당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두 당한것도 아니다.) 또한, 각 사철 회사들이 철도 동호인들을 노려, 롤지 개조하고 남은 롤지 종이를 1000엔이나 1200엔 수준에서 팔아먹고있다. 버스도 롤지로 행선지를 표기한다. (한국은 명패 갈아끼우기)

반면 코레일의 경우, 2004~5년에 코레일의 열차들이 대거 LED로 개조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 개조하고 남아돌던 롤지들을 모두 기지안에서 태우고 있었고, 당시 기지를 견학하던 철도 동호인들은 롤지를 거저로 받아갔다고 한다.(...) 아니 폐휴지도 아니고 그걸 왜 태워 국가기밀이라면 모를까 한국에서 당시 철도 동호인 문화가 정착은 했으나 활동을 시작할 시기인 탓에, 철도 동호인 입장에서 보면, 가히 지못미 수준이었다. 차라리 국내에서도 철도 동호인에게 롤지를 팔았으면, 코레일이 그나마 푼돈이라도 벌었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 대목. 당연히 신규 도입 전동차는 예외없이 LED를 기본 사양으로 장착한다.

한편, 코레일은 모두 LED로 갈아치웠지만, 서울메트로의 경우에는 일부만 롤지 개조를 하였으며, 나머지 열차들은 모두 온전하다. 하지만 1호선에서 롤지를 사용하는 차량은 서동탄역이 개통되어 연장 운행하면서 앞뒤의 롤지에 서동탄을 추가하였으나, 옆면을 아예 서울메트로 로고가 새겨진 스티커를 붙임으로써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지못미경부선, 경원선, 경인선스크린도어 없는역도 있는데.. 물론 서울메트로도 98년도 1호선 인버터 전동차를 시작으로, 새로 도입되는 전동차들은 예외없이 LED를 기본 사양으로 장착하고 나온다.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경우는 아예 처음부터 롤지가 아닌 LED를 사용했다. 그리고 2015년 초 얘들도 막히고 자사의 로고가 박힌 스티커로 대체되었다. 전후면에만 LED가 남아있다.

다만 2호선 미개조 초퍼, 4호선 서울메트로차는 아직도 롤지를 사용한다. 1호선 S차량 중 개조저항이 최근까지 유일하게 롤지를 사용해 왔었으나... 대수선으로 인해 LED로 전부 교체되서 이제는 1호선에서는 롤지가 전멸되어 사진으로 밖에 볼수 없게 되었다. 4호선에서 장수만세

부산 도시철도는 1호선 열차에만 롤지를 사용했고 2호선부터는 도입당시부터 LED를 이용했는데, 2004~2005년경 1호선 열차의 내장재를 불연재로 교체하면서 전 차량 롤지에서 LED로 개조했다. 대구 지하철이나 그 이후의 신규 도입 차량들은 들여올때부터 LED였다.

  1. 예시.
  2. 농담으로 쓴 말이지만, 이는 딱히 좋은 방법이 아니다. 일단 LED가 램프 역할을 하려면 매우 많은 LED가 필요한데, LED 가격이야 워낙 싸니 별 문제가 아니지만 그 많은 LED를 다 밝히느니 글자 부분만 밝히는 LED 패널쪽이 전기를 훨씬 덜 먹는다. 정 궁금하면 똑같은 갤럭시 S7을 두고 한쪽은 하얀 화면을, 다른 한 쪽은 나무위키 어두운 화면을 띄워보자. 당연히 흰 화면 쪽이 훨씬 빨리 닳는다. 그렇다고 형광등은 어떠냐면 수명이 짧다. 결국 LED 패널이 제일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