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erse Gravity.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중력을 역전시키는 주문이다. 번역시에는 주로 중력 역전, 역중력 등으로 번역된다.
1 D&D 클래식
매지션(매직유저) 7레벨 주문
역중력(Reverse Gravity)
유효 거리 : 27m
지속 시간 : 1/5라운드(2초)
효과 : 정방 9m 부피 안의 대상을 들어올린다.
이 마법은 정방 9m×9m×9m안의 모든 생물과 물건에 효력을 미쳐, 정상적인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떨어진다. 2초동안에, 모든 생물과 물건은 최대 32m[1]까지 떨어질 수 있다. 내성굴림은 하지 않고, 칸막이나 다른 장해물이 있다면 3m 떨어질 때마다 1d6의 피해를 받는다. 2초가 지난 후에 중력은 원래대로 돌아오고 모든 사람은 원 위치로 돌아오지만 추락 피해를 받는다. DM은 이 마법에 당한 각 NPC의 사기 체크를 한다.
예 : 마법사는 12m높이의 방에서 접근하는 거인 무리에게 이 마법을 썼다. 거인들은 천장에 떨어졌다가 다시 바닥으로 떨어져 총 8d6의 피해를 받았다. 4d6은 천장에 부딪칠 때이고 다른 4d6은 바닥에 다시 떨어졌을 때이다.
이 시기의 리버스 그래비티는 주문이면서도 특이하게 무속성 피해[2]를 준다는 것 이외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었다. 굳이 장점이라면 사기를 악화시키는 효과 정도.
2 AD&D
AD&D 2nd 기준으로, 위저드 7레벨 주문. 30 ft. x 30 ft. 범위가 중력이 역전돼서, 이 안에 있는 것들은 지속시간 레벨 당 1라운드 동안 위로 추락한다.
리버스 그래비티가 가장 위엄쩔던 시절이 바로 AD&D 2nd때. 왜냐면, 중력 역전 범위에 높이 제한이 없었기 때문이다. 주문 범위 상공 수천 피트 위에서도 중력 역전에 영향을 받으며, 대상은 지속시간 내내 계속 추락한다. 게다가 내성굴림이 없다.
AD&D 플레이어 핸드북에는 단순히 추락한다고만 해놔서 그 위력이 감이 잡히지 않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메타게임적 계산을 해보자.
일단 캐릭터가 추락시 가속도는 초속 32피트(초속 9.8m). 초 당 추락 거리는 해당 초의 추락 시작 단계 속도와 초 마지막 속도의 평균값이므로, 첫 1초에는 16피트 이동, 2초에는 48피트, 그리고 3초째에 80피트, 4초째에 112피트, 5초째에 144피트, 6초재에 176피트. 6초 만에 총합 576피트 추락이다. 다만 인체의 종단 속도는 시속 120마일 정도, 또는 초속 200피트 정도이다. 7초 쯤에 아마 인체는 종단속도에 도달할 것이다. 이후로는 초 당 200피트씩만 더해나가면 된다.
문제는, AD&D 2nd에서 1 전투 라운드는 1분이라는 것. 그리고 리버스 그래비티의 지속시간은 1라운드/레벨이다.
초속 200피트 속력으로 1분이면 대략 12,000피트. 20레벨 위저드가 20분 동안 추락시키면 그 몬스터는 아마 상공 240,000피트(대략 73km)에 도달해있을 것이다. 참고로 지구의 대기권은 상공 18km, 성층권은 50km, 중간권은 80km. 성층권 돌파(...)
대체 뭐가 이 높이에서 추락하고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D&D에서는 10피트 추락마다 1d6 피해를 입힌다. 하지만 종단속도나 기타 요소를 고려해서, 추락에 의한 게임적 최대 피해는 20d6으로 간주하고 있다. 고로 추락이 큰 피해이기는 하나, 설령 무제한으로 추락한다 해도 고레벨 마법을 넘는 피해를 입히기는 어렵다. 어허! 다행이다!
AD&D DMG에서는 종단 속도 덕분에 33,330 피트 상공에서 추락하고도 심하게 부상입었지만 생존한 케이스나, 18,000피트에서 낙하산 없이 추락하고도 심한 부상 없이 살아남은 실제 사례를 예로 들어보이면서 이 추락 피해에 너무 연연하지 말라는 언급을 남기고 있다.
이것은 AD&D 2nd의 라운드 시간 개념이 좀 말도 안되는 탓에 생긴 아이러니다.[3] AD&D 1st때만 해도 지속시간이 1 세그먼트(6초)로 고정돼 있어서 이렇게 막장은 아니었는데 말이다.
하여튼, 어마어마한 시간 동안 적을 전장에서 몰아내고, 일정 범위를 접근 불가 영역으로 만들며, 내성도 불가능하기에 굉장히 강력한 효과가 있었다. 메타게임적으로 따지기 시작하면 좀 말도 안 되는 강력한 주문.
다행히 3판에서는 이것이 바로잡힌다.
3 D&D 3.5
지속시간은 캐스터 레벨당 1라운드, 사정거리는 중거리(100피트+캐스터 레벨당 10피트). 효력 범위는 10 세제곱피트의 큐브 형태를 2 캐스터 레벨 당 하나씩 받는다. 이 효력 범위의 형상은 주문 사용자가 자유롭게 지정 가능하다. 즉 20레벨 캐스터는 10 세제곱피트 큐브 10개를 받으며, 이것을 가로로 벽처럼 늘어놓거나 수직으로 쌓아놓을 수도 있다.
주문 영역 내에서는 고정되지 않은 사물과 대상은 모두 1라운드 이내에 효력 범위 가장 위쪽으로 추락해서 효력 범위 제일 위쪽 공간에 지속시간 동안 머무른다. 그리고 지속시간이 끝나면 다시 지면으로 추락한다.
위로 올라가는 와중에 천장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거기 부딪히며 추락 피해를 입고, 지속시간이 끝나고 다시 추락하면서 또다시 추락 피해를 입는다. 만약 위쪽에 천장이 없다면, AD&D와는 달리 주문 효력 범위 위쪽에서 둥실둥실 뜬 채로 유지된다.
때문에 지속시간이 길더라도, 위를 향해 밑도끝도없이 추락할 수는 없다. 그리고 대상이 떠 있는 높이는, 캐스터가 설정한 효력 범위 큐브를 어떻게 쌓아올리느냐에 따라 다르다. 그냥 나란히 벽처럼 늘어놨으면 10피트 높이에 떠 있겠지만, 큐브를 수직으로 10개 쌓았다면 100피트 높이에 떠 있게 되는 셈.
3판의 리버스 그래비티는 높이 제한이 약해졌다보니 피해 자체는 얼마 되지 않는다.[4] 고로 3판 리버스 그래비티의 존재 의의는 단순히 추락 피해를 입히는 주문이 아니라 전장 일정 범위를 제어하는 환경 제어용 주문으로 생각해야 한다. 주문 범위를 일정 시간 동안 계속 띄워놓는 점 때문에, 범위를 잘 조절하면 기사단의 돌격도 단숨에 훼방놓을 수 있다. 더군다나 3판 리버스 그래비티 역시 내성굴림도, 주문 저항도 없어 회피하기 까다로운 편이다.
다만 3판에서는 주문 영역 내의 대상에게 붙잡을 수 있는 고정된 물체(지면에 깊히 뿌리박힌 나무 따위)가 있다면 반사 내성을 통해 이것을 붙잡아서 추락을 피할 수는 있다. 이것은 주문 자체에 대한 저항은 아니다. 또한 부유나 비행 능력을 갖춘 대상은 중력이 역전되어도 대응할 수 있으므로 효력이 없다. 텔레포트 계열 주문으로 범위를 빠져나가도 된다.
리버스 그래비티에 의한 주문 효과이기는 하나, 추락 자체는 평범하게 일반 추락 효과와 같게 치므로, 손이 닿는 거리에 벽이 있다면 레벨당 일정거리만큼 추락 피해를 무효화하는 '경신법' 능력을 지닌 몽크라면, 벽 근처에서 추락하게 되었다면 이 피해를 줄이거나 무효화할 수도 있다.
4 네일드 투 더 스카이
리버스 그래비티의 에픽 강화판같은 에픽 주문.
5 기타 미디어
캡콤의 던전 앤 드래곤(게임)에서는 마법사의 마법으로 나왔다. 역시나 중력을 역전시켜 적들을 띄워올린후에 다시 바닥에 쳐박는다.[5] 성능은 그럭저럭. [6][7] 그런데 피해 판정 시기가 추락해서 지면과 충돌하는 시점이 아니라 주문이 성공해서 날아올라가는 순간이라는 게 묘하게 웃긴 점이다. 그래서 리버스 그래비티로 적을 죽이는 모습은 떨어뜨려 죽이는 게 아니고, 그냥 마법진에서 쏘아올린 광선을 맞아 죽는 듯 보인다. 게다가 멀쩡히 하늘을 날수 있는 하피한테도 먹힌다(...). 중력이 반전되면 날아서(이 경우 바닥을 향해 날아가는 희한한 모습이 되겠지만) 안올라가질수 있고, 설사 올라가진다 한들 반전이 풀리면 날아서 추락데미지를 안입을게 뻔한데도 그냥 떨어져서 다 맞아준다. 뭐야 이거...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최종보스의 능력이었던 C-MOON도 이와 비슷한 구조의 기술. 정확히는 자신의 몸을 기준으로 주변의 중력을 반전 시키는 것.
국내 MMORPG게임 마비노기 영웅전의 플레이어블 케릭터 이비도 광역 공격기 겸 딜타임용 보스 붙잡기 스킬로 중력 역전을 구사한다.
1세대 판타지 소설 드래곤 라자의 극초반부에 타이번이 헬턴트 영지에 쳐들어온 트롤들을 리버스 그래비티로 끝도 없이 띄워올린 후 그대로 낙하시켜 산산조각 터뜨려죽이는 장면이 나온다. 드래곤 라자는 AD&D 기반이고, 타이번은 전성기에는 12마리의 드래곤과 싸워서 그 이빨을 얻어낼 정도의 승리를 거두고, 발러를 굴복시켜 계약을 맺었을 정도로 강력한 마법사다. 아마 위저드 레벨이 에픽 레벨에 이를 것이 분명하므로 트롤이 단번에 터져죽을 정도의 높이까지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드래곤 라자 세계관 최초로 우주관광한 트럴 타이번의 경우에는 장님인데다 경비대와 트롤이 뒤엉켜서 싸우고있는 상황이라서 리버스 그래비티같은 광역 마법이 아니면 공격 효율을 기대하기가 힘들어 리버스 그래비티를 썼겠지만, 솔직히 트롤에게 쓰기는 좀 아까운 주문이다.
- ↑ 단, 이것은 클래식 국문판의 오타로 보인다. 룰즈 사이클로페디아 기준으로 65피트 추락, 미터법으로는 약 20m 추락이다.
- ↑ 대부분의 주문은 기본적인 불, 냉기, 전격, 산에, 클레릭의 커즈/인플릭트 운즈의 음기 피해 등 속성이 있어서 해당 속성에 저항성/면역성을 가진 생물은 주문 피해를 덜 받거나 아예 안 받을 수 있는데, 리버스 그래비티는 주문 자체가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주문 자체는 중력을 역전시켜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들을 띄울 뿐이고, 피해는 띄워졌다가 낙하하면서 받는 추가적인 추락 피해이기 때문에 내성이 불가능하다.
- ↑ 보통 1라운드 당 1회 공격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AD&D 2nd 전투가 1분에 한 방 때리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말도 안 된다. 1분 동안 열심히 공격하고 상대의 빈틈을 노려서 유효타를 계산한다고 해설하기도 하지만, 실제 전투란게 얼마나 치열한지를 생각하면 영...
- ↑ 사실, 3판의 1라운드는 6초이므로, 설령 AD&D처럼 무제한으로 추락하더라도 대체로 라운드 당 1,200피트 추락한다고 단순 계산하면 된다. 만약 리버스 그래비티로 20라운드 동안 계속 추락할 수 있다면, 그 캐릭터는 아마 상공 23,300피트(7,100미터 가량)가 한계일 것이다.
이것도 별로 안심되는 수치는 아니지만 - ↑ 이 연출 때문에 초딩들은 이 마법을 '엘리베이터' 라고 불렀다.
- ↑ 웃기는 것은 같은 드래곤인데 중간에 나오는 레드 드래곤은 이 마법의 피해를 받지 않는데... 최종 보스인 신은 피해를 받는다는 것이다... 뭐야 이거
- ↑ 가고일 한정으로 즉사 마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