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여인

이문열의 장편소설
사람의 아들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젊은 날의 초상
황제를 위하여대륙의 한영웅시대
레테의 연가미로의 날들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시인변경
오디세이아 서울선택아가
호모 엑세쿠탄스불멸리투아니아 여인
제목리투아니아 여인
작가이문열
장르장편소설
발표중앙일보 2010.7.10 (연재 시작)
중앙일보 2011.4.23 (연재 종료)
출간리투아니아 여인 (민음사, 2011)
제15회 동리문학상 수상작
최인호
(2011)
이문열
리투아니아 여인
(2012)
강석경
(2013)

이문열의 장편소설.

중앙일보에서 연재를 마친 뒤에 출간된 작품. 리투아니아계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여성 예술가의 삶을 그렸다. 모델은 음악감독 박칼린. 이문열이 극본을 쓴 뮤지컬 '명성황후'(박칼린이 그 뮤지컬의 음악감독을 맡았다)의 해외공연길에 동행하면서 알게 된 박칼린에게서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 후 쓰게 된 소설.

작품 자체는 90년대에 이미 쓰일 계획이 잡혔지만 본격적으로 집필이 시작되었을 때 박칼린이 매스컴을 타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서, 이문열은 시류에 편승해 쓰인 소설로 보이길 원하지 않았는지 중앙일보에서 연재를 끝마친 뒤에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에 책으로 엮어내었고, 한 인터뷰에서는 박칼린의 이름을 지면에 노출시키지 말아달라고 기자에게 당부한 일도 있었다. 이문열은 이 작품이 <시인>이나 <금시조>를 쓰던 비교적 초창기의 작품 세계로 회귀하여 쓰인 작품이라고 자평했고, 독자층에서도 이에 부응했는지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하지만 작품 말미에 주인공 여성 예술가가 진보진영의 악의에 찬 인신공격을 당해 좌절하는 내용이 나오는 점을 들어서 이념성의 흔적이 그대로 살아있다는 견해도 있다. 참고로 실제 박칼린에 대한 비판은 박칼린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본인이 자초한 것이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