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작/점수 계산

< 마작

상위항목: 마작

1 MCR (국표마작)

'점(点)'을 기본단위로 사용한다.

우선, 역이 완성되면 먼쯔들과 뚜이쯔 등을 구분하고, 그에 따라 각 역의 점수를 매긴다.
이 때, 화패를 제외한 점수가 8점 이상이 되지 못하면 '충화'로 처리되어 오히려 벌금을 내야 하니 주의.

화패까지 포함한 점수를 계산하면, 패를 쯔모해서 후(湖)했느냐, 다른 사람의 버림패로 후했느냐에 따라 지불방식이 달라지지만,기본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났든 간에 후한 사람은 다른 세 사람에게 각각 8점씩 받는다. 이는 무조건적이다.

  • 쯔모한 패로 후한 경우
우선, 위에서 말한대로 각 세 사람에게 8점을 받고, 별도로 각각 그 역의 점수만큼도 받는다.
  • 다른 사람의 버림패로 후한 경우
역시, 세 사람에게 8점씩 받지만, 오직 쏘인 사람만이 그 역의 점수만큼 지불해야 한다.

즉, 다시말해서 같은 점수로 나도 쏘는 것보단 쯔모로 나는게 무조건 점수에서 이득을 본다는 것이다.

2 리치마작

리치마작의 점수계산은 기본적으로 부·판계산법이며 이를 간략화한 판수계산법, 막장화한 아오텐조(靑天井, 청천정) 계산법이 있다.

2.1 판수계산법

(飜 : fan, 판, 한, ファン, ハン)

부수의 개념이 없이 오로지 족보의 '판수'만 따져서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
복잡하기 짝이 없는 부판계산법에 비해 굉장히 간단하다.

점수 계산을 위해서는 완성된 역이 포함하는 모든 판수를 더한다. 예를 들어 '리치 단요 평화 멘젠쯔모'의 경우는 1판 역이 네 개이므로 4판이 된다.

소삼원의 경우에는 소삼원 자체가 2판이고 거기에 포함된 삼원패 커쯔가 두 개 있으므로 중복하여 4판이 된다.
양배구(량페코)는 그냥 3판이다.

이제 이 판수와 난 사람이 부모(선)인지 자(子)인지 여부에 따라 받는 점수가 결정된다.
(부·판 계산법 기준으로 볼 때 부수는 30부 고정으로, 절상만관이 적용된다. 괄호 안은 쯔모로 났을 때의 점수.)

판수자의 득점선의 득점
1판1000점 (300/500)1500점 (500 ALL)
2판2000점 (500/1000)3000점 (1000 ALL)
3판[1]3900점 (1000/2000)5800점 (2000 ALL)
4, 5판8000점 (2000/4000)12000점 (4000 ALL)
6, 7판12000점 (3000/6000)18000점 (6000 ALL)
8, 9, 10판16000점 (4000/8000)24000점 (8000 ALL)
11, 12판24000점 (6000/12000)36000점 (12000 ALL)
13판이상 (헤아림 역만)32000점 (8000/16000)48000점 (16000 ALL)

론으로 나느냐, 쯔모로 나느냐에 따라 점수를 받는 방식이 달라지는데, 론으로 나면 쏘인 플레이어 한 명이 점수를 모두 지불한다. 선이 아닌 사람이 쯔모로 나면 해당 점수의 절반은 부모에게서 받고, 나머지 절반은 子 두 명에게서 각각 반씩 받아낸다. 선이 쯔모로 난 경우엔 자 3명에게서 각각 1/3씩 받아낸다.

2.2 부·판계산법

리치마작 점수계산의 표준이다(위에 나온 '판'으로만 계산하는 방식은 이 방법을 간략화한 방법임). 판수에다 부수까지 계산해야 되니 판수계산법에 비해 까다롭고 복잡하다.

2.2.1 부수

  1. 부저 : 20부 (언제나 들어가는 기본 부수)
  2. 특수한 경우[2]
    • 핑후 + 멘젠쯔모 : 20부
    • 칠대자(치또이츠) : 25부
  3. 화료하는 방법에 따른 부수
    • 멘젠 론 : +10부
    • 쯔모 : +2부 [3]
  4. 대기(마치) 형태에 따른 부수
    • 양면, 샤보 : +0부
    • 변짱, 간짱, 단기 : +2부

자신의 오름패가 여러 대기 타입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 점수가 높은 쪽으로 취급한다. 2부보다는 1판이 훨씬 세다!

  1. 뚜이쯔 종류에 따른 부수
    • 수패, 객풍패 : +0부
    • 자풍패, 장풍패, 삼원패 : +2부
    • 연풍패(롄펑파이) : +4부

커쯔로 만들면 1판이 되는 뚜이쯔는 2부로 계산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연풍패 커쯔는 2판이니 연풍패 뚜이쯔는 4부.

  1. 먼쯔 종류에 따른 부수
    • 슌쯔 : 0부
    • 중장패 : 밍커 2부, 안커 4부, 밍깡 8부, 안깡 16부
    • 야오주패 : 밍커 4부, 안커 8부, 밍깡 16부, 안깡 32부 [4]

이제 이 부수의 총합이 1의 자리가 0이면 그대로 두고, 0이 아니라면 무조건 올림한다. 20부는 20부지만 22부는 30부이다.
만관이 되지 않으면서 가능한 최대 부수는 110부이다. [5]

2.2.2 본격적인 계산

이제 부수와 판수를 조합해 점수를 계산하면 되는데 점수표를 보고 외워도 좋고, 아니면 프린트해서 계산할 때마다 보고 해도 상관없다(점수표는 아래쪽에 있음).

같은 부수·판수라도 부모일 때와 자일 때 점수를 얻고 잃는게 다르며 이것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한다.

만관(3판 70부 이상, 4판 40부 이상, 5판), 하네만(6·7판), 배만(8·9·10판), 삼배만(11·12판), 헤아림 역만(13판 이상)

5판 이상인 경우엔 부수를 계산할 필요가 없이 해당하는 점수를 받으면 된다.
만관은 점수가 정해져 있지만(자 8000/부모 12000), 3판이나 4판일 땐 부수를 고려해야 한다.
만관보다 낮은 점수는 항상 부수·판수를 모두 고려한다.

'헤아림 역만'은 특정한 '역만 역'으로 화료한 것과 같은 점수이다. 역만에 대해선 마작의 역/역만을 참조.

같은 부수·판수라도 자(子)일 때와 부모일 때 받는 점수가 다르며, 부모일 때는 자일 때의 (약) 1.5배를 받는다.
만관을 예로 들면 자일 때는 8000, 부모일 때는 8000*1.5 = 12000.

그리고 연짱으로 인해 장봉이 존재할 경우 장봉 1개당 300점의 화료점이 가산된다. 예를 들자면 0본장(렌쨩이 이뤄지지 않은 장)에서 선이 만관 쯔모했을 경우 위와 같이 4000all(=12000)이지만, 1본장[6]에서 선이 만관 쯔모했을 경우 4100all(12300)이 된다. 만관을 론 했을 때도 12300. 이렇게 2본장, 3본장…으로 갈수록 늘어나며, 자에게도 적용된다(똑같이 +300).
장봉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룰도 있지만 일반적이진 않다. 또한 장봉 1개당 1500점으로 하는 룰도 있다.

부모일 때 받는 점수는 자일 때 받는 점수의 1.5배. 다른 플레이어가 쯔모한 경우 부모가 잃는 점수는 자의 두 배. 이건 모든 점수계산에 통용되는 것이므로 기억해두자.

  1. 간혹 4000점 / 6000점으로 처리하는 곳도 있다.
  2. 얘네는 고정 부수이며, 3번 이후의 내용은 계산하지 않는다.
  3. 멘젠 여부와 상관없음.
  4. 요구패 안깡은 만관 미만에서는 거의 1판으로 쳐도 무방할 정도로 부수를 퍼준다!
  5. 요구패 안깡 2개 + 요구패 밍깡 1개 + 슌쯔 1개 + 연풍패 단기 쯔모시 20+64+16+0+4+2+2=108, 올림해서 2판(산깡쯔) 110부가 한계이다. 물론 몸통에 역패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2판 110부는 겨우(?) 7100점에 불과하다...
  6. 유국으로 선이 넘어가거나 선이 연장을 했을 경우 증가.

2.2.3 부수로부터의 점수 계산

1판, 2판, 60부 이하의 3판, 30부 이하의 4판인 경우 이 계산법을 따른다.

(부수)*{2^(판수+2)}

가 기본점수가 되며 실제 받는 점수는 여기에 타챠와의 부모-자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X를 곱한 다음 10의 자리에서 올림한 것이 점수가 된다.

((부수)*{2^(판수+2)})*(X+X+X), 10의 자리에서 올림

X는 '부모:자'일 경우 각 2, '자:자'는 각 1이며 X끼리 먼저 더한 다음 기본점수에 곱한다.

자 30부 1판 론: 30*(2^3)*(2+1+1) = 960 → 1000
자신이 자이고 타가는 부모 한 명, 자 두 명이므로 X = (2+1+1)
자 30부 1판 쯔모 :
자에게서 받는 점수 : 30*(2^3)*(1) = 240 → 300 (자 두 명에게서 각 300점씩 받는다.)
부모에게서 받는 점수 : 30*(2^3)*(2) = 480 → 500

부모 30부 1판 론: 30*(2^3)*(2+2+2) = 1440 → 1500
부모 30부 1판 쯔모 : 30*(2^3)*(2) = 480 → 500all (모두에게서 500점씩 받는다.)

자 50부 3판 론 : 50*(2^5)*(2+1+1) = 6400
자 50부 3판 쯔모 :
자에게서 받는 점수 : 50*(2^5)*(1) = 1600 (자 두 명에게서 각 1600점씩 받는다.)
부모에게서 받는 점수 : 50*(2^5)*(2) = 3200

선 50부 3판 론 : 50*(2^5)*(2+2+2) = 9600
선 50부 3판 쯔모 : 50*(2^5)*(2) = 3200all

10의 자리에서 올림을 하게 되므로 같은 역인데도 론和와 쯔모和 각 경우 점수가 달라지거나, '부모일 때는 자일 때의 1.5배'가 맞지 않는 부분도 생긴다.

예를 들어
30부 1판(기본점수 : 240점)의 경우

부모인 상태에서 쯔모라면 세 대국자로부터 500(240*2=480을 올림)점씩을 받게 되어 총 1500점이고 론의 경우는 한 사람으로부터 1500(240*(2+2+2)=1440을 올림)점을 받는다.

하지만 자인 상태에서 쯔모라면 자에게서 300점씩, 선에게서 500점을 받게 되어 총1100점인데 비해 론의 경우는 한 사람으로부터 1000점(240*(2+1+1)=960을 올림)을 받게 되어 약간 차이가 난다.

그리고 판수가 올라감에 따라 점수가 배로 늘어나면서 기본점수가 2000점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부수를 따지지 않으며 위에서대로 판수로만 계산해 만관, 하네만, 배만, 삼배만…이 된다

2.2.4 부모(親, 오야, 선) 점수표

괄호 밖은 론으로 받는 점수, 괄호 안은 쯔모로 받는 점수(한 사람당)
25부는 '칠대자'일 때만 해당
절상 만관을 적용하는 경우 기울어진 숫자 부분도 만관으로 한다.

20부25부30부40부50부60부70부80부90부100부110부
1翻1000
(400)
-1500
(500)
2000
(700)
2400
(800)
2900
(1000)
3400
(1200)
3900
(1300)
4400
(1500)
4800
(1600)
5300
(-)
2翻2000
(700)
2400
(-)
2900
(1000)
3900
(1300)
4800
(1600)
5800
(2000)
6800
(2300)
7700
(2600)
8700
(2900)
9600
(3200)
10600
(3600)
3翻3900
(1300)
4800
(1600)
5800
(2000)
7700
(2600)
9600
(3200)
11600
(3900)
만관
12000
(4000)
4翻7700
(2600)
9600
(3200)
11600
(3900)
만관
12000
(4000)
5翻만관
12000
(4000)
6翻하네만
18000
(6000)
7翻
8翻배만
24000
(8000)
9翻
10翻
11翻삼배만
36000
(12000)
12翻
13翻
이상
헤아림 역만
48000
(16000)

2.2.5 子(자) 점수표

괄호 밖은 론으로 받는 점수, 괄호 안은 쯔모로 받는 점수(자/부모)
25부는 '칠대자'일 때만 해당
절상 만관을 적용하는 경우 기울어진 숫자 부분도 만관으로 한다.

20부25부30부40부50부60부70부80부90부100부110부
1翻700
(200,
400)
-1000
(300,
500)
1300
(400,
700)
1600
(400,
800)
2000
(500,
1000)
2300
(600,
1200)
2600
(700,
1300)
2900
(800,
1500)
3200
(800,
1600)
3600
(-)
2翻1300
(400,
700)
1600
(-)
2000
(500,
1000)
2600
(700,
1300)
3200
(800,
1600)
3900
(1000,
2000)
4500
(1200,
2300)
5200
(1300,
2600)
5800
(1500,
2900)
6400
(1600,
3200)
7100
(1800,
3600)
3翻2600
(700,
1300)
3200
(800,
1600)
3900
(1000,
2000)
5200
(1300,
2600)
6400
(1600,
3200)
7700
(2000,
3900)
만관
8000
(2000, 4000)
4翻5200
(1300,
2600)
6400
(1600,
3200)
7700
(2000,
3900)
만관
8000
(2000, 4000)
5翻만관
8000
(2000, 4000)
6翻하네만
12000
(3000, 6000)
7翻
8翻배만
16000
(4000, 8000)
9翻
10翻
11翻삼배만
24000
(6000, 12000)
12翻
13翻
이상
헤아림 역만
32000
(8000, 16000)

참고로 20부로 나는 경우는 평화역으로 쯔모화료했을 경우나 쿠이핑후 형태로 화료했을 경우이다.(핑후 형태이나 울어서 멘젠이 아닌 것)
20부 1판의 경우 쿠이핑후 형태를 20부 1판으로 인정하는 룰이라면 저 점수대로 처리되로 처리되며 쿠이핑후 형태를 30부로 처리하는 룰이라면 30부로 처리된다. 또 룰에 따라서 최소 점수를 1000점으로 여겨 화료를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반드시 룰을 확인하자.
마작 점수 비교적 간단하게 외우는 법. 점수 외우기가 힘들다면 한번쯤 보도록 하자.
주로 나오는 부수는 20부, 30부, 40부인데 이정도만 어느정도 알아둬도 빠른 계산이 가능하다. 우선 멘젠상태에서 핑후일때는 쯔모 20부, 론 30부이고, 핑후가 아닐때는 대부분 쯔모 30부, 론 40부이다. 멘젠이 깨진 상태라면 대부분 쯔모든 론이든 30부가 나온다. 물론 이는 확정적인 것이 아니기에 안커가 여러개 있거나 야오주패를 안커로 들고있거나 깡을 치거나 하면 정확히 계산하여야 한다.

2.2.5.1 일본에서 점수를 간략하게 부르는 방법
  • 1300점 - 이치산(イチサン; 13)
  • 1500점 - 이치고(イチゴ; 15)
  • 1600점 - 이치로쿠(イチロク; 16)
  • 2300점 - 니산(ニーサン; 23)
  • 2400점 - 니욘(ニーヨン; 24)
  • 2600점 - 니로쿠(ニーロク;26)
  • 2900점 - 닛쿠(ニック; 29)
  • 3200점 - 산니(ザンニ; 32)
  • 3400점 - 산욘(サンヨン; 34)
  • 3900점 - 잔쿠(ザンク; 39)
  • 4500점 - 욘고(ヨンゴー; 45)
  • 4800점 - 욘파(ヨンパー, 48)
  • 5200점 - 보니(ボーニー;52)
  • 5800점 - 곳파(ゴッパー; 58)
  • 6400점 - 로쿠욘(ロクヨン; 64)
  • 6800점 - 로쿠파(ロクパー; 68)
  • 7700점 - 칫치(チッチ; 77)
  • 9600점 - 쿤로쿠(クンロク; 96)
  • 11600점 - 핑핑로쿠(ピンピンロク; 116)

대부분의 경우가 일본어로 점수를 그대로 읽으면 음이 길어지기 때문에 십의 단위를 뺀 숫자만 읽은 것이다.

2.2.6 존재하지 않는 케이스

2.2.6.1 25부 2판 쯔모, 25부 1판

25부로 나는 경우는 치또이츠 뿐이며, 기본 2판이다. 여기에 쯔모를 하게 되면 멘젠쯔모로 한 판이 더 붙는다.

다만 동방환상마작동방환상마작 3rdGeneration에선 타가 화료시 강제로 2판 깎는 스킬이 존재하여 25부 1판도 목격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110부 1판 쯔모도 목격할 수 있다.

혹 어플에서는 親 400, 子 200/500로 계산한다 카더라.

2.2.6.2 110부 1판 쯔모, 120부 이상 2판 이하

간단하게 말하면, 멘젠론 이외에는 일어날 수 없는 케이스라서 그렇다.

이 110부 1판이라는 게 마작에서 정말 말도 안 되게 어려운 경우 중 한 가지인데, 그야말로 가능한 모든 부수를 끌어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110부 1판을 찍을 수 있는 케이스는 다음과 같다.

1) 2개의 야오주패 안깡, 이걸로 32 * 2 = 64부
2) 슌쯔는 반드시 한 개가 있어야 한다.
3) 연풍패와 다른 야오주패의 쌍봉 대기, 그것도 연풍패가 아닌 야오주패로 쏴야 한다. 이걸로 연풍패 +4부, 야오주패 밍커 +4부

파일:Attachment/1wan.gif 파일:Attachment/1wan.gif 파일:Attachment/ton.gif 파일:Attachment/ton.gif 파일:Attachment/4pin.gif 파일:Attachment/5pin.gif 파일:Attachment/6pin.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9pin.gif 파일:Attachment/9pin.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9sou.gif 파일:Attachment/9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동장 동가에서 리치, 이후 파일:Attachment/1wan.gif 론.

이렇게 되면 기본 20부 + 멘젠론 10부 + 야오주패 안깡 2개로 64부 + 야오주패 밍커 4부 + 연풍패 4부 = 102부, 올리면 110부가 된다. 이렇기 때문에 쯔모로는 절대 날 수 없고, 괄호가 빌 수밖에 없는 것. 또한 110부가 최대이므로 120부 이상 1판 역시 불가능하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상당히 많다.

  1. 야오주패 안깡이 아니면 한개당 16부씩 떨어진다. 하나가 야오주패 밍깡만 되어도 86부로 크게 떨어진다.
2. 멘젠 론이 아니면 10부가 떨어진다. 따라서 울 수도 없다.
3. 그렇다고 깡을 하나 더 치면 산깡쯔가 되어 판수가 2판 올라가 만관.
4. 전부 다 커쯔라면 돌돌이(2판)가 되므로 반드시 슌쯔가 하나 있어야 한다.
5. 그렇다고 123, 789의 슌쯔를 가지면 필연적으로 찬타(2판)가 된다.
6. 최소 2종류 이상의 수패를 준비할 것, 그렇지 않으면 혼일색(3판)이 되어 최소 만관이 된다.
7. 머리가 연풍패가 아니라면 부수가 최소 2부 깎이는데, 102부에서 조금이라도 깎이는 순간 100부가 되어 버린다.
8. 가능한 경우가 리치 1판 혹은 삼원패 1판 혹은 하이테이론 1판으로 날 수밖에 없다.
9. 삼원패 없이 리치를 했다면 야오주패가 먼저 버려지기를 기다려야 한다. 연풍패가 먼저 버려지면 놓치는 순간 후리텐이 되기 때문.
10. 일발로 쏘면 일발 1판이 붙어 2판이 된다. 일발에는 오히려 야오주패가 버려지지 않길 기대해야 한다.
11. 연풍패를 쏴서 밍커로 만들면 2판이 또 붙어 버린다. 기껏 하던 것까지 생각하면 만관.
12. 쯔모로 나면 쯔모(1판), 삼안커(2판)까지 붙어 또 만관이 된다.
13. 도라가 붙지 않도록 주의, 도라가 붙으면 최소 2판이 된다. 기껏 깡을 쳤는데 그게 깡도라인 경우는 그냥 포기하고 역만을 노리는 게 더 낫다. 기껏 리치 하나만으로 110부 1판 났다 싶었는데 뒷도라가 붙으면 낭패.

안 그래도 70부 2판도 역만 이상으로 희귀(1000번에 1번 미만 꼴)인데, 110부 1판은 위의 조건들 때문에 천화 급의 운이 따라야만 한다. 여기에 쌍봉대기일 경우 오름패가 최대 4개 밖에 남지 않는데다 위험패가 될 게 빤히 보이므로 쏘기가 상당히 어렵다.
110부 1판은 사키 -Saki-의 나가노 현 결승 후반전 남 2국에서 나온 바 있다. 물론 현실의 예는 거의 없다.

파일:Attachment/ton.gif 파일:Attachment/4pin.gif 파일:Attachment/5pin.gif 파일:Attachment/6pin.gif 파일:Attachment/1wan.gif 파일:Attachment/1wan.gif 파일:Attachment/1wan.gif 파일:Attachment/1wany.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9pin.gif 파일:Attachment/9pin.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9sou.gif 파일:Attachment/9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동장 동가에서 파일:Attachment/ton.gif 쯔모

위의 쌍봉대기를 연풍 동의 단기와 1만 밍깡으로 바꾼 것. 이래도 기본 20부 + 야오주 안깡 2개 64부 + 야오주 밍깡 16부(여기서 삼깡쯔 확정) + 연풍패 4부 + 단기 2부 + 쯔모 2부로 108부 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어떻게 해도 2판 이내로는 110부가 한계.

2.3 아오텐조(靑天井, 청천정) 계산법

아오텐조의 핵심은 판수에 제한이 없으며 만관 이상에도 부판계산식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로컬룰이 난무하는 마작 특성상 그 이외의 룰은 정하기 나름이며, 애시당초 아오텐조 룰 자체가 정식 룰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마다 취급하는 방법이 다르다. 역만의 경우 13번으로 계산하는 케이스와 일괄 친 1500만 점 / 자 1000만 점으로 계산하는 케이스가 있으며, 전자의 경우 국사무쌍을 치토이츠에 준하여 13판 25부로 계산하는 케이스와 13판 30부로 계산하는 케이스가 있고, 완전 하위 역을 배제하는 경우와 완전 하위 역까지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한 룰이 있으니 결국 정하기 나름. 나코니코 대백과에 따르면 완전 하위역을 배제하는 경우는 해당 역을 화료하였을 경우 100% 성립할 수밖에 없는 역을 배제하는 것이다. 양배구 - 이배구의 관계나 사암각 - 삼암각의 경우, 혹은 청일색 - 혼일색의 경우가 그러하다. 다시 말해 위 역들은 서로 복합하지 않는다.

이 룰을 적용할 경우 4판 40부 이상의 경우에서 정상적인 게임이 불가능해질 정도로 점수가 높아지므로 일반적인 마작장에서는 채택하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자(子) 혼일색 중 도라 3이라는 평범한 패의 경우는 통상의 부판계산법이라면 12000점에 불과하겠지만, 아오텐조 룰에서는 30,800점이라는 역만에 준하는 점수를 얻는다. 이런 식으로 기본점수를 상회하는 점수들이 횡행하므로 정상적인 게임은 일단 불가능하고, 적어도 기본점수를 크게 늘리거나 토비 룰을 없애는 등의 조정이 필요하다.

파일:Attachment/2wan.gif 파일:Attachment/3wan.gif 파일:Attachment/4wan.gif 파일:Attachment/5wan.gif 파일:Attachment/5wan.gif 파일:Attachment/5wan.gif 파일:Attachment/6wan.gif파일:Attachment/2wany.gif 파일:Attachment/3wan.gif 파일:Attachment/4wan.gif파일:Attachment/chun.gif 파일:Attachment/chuny.gif 파일:Attachment/chun.gif파일:Attachment/7wan.gif
도라 파일:Attachment/chun.gif

이제 아오텐조가 어느 정도까지 가는지 예시를 보자.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2sou.gif 파일:Attachment/2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3sou.gif 파일:Attachment/3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6sou.gif 파일:Attachment/6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8sou.gif 파일:Attachment/8sou.gif 파일:Attachment/ura.gif 파일:Attachment/4sou.gif  대기패 파일:Attachment/4sou.gif
도라표시패  파일:Attachment/1sou.gif 파일:Attachment/1sou.gif 파일:Attachment/1sou.gif 파일:Attachment/1sou.gif 파일:Attachment/7sou.gif 우라도라표시패 파일:Attachment/5sou.gif 파일:Attachment/5sou.gif 파일:Attachment/5sou.gif 파일:Attachment/5sou.gif 파일:Attachment/7sou.gif

일반적인 부판계산법에서는 소위 6배 역만[1]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겠지만 아오텐조 룰에서는 6배 역만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위 패를 리치 일발쯔모, 쯔모패가 해저패였을 경우 103판 90부로[2] 219구 500양 2371자 9438해 405경 7863조 313억 8889만 7400점을 받게 된다. 역만에도 도라를 복합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가능한 것.

일본의 마작 스레에서는 '아오텐조에서 가능한 최고 점수가 몇 점이냐?' 라는 떡밥이 가끔씩 올라온다. 그러나 연장점수가 있으므로 의미가 없다는 얘기가 꼭 등장한다(...). 가령 연장점수 1500점인 룰에서 연장 1억 번을 하면 1500억점을 추가로 얻는다. 연장을 1억 번이나 하는게 말이 되느냐는 반론도 날아오는데 흔히 말하는 스캉츠 대삼원 도라20...부터 현실성이 없다. 그래서인지 '연장점수 없이 이야기하자!' 라는 단서가 붙는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보통 팔연장을 자주 언급한다는 것이 특징. 만약 위 패에 8연장이 복합되면 점수는 더욱 천정부지로 뛸 것이다. 참고로 동방환상마작에서는 8연장을 다른 역만과 복합시키지 않는다.

점수봉으로는 도저히 플레이가 불가능하고, 그냥 계산기와 종이를 가져다 두고 아오텐조 룰을 사용한다면 그나마 체험이라도 해 볼 수 있지만 일단 계산이 무척이나 귀찮아 현실적으로는 플레이하기 힘들다(...). 역전이 힘들어 부판계산법과는 전략이 전혀 다르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사실 역만 오른 후 굳히면 부판계산법에서도 역전이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건 똑같고(...). 전략이 달라지는 이유는 4판 50부부터 점수가 지수적으로 폭증하기 때문이다. 만관 미만 점수, 즉 일반적인 마작에서 사용되는 리탕핑 같은 것은 거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게임의 진행 자체가 판이해지는 것. 동풍전에서 아오텐조 하다가 한 명이 하네만이라도 나면-_-;

여담이지만 한국마작에서는 판수 무한이 있으니 아오텐조 따위는 아무것도 아니다. 칸토어적으로 놀아볼텨?[3]

2.3.1 매체에서의 모습

  • 동패 : 아오텐조의 점수계산이 너무 복잡하다는 이유로 부*판* 1만엔으로 계산, 도지마가 96부-45판으로 화료하여 4,320만엔이 되었다. 이때의 점수는 84,442,493,013,196,800(8경 4442조 4930억 1319만 6800). 스안커에 츠모와 산안커, 대대화까지 복합시키는 방식. 그러나 이런 식으로 복합된 점수를 빼도 충분히 사기적이다. [5]
  • 헛쯔모없는 개혁 : 고이즈미 준이치로블라디미르 푸틴과의 마작에서 이 룰을 채용, 천지창세 -비기닝 오브 더 코스모스- 라는 필살기를 쓰는데 실체는 백패 4번 깡+ 손패가 모두 백패백일색로, 무려 쓰깡쯔 13판 + 자일색 13판 + 삼안커 2판 + 영상개화 1판 + 백 4판 + 도라 72판 = 105판[6]라는 흠좀무한 수준의 역이다. 패가 전부 다 백패인건 굉맹패[7]라는 기술을 썼기 때문. 점수는 90,865,195,024,359,483,499,283,685,761,351,700(908구 6513양 5024자 3594해 8349경 9283조 6857억 6135만 1700) [8]
  • 도쿄 게임 : 근대마작에서 연재되는 SF 마작 만화(?!)인데, 주인공이 리치 해저 소삼원 혼로두 대대화 삼암각 삼깡츠 남 도라32, 378경 3023조 6869억 9121만 6600점으로 승리한다.
  1. 사암각 단기 + 스캉쯔 대사희 자일색 등등
  2. 녹일색13 + 스안커 단기26 + 스깡쯔13 + 청일색6 + 리치1 + 일발1 + 쯔모1 + 해저로월1 + 탕야오1 + 도라40.
  3. 판수 무한인 순정구련보등이 뜨면 게임이 끝나버린다.
  4. 화료한 사람만 점수가 올라가고 타가는 점수가 깎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론으로 2배 점수차를 극복하는 게 불가능하다.
  5. 이전 서술에 역만을 15판으로 계산했다는 언급이 있는데 일본에서는 흔히 방방이라 하여 기본번수 2번을 더한다. 따라서 역만은 원래 15번. 이것과 착각한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역만을 15번으로 계산한 것인지는 직접 작품을 본 사람이 수정해주길 바란다.
  6. 도라표시패 5개 중 4개가 중(하나는 1통), 깡을 4번 쳐서 총패 18매(16+손패2).
  7. 손가락으로 패를 갈아서 백패로 만든다
  8. 물론 굉맹패라는 사기를 치지 않으면 만들수 없는 역이다.

3 한국마작

기본적으로 판수계산법을 사용하며, 무조건 1판 당 1점. 그리고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기본족보의 판수(멘젠의 기본판수+족보의 기본판수+쓰무의 기본판수) + 부가족보의 판수 + 계산시 기본적으로 주는 판수
기본족보의 판수는 최소 2판부터 인정되는 것이 보통. 따라서 아무리 부가족보가 높다한들 기본족보 판수가 1판이면 날 수가 없다. 그리고 주어지는 판수는 무조건 다 계산해야한다.

계산할 시 기본적으로 주는 판수는 국표마장의 8점과 비슷하게 서비스 판수의 개념이며 마작을 하는 곳마다 다른데 대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멘젠쓰무멘젠쏘아멘젠 파손
그런 거 없다 0판
10판
10판5판
10판5판0판
10판5판1판
5판3판0판
4판2판0판

이처럼 구분이 다양하기 때문에 마작을 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주는 판수를 물어보고 해야한다.

친이 연짱(나가리 포함)하는 경우도 조금 다른데, 각자 연짱 판당 2~5판 정도만큼 공탁하고 나중에 멘젠쓰무로 난 사람이 가져가는 게 보통이다. 혹은 멘젠쏘아로 난 사람은 멘젠쓰무로 오른 사람보다 낮게 받을 수도 있다.(예: 5판/2판) 아니면 리치마작처럼 텐파이 상태가 아닌 사람만 공탁금을 내게 할 수도 있다. 역시 구분이 다양해서 미리 확인하고 하자.

점수지급법도 마찬가지로 다르다. 쓰무로 났는데 점수가 12판일 때, 타가에서 각각 12판을 가져온다. 총 36판을 얻게된다. 쏘아로 났는데 점수가 15판이면, 쏘인 타가에서 30판을 가져온다. 즉, 자기 점수에 2배를 가져오면 된다.

쉽게 설명하면 누군가가 X점으로 화료했을때,

  • 쓰무로 났으면 타가에서 각각 12판을 가져와 총 3X점을,
  • 쏘아로 났으면 쏘인 타가에서 2X점을 가져온다.

물론 예시는 위키에서 같은 곳에서 참고했을 뿐, 역의 판수까지 현실에서는 다 제각각이니...

파일:Attachment/ton.gif 파일:Attachment/nan.gif 파일:Attachment/nan.gif 파일:Attachment/sha.gif 파일:Attachment/sha.gif 파일:Attachment/pe.gif 파일:Attachment/pe.gif 파일:Attachment/haku.gif 파일:Attachment/haku.gif 파일:Attachment/hatsu.gif 파일:Attachment/hatsu.gif 파일:Attachment/chun.gif 파일:Attachment/chun.gif

오름패 : 파일:Attachment/ton.gif

만약 자기가 저런패를 가지고 엎어를 선언하고 쓰무로 올랐으며 기본제공하는 판수 중 멘젠쓰무가 10판일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및 점수를 지급하면 된다.
기본족보 판수(멘젠1판 + 쓰무 1판 + 칠대자 4판 + 자일색 12판) + 부가족보판수(엎어 1판 + 겐쇼 2판) + 기본지급판수(멘젠올라 10판) = 31판.

한국 마작은 점수의 상한 없이 모든 역의 판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치또이와 자일색이 같이 적용된다. 물론 무조건 순정구련보등은 그냥 콜드게임.

한국 마작에서는 보통 점수지불봉(점봉)이 아닌 칩이나 돈으로 대체한다. 그러니까 고스톱의 '점당 100원' 비슷하게 친다 보면 된다. 만약 점 1000원으로 하는 마작인 경우 저 상황에서는 오른 사람이 타가에서 각각 31,000원을 받아 총 93,000원을 받는다. 만약 쓰무가 아닌 쏘인경우는 쏘인 타가가 31,000원의 2배인 62,000원을 오른 사람에게 지급하면 된다. 그러나 사행성 문제와 자금 부담이 많아, 요즘은 돈을 걸지 않는 대신 점봉을 이용하는 경우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

4 기타

요즘은 온라인 마작이나 마작게임의 보급으로 굳이 자신이 계산할 필요가 줄고, 스마트폰의 보급과 부수 계산을 대신 해주는 앱의 등장 덕분에 부수를 안 외운 사람들이 많지만 오프라인에서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경우 이해는 해주지만 매너는 아니니 주의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