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멸종한 새
모아 | ||||
Moa | 이명 : 공조 | |||
Dinornithiformes Bonaparte, 1853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조강(Aves) | |||
목 | †모아목(Dinornithiformes) |
키위, 타조, 모아의 비교도
목이 길어 슬픈 짐승
20세기 초에 모아 사냥을 재연한 사진
조강 모아목(Dinornithiformes)에 속하는 날개가 없는 대형 조류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 모아란 단어는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이 부른 이름이다. 20여 종이 있었으나, 대형은 17세기 말에 멸종하였고 소형은 19세기까지 존재했었다. 대형은 크기가 발 끝에서 머리 끝까지 3.6 m나 되었다.
뉴질랜드의 대표 동물인 키위의 조상일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했었지만 현재 이 이론은 사장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더 이상 키위를 작은 모아나 그 후손으로 보지 않는다. 현재 키위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화식조와 코끼리새라고 한다.
코끼리새라고도 불리우는 아이피오르니스(Aepiornis)와 마찬가지로 날개가 완전히 퇴화하고 없다.[1]
1.1 멸종 이유
멸종의 주범은 유럽 이주민이 아니라 그보다 수백 년 전에 상륙한 마오리족으로 추정된다. 마오리족이 모아를 잡아먹은것도 있지만[2] 특히 마오리족이 뉴질랜드에 정착하면서 같이 들여보낸 돼지가 모아의 알을 깨먹었기 때문에 개체수가 급속히 줄었고 오래지 않아 사라졌던걸로 추정. 사실 모아라는 이름 자체가 마오리족의 전설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모아를 잡아먹은 흔적이 마오리족의 유적지에서 가끔 발견된다.
13세기 후반 마오리족이 처음 뉴질랜드에 발을 들인 이래 수세기가 지나면서 7종의 모아 아종이 절멸되었고 비교적 크기가 작고 오지에 서식하는 고원모아(Upland Moa, Megalapteryx didinus)만이 16세기까지 생존했으나 끝내 멸종되었다. 최소 16세기까지는 생존했었다는게 밝혀졌을뿐 정확한 멸종시기는 알려져 있지않다. 19세기 초까지 일부 개체가 살아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설은 있다.[3]
맨위 상단의 사진에서 모아를 덮치고 있는 거대한 맹금류는 하스트 독수리(Haast Eagle, Harpagornis moorei)라는 대형 수리로 강한 경쟁자가 없는 환경에서 모아를 주식으로 삼으며 번성했다가 마오리족에 의해 모아가 사라지고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16세기 초 멸종의 길을 걸었다. 모아가 사라진 직후에는 모아 대신 마오리족을 잡아먹기도 했다고 하며, 실제 마오리족의 전설에는 아이를 낚아채가는 거대한 독수리의 이야기가 나온다. 물론 백인들은 하스트 독수리의 화석이 정말로 발견되기 전에는 그게 다 마오리족의 뻥인줄 알았다.(…)
1.2 대중문화에서의 모아
- 대항해시대 2에서 작품 내 최상급인 ☆급 발견물 중 하나로 등장하며,[4] 뉴질랜드 북섬에서 발견할 수 있다. 희귀한 동물로 분류되며, 급이 높아서 다른 것들에 비해 상당한 투자가 필요.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생태조사 13랭크, 생물학 15랭크에 발견할 수 있는 조류 발견물이다.
- 선라이즈의 애니메이션 더 울트라맨에서는 인간들에게 살아남기 위해서 작은 개체로 진화한 것이, 실험의 결과로 거대화해 인간들을 습격하게 된다. 이때의 모아는 대충 16m의 울트라맨과 비슷한 체고를 가진 말 그대로 괴물.(…)
2 EVE 온라인의 크루저급 함선
파일:SbgWfNv.jpg
칼다리의 크루저급 함선이다. 이름의 어원은 1번 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