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신앙

1 개요

어머니(胎) 안, 다시 말해 뱃속에 있을 때부터 종교를 접해 신앙을 가지는 것. 자기 의지나 결정권과 무관하게 태어나면서부터 부모나 보호자에게서 전수받은 신앙을 가리킨다. 자매품으로 모태솔로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지식과 도덕의 이해, 깨달음이 주가되는 철학계 종교(예: 유교)보다는 인격의 숭배가 기본이 되는 신앙계 종교에서 나타난다.[1] 그리고 모태신앙이라 하면 모든 종교가 다 해당이 되나 주로 유일신교(특히 기독교)에서 모태신앙이라 많이 하며 타 종교들의 경우에는 모태신앙이라고는 잘 하지 않는다.

종교의 특성상 인간의 인격형성이나 경험, 지식의 축적 이전에 선입관을 주입, 형성시켜 두는 것이 교세확장에 유리하므로 은연중에 이런 모태신앙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다. 그 때문에 이런 모태신앙으로 종교생활을 시작했다는 것에 대한 일종의 부심형성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발견하기 힘들 만큼 극소수다. 물론 "나는 모태신앙이다" 의 정체성이 있긴 한데, 이게 당사자에겐 별로 자랑거리가 아닌지라[2] 자부심까진 못 느낀다. 애초에 내부에서부터 모태신앙들은 신앙생활을 뜨뜻미지근하게 한다고 디스당하는 게 일이라... 오죽하면 "못해 신앙", "못된 신앙" 이라는 멸칭까지 있겠는가.

기독교 기준으로, 모태신앙을 가진 신자들 거의 대부분은 유아세례[3]를 받았으며, 천주교의 경우 10살 전후로 첫 영성체를 했을 것이며, 부모로부터 성당에서의 복사 활동을 권유받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모태신앙이라고 해서 그런 신자들이 모두 신앙심이 강하다고 단정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부모 따라서 강한 신앙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가족이 자신에게 특정 종교의 신앙을 강요한다는 생각에 냉담자나 배교자의 길로 들어서는 경우도 있다. 결국은 케바케.

2 문제점

문제는 종교라는 것이 세습, 상속되는 신분이나 재산같은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상술했듯이 철학계 종교는 모태신앙을 인정하지 않는다. 깨달음으로 인한 인격의 도야, 자아성찰같은 것이 철학계 종교의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원래 처음 인간이 어떤 모습이었든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종교적으로 완성된 인간이라면 굳이 종교라는 것이 필요하겠는가?'라는 것이 이들의 중론.

아무리 어릴 때 부터 종교적으로 교육되어 온다 할지라도 종교 자체가 특정한 설명 없이는 난해하거나, 불완전하고 모순된 교리가 많으며, 이를 어느 정도 이해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지적성장이 필요하다. 단순히 종교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다고 해서 종교 자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보장은 없으며, 종교가 바라는 인간상이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오히려 십중팔구 종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관습적인 모습만을 몸으로 습득해서 의미도 모른 채로 표출하거나, 모든 관점을 일반적인 상식과는 좀 동떨어진 종교적인 관점을 기준으로 이해하려고 하게 되는 세속적으로 볼때 살짝 이상한형태가 된다.

또한 모태신앙이 신자간의 계급적 격차같은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도덕적 해이로 이어지기도 한다. 다시말해 정말 의미도 모르고 맹목적으로 '해왔으니 한다' 식의 종교관이 형성되거나, 거짓되거나 비뚤어진 형태의 믿음이나 숭배로 이루어진다는 것. 전자의 경우 시간, 세대가 좀 지나면 전통이나 관습 정도로 순화되기도 하지만 후자의 경우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거나 기반이 되는 종교 자체가 변질되어 전승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게다가 인간의 인격형성의 중간보스인 '사춘기'라는 과정이 있기에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절반 이상 떨어져나가 원래 부모가 원하던 종교상에서 반대되는 종교관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부모로부터 사탄 취급을 받는다 사춘기때의 인격형성과정이 꽤나 불안정한 관계로 이때 어릴때의 강제적 경험이 정신적인 아동학대로 받아들여지기도 하며 트라우마가 된다던가 하는 사례가 부지기수. 이런 점을 들어 '모태신앙'을 '못해 신앙'으로 비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심리적 악영향이나 종교적 의의때문에 종교인들 사이에서도 모태신앙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모태신앙을 부추기는 행위(유아축복, 유아캠프 등)가 이루어지는 목적은 단기적, 잠재적인 교인의 확보 및 그로 인한 수익, 교세, 전도수단이 확보된다는 점이다.

3 종교별 사례

한국 천주교주교 대부분은 모태신앙 출신이지만, 유수일 하비에르 현 군종교구장은 모태신앙이 아니다.

3.1 모태신앙을 인정하지 않는 종파

  • 침례교

3.2 모태신앙을 인정하는 종파

유아세례를 인정하는 대부분 종파들이다.

  • 천주교
  • 성공회
  • 장로교
  • 감리교
  • 구세군

4 관련항목

  1. 애초에 철학계 종교는 '신앙'이란 관념 자체가 희미하다.
  2. 단 일부 막장스런 교회에서는 목사 자녀, 장로 자녀, 집사 자녀 서열로 똥군기를 잡는다는 오싹한 괴담(?) 같은 이야기도 돈다지만, 이것도 사실 모태신앙 여부와는 좀 거리가 있는 문제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3. 단,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침례교 등 일부 교단은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