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탄에서 넘어옴)

木炭 / Charcoal

파일:숯.jpg

(쑻)

목재를 태워(탄화하여) 그 결과로써 만들어진 탄소덩어리를 칭한다.
한자어로는 '목탄(木炭)'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Charcoal'.

어떤 나무라도 탄화되면 숯이 되지만, 목질이 단단할수록 양질의 숯이 만들어지는데, 목질이 성기어 단단하지 않은 것은 전소되버린다. 때문에 숯을 만들때 참나무를 주로 쓴다.

숯의 제조 과정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때문에 두가지 종류의 숯이 만들어진다.
첫번째는 탄화된 목재에 모래를 덮어 식히면 백탄(탄화된 나무의 표면에 하얀 재가 붙은 것)이 만들어지고, 모래를 덮지 않은채 식히면 흑탄(재가 묻지 않아 숯이 새까맣게 보인다)이 만들어진다. 어느 쪽이든 간에 불완전연소를 통하여 탄소만 남기는 화학적인 원리는 동일하다.

숯의 첫번째 용도는 연료로써 사용되는 것이다.
수분이나 휘발성 물질이 다량 포함된 목재를 그냥 태우면 증발열 때문에 상당한 열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만, 제조 과정에서 순수한 탄소 덩어리로 변한 숯을 태우면 완전연소를 일으키는 동시에 증발열로 인한 손실도 없으므로 연소 효율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숯을 사용하면 목재를 태울 때보다 연비도 향상되고 더 높은 온도를 얻을 수 있다.

탈취, 제습, 가습 등의 용도로 자주 사용되기도 하는데, 목재가 탄화되면서 이물질이 목가스와 목초액으로 분리되고 탄소의 동소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동소체의 특성상 자유전자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정전기에 의한 인력을 일으켜 흡착을 유발하기 때문이며, 구조상 내부에 빈공간이 많은 목탄의 모세관은 공기정화를 돕는다.

제습용이나 탈취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릇이나 바구니에 담겨진 숯이 집안 어딘가에 놓여지거나, 신발장 안이나 옷장 안에 놓여진다. 가습용으로 사용될때는 숯을 물이 담긴 그릇에 넣어두면 물이 천천히 증발된다. 또한 이런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숯이 점점 하얗게 변하면서 기능이 떨어지는데, 이럴 때는 숯을 물로 세척 한 뒤 말려서 사용하면 된다. 외부에 흡착된 먼지 등이 씻겨나가고, 보글보글거리는 소리가 나며 본래 상태로 변한다.[1] 그러나 거실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숯의 제 기능을 기대하려면 상당히 많은 양의 숯이 필요하므로, 넓은 공간에 하나나 두덩이의 숯을 놓는 것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

숯의 흡착성이 높은 이유 때문에, 이를 먹으면 체내의 노폐물이 흡수되어 몸 밖으로 빠져나온다는 검증되지 않은 설이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게 되어, 과거 몇년간 숯은 식용으도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숯을 먹어도 장관 내부에 있는 물질 외에는 흡착할 수 없으며, 본래 장관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과 생물들 중 많은 물질과 생물들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과 공생관계에 있는 생물이므로 숯을 먹는 것은 도리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그러나 독극물을 삼킨 급박한 경우에는 숯가루(활성탄)를 삼키는 방법[2] 이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인이 따라할 만큼 간단한 것이 아니다.....

숯에 약품이나 증기 등을 가해 가공하면 미세 기공이 더욱 많아지는데, 이는 활성탄이라고 불린다. 실험실에서 실험을 위한 목적으로 쓰이고, 정수기에서는 정수용으로 쓰이며, 그리고 공장에서는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활성탄이 쓰인다. 나아가 군용 방독면에도 활성탄이 첨가되고, 독극물 흡착을 위한 의료용으로도 활성탄이 사용된다.

여담으로 숯을 만들기 위하여 나무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액화하여 정제한 것이 목초액인데, 본래 숯보다 이것이 만병통치약으로 대중에게 알려졌었다.. 하지만 뭐든 탄 것은 발암물질을 함유하므로 먹지말자.

연탄이나 석탄을 태우기 위해서 쓰는 특수 불쏘시개번개탄도 숯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번개탄은 톱밥을 태워서 만든 숯가루와 톱밥을 뭉친 것. 근래에는 불이 잘 붙도록 발화제를 섞은 연료 전용 숯이 포장되어 팔려지기도 하는데, 당연하지만 발화제가 섞였으니 연료용 숯은 장을 담그기 위한 목적이나 가정에서 제습과 탈취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절대적으로 좋지 않다. 장을 담그는 용도의 숯과 제습 및 탈취용 숯은 온/오프라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연료로써 사용되는 숯은 동봉된 성문표를 잘 살펴보면 발화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쓰여져 있고, 포장의 겉봉에 연료용이라고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 외에 대나무나 야자수와 같은 나무를 분쇄하여 이를 압축해서 만든 압축탄이 있다.
일반 숯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불이 골고루 붙어서 다루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일반 숯보다는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진다.

숯은 고깃집에서 고기를 굽는데 사용되는 등, 음식을 조리할 때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숯 특유의 풍미가 조리되는 음식에 배어들어 음식의 맛을 더욱 좋게 한다 예를 들자면, 식감은 뛰어나지만 비릿한 풍미를 지닌 곱창 그리고 돼지껍데기가 이에 속하며, 숯의 독특한 풍미는 이러한 음식 재료가 조리될 때 재료 특유의 좋지 않은 풍미를 가린다. 한국인들은 쇠고기를 숯불로 굽는 것을 굉장히 즐기는데, 식재료에 따라 숯의 풍미 때문에 재료 본연의 맛이 가려져 맛이 상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돌판구이 같이 맛이 변질되지 않는 방식의 조리법이 좋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식점은 진짜 숯보다는 압축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육각면체에 중간에 구멍이 있는 모양으로 흔히 볼 수 있는 건데, 당연히 제대로 된 숯보다 못 하다.
그렇다고 마냥 나쁜 건 아니고 불길이 고르게 붙기 때문에 구이 같은 음식에 적합하면서도 심한 냄새가 없어서 좋다.
다만 일부 압축탄은 페인트 따위의 폐자재가 그대로 섞여있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

이 외에도 버드나무 가지를 태워 만든 숯은 도화용 목탄으로 사용된다. 이 밖에 숯은 흑색화약의 재료로도 쓰인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횡성 참숯이 등록되어 있다.

  1. 이동 전체적인 숯을 물에 씻으면 보글보글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있고, 그런 뒤 숯이 말라갈 때는 빠직거리는 꽤 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2. 이동 과거에 민간요법으로 설사나 장염 치료용으로 썼다. 그 외에도 많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