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문서 : 행정구역
牧
과거 한국의 행정구역이다.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2개의 목(牧)으로 구획한 것이 시초이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부(府), 군(郡), 현(縣)과 함께 도(道) 아래의 행정구역 중 하나가 되었다. 목의 수령을 목사(牧使)라 하였다.
참고로 목으로 지정된 곳들은 모두 지명이 '~주(州)'로 끝난다는 특징이 있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원래는 후한 말에 주의 자사를 대신하는 지방관의 관명으로 만들어졌던 것을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 구역의 명칭으로 차용한 것이기 때문에 지명에 주가 안 붙으면 이상하기 때문.
(양주, 파주, 여주, 원주, 충주, 청주, 공주, 홍주, 전주[1], 나주, 광주, 능주[2], 승주[3], 제주, 상주, 경주[4], 성주, 진주, 해주, 황주, 안주, 정주, 길주 등)
구한말 8도를 23부제로 개편하면서, 전국의 모든 부목군현이 '군'으로 명칭이 통일되면서 잠시 사라졌다. 그러다가 대한제국 시기 13도제가 부활하면서 제주군만이 제주목이란 명칭으로 다시 부활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제주목은 다시 제주군으로 개칭되었고, 이로서 '목'이란 행정구역 단위명은 우리 역사에서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목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