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부제

>
해주부에
월경지가 있다. 인천부는 아예 두동강 났다.[1]

사진 출처

1 개요

1895년 음력 윤 5월 1일부터 1896년 양력 8월 4일까지 실시된 조선 말기의 지방행정체계. 중간에 음력과 양력이 혼용되어 있는 이유는 1896년을 기점으로 조선은 표준 달력을 태음태양력에서 태양력으로 바꿨기 때문(그래서 연호도 건양(建陽)이라고 썼다)이다.

갑오-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으로, 조선 건국 이래 지속되어 온 8도를 해체하고 전국을 8도보다 좀 더 세분화된 23부(府) 337군(郡)으로 분할하였다. 조선의 기존 행정구역은 (道) 아래에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 등 다양한 등급의 행정구역이 혼재되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를 부-군 체계로 일원화하여 행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이 개혁의 취지. 의도는 늘 항상 좋았다.

실제로 전통적인 8도 체제는 제정된 지 시일이 상당히 지난 탓에 도 간의 인구격차가 크고, 실제 생활권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조선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남부지방이 겨우 3개 도(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통칭 삼남)로 편성된 데 비해 인구밀도가 희박한 북부지방은 2개 도(평안도, 함경도)로 편성되고 있었고, 생활권이 서로 다른 영동영서가 같이 강원도에 묶여 있는가 하면, 생활권이 비슷한 충주를 중심으로 한 남한강 수계 일대는 충청도와 강원도로 양분되어 있었다.

23부제 개혁은 인구분포 및 생활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지역편차가 큰 도를 더 작게 나누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도 아래의 하위 행정구역이었던 부[2]·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은 모두 군으로 일원화되었다. 실제로도 일본폐번치현도도부현 체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부의 명칭을 정할 때 그 부 소속의 최대도시(부 소재지)의 이름을 차용했는데, 이것또한 일본의 경우와 같다.[3][4]

각 행정구역의 장관으로 부에는 부장관(府長官)[5]을, 군에는 군수(郡守)를 두었다.

2 흑역사

정확히 1년 3개월 만에 조선은 기존의 도 체제로 원복했다. 본 위키의 이 항목에는 상당히 오랜 기간 '대한제국' 시기의 지방행정제도라고 기록되어 있었지만 사실 대한제국이 선포되기도 전에 폐지되었다!

23부제가 실시된 지 1년도 되지 않은 1896년 2월 아관파천이 벌어졌고, 개혁의 주체였던 친일 세력들은 참살당하거나 외국으로 망명을 가버려 갑오-을미개혁 자체가 준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도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활권을 반영한다는 취지로 편성한 23부 가운데 일부 부들은 정작 생활권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면 개성부가 황해도 내륙 산악지대(수안군, 곡산군, 신계군 등)까지 관장하고 있었으며, 충주부는 남한강 수계를 반영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충주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용인군정선군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남원부는 전반적으로 섬진강 수계를 반영한 듯 하나 장수군 이북의 금강 수계에 해당되는 무주군, 진안군 등 현재의 전북 동부 산악지역까지 남원부에 편제함으로서 남북으로 길쭉한 관할구역이 형성되며 지역간 차이가 더욱 안드로메다로 가버렸다.

결국 개혁의 주체가 부재한 상황에서 행정의 혼란만 초래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23부제는 1년만에 폐지되었고, 8도를 조금 보완한 13도 체제로 행정구역을 다시 재편했다. 그렇다고 해서 일각에서 도 폐지론이 나올 정도로 기존의 도 체제가 갖고 있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었고, 이로부터 100년이 지난 현대 대한민국에 내려오기까지 광역행정구역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오히려 2000년대부터 추진되고 있는 도 폐지를 골자로 한 행정구역 개편안은 23부제와 더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23부제 자체가 도 폐지론자들에게 귀감이 되어주기도 하고. 이 때 제대로 되었으면 아마 대한민국의 지방행정사가 크게 바뀌었을지도. 단 일제강점기라는 변수만악의 근원가 있어서 100% 장담은 할 수 없지만. 자세한 사항은 행정구역 개편 항목 참조.

여담으로 현재 북한 지역에 해당하는 부들의 위치는 북한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 체제와 비슷하다. 그리고 상기했듯이 일본과도 남한 지역 부분의 경우 통일신라 때의 9주 5소경과도 비슷하다.

3 23부 및 예하 군(郡) 목록

23부
소속 군 (郡)
한성부(漢城府)한성, 고양, 파주, 교하, 연천, 적성, 양주, 포천, 영평, 가평, 광주(廣州)
인천부(仁川府)인천[6], 부평, 강화, 교동, 김포, 통진, 양천, 시흥[7], 과천[8], 안산[9], 수원[10], 남양
충주부(忠州府)충주, 제천, 청풍, 단양, 영춘, 음성, 진천, 괴산, 연풍, 청안
여주, 이천(利川), 음죽, 용인, 양지, 죽산, 원주, 평창, 정선, 영월
홍주부(洪州府)홍주[11], 결성, 예산, 덕산, 대흥, 서산, 해미, 태안, 청양, 정산, 아산
온양, 신창, 당진, 면천, 보령, 남포, 서천, 비인, 한산, 임천, 홍산
공주부(公州府)공주, 천안, 목천, 직산, 진위, 평택, 안성, 양성, 회덕[12], 진잠[13], 연기, 전의, 은진[14]
연산, 노성, 석성, 부여, 청주, 문의, 보은, 회인, 옥천, 청산, 영동, 황간, 금산, 진산
전주부(全州府)전주, 고산, 익산, 함열, 여산, 용안, 옥구[15], 임피, 김제, 금구, 만경
부안, 고창, 흥덕, 무장, 정읍, 고부, 태인, 장성, 영광, 지도[16]
남원부(南原府)남원, 운봉, 구례, 곡성, 옥과, 담양, 창평, 순천(順天), 돌산, 광양, 순창, 장수, 진안, 임실, 진안, 용담, 무주
나주부(羅州府)나주, 남평, 광주(光州)[17], 해남, 완도, 진도, 강진, 흥양[18], 보성, 낙안, 영암, 무안, 함평, 화순, 능주, 동복
제주부(濟州府)제주, 정의, 대정[19]
진주부(晉州府)진주, 산청, 단성, 함양, 안의, 하동, 거창, 사천, 곤양, 남해, 합천
초계, 삼가, 고성(固城), 의령, 함안, 칠원, 창원, 진해[20], 웅천[21], 김해
동래부(東萊府)동래[22], 기장, 양산, 거제, 울산, 언양, 경주, 연일[23], 장기, 흥해
대구부(大邱府)대구, 현풍, 경산, 하양, 자인, 인동[24], 칠곡[25], 선산[26], 김산[27], 지례, 개령, 성주
고령, 청도, 영천(永川), 신녕, 의성, 비안, 군위, 의흥, 밀양, 창녕, 영산
안동부(安東府)안동, 예안, 청송, 진보, 영양, 청하, 영천(榮川)[28], 순흥, 풍기, 상주, 함창, 문경, 예천, 용궁, 영덕, 영해, 봉화[29]
강릉부(江陵府)강릉[30], 울진, 평해, 삼척, 양양, 고성(高城), 간성[31], 통천, 흡곡
춘천부(春川府)춘천, 홍천, 낭천[32], 횡성, 양구, 인제, 철원, 김화, 금성, 평강, 회양, 양근, 지평[33]
개성부(開城府)개성, 풍덕, 장단, 삭녕, 마전, 이천(伊川), 안협, 금천, 토산, 평산, 수안, 신계, 곡산
해주부(海州府)해주, 연안, 배천, 옹진[34], 강령, 장연, 송화, 풍천, 안악, 은율, 장련, 재령, 신천, 문화, 서흥, 봉산
평양부(平壤府)평양, 삼화[35], 용강, 강서, 증산, 함종, 중화, 상원, 황주, 강동, 삼등, 성천, 양덕, 안주
영유, 숙천, 순안, 순천(順川), 은산, 자산, 맹산, 영원, 개천, 덕천, 영변, 운산, 희천
의주부(義州府)의주, 용천, 선천, 철산, 정주, 곽산, 박천, 가산, 태천, 구성, 삭주, 창성, 벽동
강계부(江界府)[36]강계, 후창, 자성, 초산, 위원, 장진
함흥부(咸興府)함흥, 덕원, 정평, 영흥, 고원, 문천, 안변, 단천, 이원, 북청, 홍원
경성부(鏡城府)[37]경성, 부령, 길주, 명천, 무산,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갑산부(甲山府) [38]갑산, 삼수
  1. 인천부가 두동강 난 이유는 한성부 소속인 광주군 성곶면이 안산군과 인천군의 월경지인 이포면 및 수원군 사이를 가로막고 있었기 때문이다.
  2. 23부제 이전의 '부'는 도 아래에 있는 군현이었다. 수장은 '유수' 혹은 '부윤'이었다.
  3. 원산을 제외한 3대 개항장 지역은 제외. 원래는 종2품 부윤이 다스리던 최상급 행정구역이던 부(상기했듯이 도의 아랫단위)로써 경상좌도의 중심도시였던 경주가 듣보잡인 동래(오늘날의 부산)에게 소속 부의 타이틀을 빼앗기는 일이 발생했고, 인천의 경우에는 수원이 유수부의 지위를 잃으면서 인천부의 관할이 되었다.
  4. 일본의 경우 정확히 말하면 현청 소재지의 군 이름을 현명으로 삼았다. 100여 년이 지난 현재 일본의 군은 사실상 사문화되었기 때문에 현청 소재지와 현명이 다른 현의 경우 이 흔적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
  5. 강점기에 들어온 지사(知事)라는 단어보다 앞서 장관이란 단어가 관찰사를 대체했다. 이 직함은 대한제국기까지 이어진다. 식민지 시기까지도 조선인들은 구문에서는 도지사라는 용어보다는 도장관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6.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부를 비롯하여 시흥시 북부와 화성시 남양읍 북부 및 비봉면 북부를 포함한다.
  7. 시흥시와는 다르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서부, 관악구 대부분, 구로구 구로동 및 경기도 광명시 일대에 해당된다. 자세한 내용은 시흥시시흥군 항목 참조.
  8.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일부,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부분, 동작구 동부, 관악구 남현동 일대에 해당된다.
  9. 지금의 안산시와 시흥시 남부 일대에 해당된다.
  10. 수원시 (광교동, 입북동 제외), 화성시 동부와 남부, 평택시 서부, 오산시도 포함
  11. 홍성군 남동부
  12. 대전광역시 동부 일대. 참고로 대전역, 은행동, 둔산신도시, 유성 등은 죄다 공주군의 땅거스러미였다(...).
  13. 대전광역시 서부 일대.
  14. 논산시 시내를 포함한 남부.
  15. 군산시 시내를 포함한 서부.
  16. 신안군 지도읍
  17. 한자만 봐도 알겠지만 당연히 현 광주광역시다. 나주가 광주보다 더 큰 도시였으나 단발령으로 인한 을미의병때 나주가 혼란스러워지자 관찰사가 처소를 광주로 옮기고 의병활동이 진정된 후에도 돌아가지 않다가 13도제가 되면서 도청을 광주로 두면서 역전되었다. 그때 관찰사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다.
  18. 고흥군
  19. 정의군과 대정군을 합하면 현 서귀포시에 해당된다.
  20. 창원시 진해구가 아니라 마산합포구의 진전면, 진북면, 진동면 일대에 해당된다.
  21. 여기가 창원시 진해구에 해당한다.
  22. 부산광역시(북구, 강서구, 기장군 제외)
  23. 포항시
  24. 구미시 인동동 일대 및 칠곡군 서부에 해당된다.
  25.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지구 일대 및 칠곡군 동부에 해당된다. 현 칠곡군의 영역은 오히려 옛 인동군의 영역을 더 많이 계승하였다.
  26. 구미시 대부분
  27. 김천시
  28. 영주시 남동부.
  29. 봉화군 중에서 봉성면 등 일부만 해당되며, 정작 봉화읍을 비롯한 봉화군 동부지역 대부분은 옛 안동군의 월경지 영역이었다.
  30. 평창군정선군 북부 지역(용평, 봉평, 진부, 대관령, 임계, 방림 등)도 원래는 강릉군 땅이었다.
  31. 휴전선 이남의 고성군과 영역이 거의 동일하다.
  32. 화천군
  33. 이후 1908년 근군과 지군이 통합되어 현 양평군이 되었다.
  34. 황해도(황해남도) 옹진군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과는 다르다.
  35. 남포특별시(진남포시)
  36. 23부 중 가장 넓었다.
  37.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경성부 자체가 현재 함경북도 일원 그 자체다. 물론 이것도 광복 이후 남북 분단 이전 이야기고, 현재는 함북 일부가 양강도로 편입되어 면적이 작아진 상태.
  38. 예하 군이 단 2개뿐이었다. 그럼에도 다른 부에 꿀리지 않는 넓이가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