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이과 통합

1 개요

이제 뭘 시켜도 대가리가 잘 돌아가야 성공하는구나
본격 국가에서 시행하는 다목적으로 쓸수있는 미래의 중급-고급 인력 양성 계획 물론 이상적 경우에

초중등교육에서 문과이과를 통합해서 가르치는 것.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고등학교부터 문과이과를 구분해서 가르쳤지만 2018년부터[1] 문이과를 통합한다고 박근혜정부에서 발표했다.

2 대한민국의 문이과 통합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고등학교부터 문과와 이과를 구분해서 가르쳤다. 7차 교육과정부터 문이과 구분이 공식적으로는 폐지되었지만, 2005학년도 수능부터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서 오히려 문이과 구분을 심화시키기도 했다.[2] 2014년 교육부는 2018년부터 문이과가 실질적으로 통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실시되어,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배우며, 대입과 연계해서는 2021학년 수능부터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공통교과로 필수 반영되어 학생들은 두 과목을 필수로 응시해야 한다고 발표하였다.[3] 이렇게 되면 6차 교육과정까지의 공통사회와 공통과학이 사실상 부활하는 셈이다. 수학과의 변동 사항은 링크 참고.

그런데 이름과는 다르게 문이과의 완전한 통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눈에 띄는 변화는 6차 교육과정까지 존재하던 수능 공통과학, 공통사회 부활 수준. 오히려 수포자를 줄인다는 명분하에 인문사회계 지망자(구 문과생) 기준으로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가 부활한 것 빼고는 그 말 많은 2009 개정 교육과정 대비 수학 단원 몇 개가 더 썰려 나갔다.(...)

문이과 통합 추진의 배후는 인문계 대학생의 심각한 취업난이라 카더라
철학과 등 문과 하위과들은 입결이 더 떨어지게 생겼다. 인원수 때문에 백분위가 같았던 서울대 농대와 서울대 의학과가 인제 달라지겠군

일단 2016년 현재 국어영어 과목은 문이과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이다.[4] 물론 음악, 미술, 체육, 제2외국어 영역, 한문 과목은 진작에 통합 교과로 운영되어 왔고.

2.1 수능 개편

정확하게 보면, 교육과정 개정보다 수능 개편에 더 관심이 가고 있다. 주석에서 언급한 것처럼, 7차 교육과정에서 문이과 구분을 없애도, 수능을 교육과정과 맞지 않게 개편할 경우에는, 교육과정은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문이과 통합에 맞게 수능을 개편하려면, 수능에는 고1 때 배운 내용만 포함하든가, 아니면 문과 위주 내용으로 개편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이과 학생들의 수학, 과학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며, 대학의 자연계열, 공학계열 학과의 경우에는, 이과 내용을 포함시켜 '대학별 고사'를 치를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고 '대학별 고사'를 방지한다고해서, 수능에 이과 학생들만 볼 수 있는 과목을 따로 분리할 경우에는 '문이과 통합'에 역행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인다는 이유로 수능 출제 과목을 대폭 축소할 경우에는, 수능에 출제되지 않는 과목에 학생들의 관심이 적어질 것이다. 그렇다고 많은 과목을 수능에 출제하게 되면, 학생들의 학습에 부담이 된다.[5]
가장 큰 문제는 문이과 통합 이전 수험생,N수생들이 재수하면 망한다는거다. '재수'없는 01년생
솔직히 한국사(교과)의 사례처럼 절대평가로 운영될 것 같다. 애초에 교육부에서도 탐구영역(선택) 자체는 유지한다고 말하기도 했고

2.2 학계별 입장

2.2.1 학문계

학생들이 과학적인 소양을 갖추는 목표에는 찬성하지만 실제 과학 교육이 유명무실화될 위험성 때문에 현재 정부안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최재천은 "여기서 우리가 과학이 어렵기 때문에 문이과 통합을 하더라도 과학은 봐준다, 같은 소리를 하면 안됩니다. 문이과 통합은 과학을 가르친다는 겁니다. 그 점을 회피해선 안됩니다."라고도 하였다. 정작 이과에게 사회를 가르치기 위해서라는 말은 아무도 하지 않는다. 그렇게 사회는 잊혀졌다...

2.2.2 교육계

우리나라 공교육은 21C 지식기반사회에 범람하는 정보들을 활용해 다양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간을 길러내는것이 목표이다. 현대사회에 필요한 지식이 문과적 지식이나 이과적 지식으로 나뉘는게 아니라 모두 필요한 만큼 교육적 측면에서는 문이과 통합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사회탐구영역과 과학탐구영역을 모두 학습하게 한다면 학생들의 학업부담이 배로 뛰고 이는 사교육으로 이어질것이므로 각 과목의 범위가 반드시 조절되어야 할것이다. 또 과목선택에 대한 문제도 있다. 현재 탐구영역은 선택과목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순히 과목들을 전부 묶어 하나의 과목군으로 만들어 버리면 비인기과목[6]들이 완전히 죽어버리는 결과를 낳을수 있으므로 반드시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고 과목들을 통합해 하나의 과목으로 만들면 다양한 선택을 보장하고자 만든 선택과목을 부정하는 꼴이 되기 때문에 안된다. 게다가 이는 과목의 수업시수와 관련되어 있고 이는 곧장 해당 과목 교사의 밥그릇으로 직결되는지라 아무래도 조심스러울수밖에 없다.

2.3 파생된 논란

박근혜 정부의 교육부에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국정교과서로 채택할 것을 주장해 야권이나 사회학계에서 통합사회과목의 국정교과서화에 반대하고 있다.

3 관련 항목

  1. 그러니까 2016년 기준 중2
  2. 7차 교육과정대로 한다면, '사회탐구 1과목 + 과학탐구 1과목 + 직업탐구 2과목' 등도 가능했어야 했다.
  3. 기존 교육과정에서도 고1 학생들에게 '사회'와 '과학'을 가르쳤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와 '과학'과 어떻게 다른지 알 수가 없다. 이는 2015년 9월에 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면서 알게 될 것이다. 어쨌든, 기존과 달라진 점은, 고1 때 배우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수능에서 출제할 것이라는 점이다.
  4. 사실 구7차교육과정까지는 국어, 영어는 문이과 구분이 없었다. 그 이후 교육과정에서나 분리되었던 것이지.
  5. 결론은, 대한민국에서는 교육과정 개정보다 수능을 포함한 대학입시제도 개편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이 쏠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교육은, 교육과정보다는 대학입시제도에 맞춰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 교육은 '백년지대계'가 될 수 없다.
  6. 예를들어 법과 정치, 과학탐구 II과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