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체육 (體育, Physical Education, Physical Training)

1 개요

"체육"이란 운동경기·야외 운동 등 신체 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기르고 여가를 선용하는 것을 말한다.

- 국민체육진흥법 제2조 제1호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한자어에 의한 동음이의어. 하나는 몸體을 기른다育, 즉 몸을 튼튼하게 단련하는 일.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 건강을 유지/증진 시킬수 있다. 이쪽은 운동 항목 참고. 어원으로서는 체조와도 연관이 깊다.

또 하나는 몸을體 기르는 교육育. 이 글은 교육으로서의 체육을 다룬다. 고대 그리스 시절에는 학생들이 배워야 할 3대 교과목 중에 있었다고 하나 (체육, 수학, 음악[1]) 다른 문화권에선 군사훈련의 연장으로서의 의미 이외의 체육 교육이 존재한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럽 문화권이나 한자 문화권이나 전부(...) 중세 시대에는 신체 운동 자체를 천시하는 경향이 생겨 체육 교육도 쇠퇴하게 되나, 근대 유럽에서 체육 교육 역시 공교육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담론이 거세지게 되고, 그에 따라 체육을 공교육 과목에 포함시킨 뒤 그 추세가 전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참고로 고종이 신학문을 가르치는 학교를 세우면서 '교육의 본질은 덕육, 체육, 지육에 있다'는 말을 남겼다고 하는데, 저 3가지의 분야 중 '체육'만이 현재까지 그 이름 그대로 내려오고 있다.

2 체육의 역사

체육교육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분들이 추가바람.

체육의 역사는 주로 원시시대의 생존, 고대시대의 전쟁, 중세시대의 소수문화, 근대의 대중문화 순으로 나와 있지만, 스포츠 같은 경우 특정인이 만들었기 때문에 역사가 근대부터 시작된다.

3 한국의 일선 학교에서의 체육

현실적으로 가능하긴 한건가 하고싶은 운동방법을 적어놓고 학생보고 하란다 수상스키는 뭐냐 그냥 모든 운동 종목 적어 놓은 듯
왜 허구한 날 남학생은 축구 여학생은 피구만 하는건가

슬픈 현실이지만, 특목고/일반고/특성화고 안가리고 대부분 창고에서 공 던져주고 "알아서 놀아라~" 하는 시간으로 쓰이거나, 아니면 그나마도 자습 시간으로 쓰이고 있다. 덕분에 체육 수업을 FM대로 진행하는 일부 체육교사들은 학생들에게서 좋은 소리는 못 듣는 게 현실이다.[2] 그래서 체육교사들은 보통 운동장 강단 밑에 있는 체육창고에서 골프채나 휘두르며 혼자 논다 카더라. 되려 이런 모습 때문에 괜히 학생들에게는 일 안하고 돈 번다는 식의 인식이 박히기도 한다. 더군다나 풍채 좋은 체육교사들이 주로 학생을 휘어잡는 생활부 담당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어째 학생들에게 평가가 안 좋은 체육교사가 꽤 있다.

여중 & 여고 같은 여학교에서는 더욱 개판으로 운영된다.

공교육으로서의 체육 교육의 의미 중에 학생들에게 수업의 일환으로라도 마음껏 뛰놀 기회를 준다는 것도 있는 만큼 이런 것 자체는 완전히 가치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문제는 이런 쪽에만 너무 집중한다는 것. 결국 남자들의 경우 체력이 평등해지지 않으니 약육강식이 일어나버리고 이 문제의 해결책이 군대(...) 사실 어쩌면 남자들은 상황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여자 쪽은 체력 평준화는 되어있는데 모두가 운동을 하지 않아 초극단적인 하향 평준화다. (...)

하지만 하루 종일 학교에 박혀있는 한국 학생들의 상황을 감안하면 없어서는 안될 존재. 부산의 모 고등학교 체육교사 曰 '한창일 학생들 힘을 밖에서 안빼주면 꼭 뭘 부숴먹는다. 유리창이든 천장이든 콧뼈든 간에' 라는 명언을 하였다. 실제로 체육시간 자습을 시켰다가 상기한 대로 교내 기물파손과 부상자(...)가 증가해서 그 이후로 꼭 주2회는 밖에서 학생들을 풀어놓는다 카더라. 물론 그 다음시간 교사는 땀내와 피곤에 쩔어 잠든 학생들에 곶통받지만

교련 선생과 겹치는 체육 선생이 많았던 탓에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체육 시간에 제식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하라는 운동은 안 시키고 그냥 계속 오와 열만 가르친다.

수행평가가 중요한 과목이기도 하다. 일단 체육 교과서가 얇고 상식적인 부분이 많은 터라 중간고사 때는 거의 안 보고 기말고사 때 보는데 지필의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이는 음악, 미술 등의 교과목도 비슷하다.) 아이들의 체육적 능력이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수행평가에서 많이 갈리게 된다. 그냥 포기한 애들은 책도 안 본다 고등학교 때는 덜하지만 중학교 때는 그래도 체육이 꽤 비중이 있기 때문에 공부 잘 하는 학생들이 체육 때문에 평균이 떨어지기도 한다.[3] 그리고 어떤 종목을 수행평가 대상으로 삼느냐에 따라 많이 갈라지기도 한다. 축구의 경우 곧잘 하는 애들이 많지만 배구 같은 거 하면 많이들 실패한다.

시험으로서는 매우 불합격. 제대로 된 이론교육은 없으며, 대부분 공부할 시간도 없다고 시험 범위 뿐만 아니라 시험 문제가 나오는 곳만을(!!!) 찝어준다. 평상시엔 체육책 한번 쓰지도 않았는데 기말 때 항상 시험 출제하는 거 보고 왜 시험을 보는지 의아해하는 위키러들이 한둘이 아닐거다! 아니면 문제와 답을 모두 가르쳐 준 뒤 외우라고 한다(......). 공부는 알아서 해야 하겠지만. 더 기막히는 것은, 이렇게 안하고 FM대로 시험 범위를 모조리 가르치는 선생에겐 오히려 엄청난 항의와 뒷담이 뒤따른다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하더라도 못보는 애들은 못보지만

여담으로 체육 교과서에는 운동역학 공식들이 곳곳에 적혀있다. 물론 그 내용들은 배우는 학생도 출제하는 교사도(?) 귀찮아서 내지 않는다.

그리고 국민공통기본과목 중 중학교의 고입시험에서 출제되지 않는 유일한 과목이다.[4] [5]

여담이지만, 일본의 학교 내부 후미진곳에 위치한 체육창고는 교과 시간 외에는 아무도 접근하지 않으며, 칙칙하고 퀴퀴한 먼지내음이 가득한터라 서브컬쳐 계열에선 플레이어에겐 검열삭제 전용(...) 장소인듯... 이곳에서 정말 별의 별일이 다 일어난다. 우리나라에선 운동장 조회대 밑의 공간이나 강당 일부를 창고를 쓰는 경우가 많아 별도의 체육창고가 마련된 학교는 보기 힘들다.

다른 여담이지만 체육 교과서로 딸감활용하는 몇몇변태들이 있다.수영,체조파트는 특히... 다른 교과목에 비해 역동적인 사진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교과서 튜닝의 원자재로도 많이 이용된다. 다만 딸감(...)문제는 스마트폰도 있는 요즘에는 글쎄...

4 관련 항목

  1. 여기서의 음악은 현대의 의미로 치면 문학이나 역사, 신화 등등을 전부 다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이다. 고대에는 이런 것들을 전부 시나 노래로 가르쳤음을 생각하자.
  2. 모 고등학교의 체육 교사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태풍이 부나 체육 수업을 진행하며 고3에게도 절대 자습을 주지 않고 심지어는 수능 2일 전에 고3 학생들을 데리고 눈 내린 운동장으로 수업을 나가기도 했다. 결국 학부모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고3 수업은 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3. 이런 케이스가 의외로 꽤 있다. 체격 조건이 안 좋거나 운동 신경이 별로인 사람은 아무리 노력해도 한계가 있는데다 체육과목 특성상 수행평가를 망치면 시험 잘 쳐봤자 복구도 거의 안된다. 심하면 다른 과목은 전교권인데 이 과목 하나때문에 등수가 쫘르륵 밀려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체육이란 과목 자체를 증오하게 된다(...)
  4. 음악과 미술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출제가 된다.
  5. 체육도 아예 안 보진 않는다. 경기도에서는 체육까지 합쳐 10과목을 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