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천상

송말삼걸宋末三傑
문천상육수부장세걸

2003-6-25-030625wentianxiang.jpg

文天祥
(1236 ~ 1282)

13세기 몽고기병이 폭풍처럼 유라시아를 석권할 당시, 그들은 오직 남송에서만 가장 격렬하고 지속적인 저항을 받았다. 1235년 원나라 군대가 처음 송을 공격했을 때 부터, 1279년 광동 애산에서 남송 최후의 승상 육수부가 어린 황제를 등에 업고 바다에 뛰어내릴 때 까지, 남송은 장장 40여년간 전쟁을 벌여 몽케 칸 또한 합주 조어성에서 전사하였다. 장원급제 출신 재상 문천상을 중심으로 한 사대부들이 최후의 궁지에서도 혈전을 벌이며 송 황실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은, 조송(趙宋)의 제실(帝室)이 300년간 사대부를 우대한 것에 대한 최선의 보답이었으며, 송대 문관정치가 거둔 유종의 미 그 자체였다.

-진정(金諍), 중국 과거 문화사 中-

중국 남송의 정치가 겸 장군.

남송 최후의 승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장세걸, 육수부와 더불어 남송 3충신의 일원이다. 자는 송서(宋瑞) 또는 이선(履善), 호는 문산(文山).

강소성 길주현 노릉 출신. 1258년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했는데, 이때 시험관이 당시 황제인 이종에게 각별한 인재를 얻은 것을 경하했다고 한다. 당시 을 멸망시키고 하북을 아우른 몽골 제국이 남진을 준비하던 상황이라, 바야흐로 남송은 위기를 눈 앞에 두고 있었다. 1259년 몽케가 직접 이끄는 몽골군이 사천을 침공해 합주가 포위되자 조정에서는 천도를 결정했으나, 이에 강경하게 반대하는 상소를 올려 그날로 면직되었다. 그후 복직했으나 재상 가사도와 견해가 맞지 않아 다시 물러났다.

강화에만 골몰하며 몽골과 남송 조정 양측을 기만하려던 가사도가 쿠빌라이 칸의 군대에게 패하고 피살당한 뒤, 몽골군이 맹공을 가해오자 의병을 모아 싸우다가 복직되어 1276년 우승상 겸 추밀사에 올랐다. 수도 임안으로 육박해 오던 몽골군과 교섭하려고 총대장 바얀과 회견했지만, 문천상의 당당한 기개와 기량에 놀란 바얀에 의해 그 자리에서 억류당했다.

문천상이 잡혀 있는 동안 임안이 함락당해 남송은 멸망을 맞았고, 북으로 끌려가던 중 탈출해 복주에서 장세걸, 육수부와 함께 도종의 맏아들 단종을 받들고 저항을 계속한다. 그러나 1278년 오파령 전투에서 패해 장홍범에게 붙잡혀 그 길로 대도(북경)에 압송되었다. 그리고 장세걸과 육수부는 애산으로 도주하던 중 사망한 단종을 대신하여 소제를 왕으로 옹립하고 저항을 계속하나 애산에서 최후를 맞이했다. 이때 원나라 군대에 포로로 잡힌 문천상이 이 장면을 바라보고 있었다는데 과연 그 심정이 어땠을지...

그때부터 처형당할 때까지 옥에 갇혀 지냈는데, 애산 전투에서 흩어진 남송의 잔병들에게 투항을 권고하는 글을 쓰라고 권유받았으나 과령정양(過零丁洋)이라는 시를 지어 이를 거절했다. 남송이 완전히 망한 뒤로도 쿠빌라이는 그 재능을 아깝게 여겨 마음을 돌려 보도록 계속 설득했는데, 이때 정기가(正氣歌)를 지어 어떤 일이 있더라도 망국을 향한 자신의 충절이 결코 흔들리지 않을 것임을 강하게 피력했다. 정기가는 진짜 간지폭풍이 휘몰아치는 명문으로 심지어는 제갈량출사표에 비견되기도 할 정도이다.정기가[1]

거의 가망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쿠빌라이는 처형을 주저하며 시일을 끌었고, 신료들도 문천상에게 호의적인 여론이었으나 문천상이 살아있어 남송의 잔병들이 소요를 그치지 않는 것이 밝혀지자 어쩔 수 없이 처형하기로 중론을 모았다. 투옥 5년여만인 1282년 남쪽을 바라보고 참형되니 향년 47세로, 처형 후에도 쿠빌라이는 '그야말로 진정한 사내 대장부였다' 라며 애석해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처형 당할 때 형리를 둘러보며 "내 할 일은 이제 다 끝났다" 라고 말했는데, 이 문구는 吾事畢矣 (오사필의) 라 하여 사자성어로 남아있다. [2]

오늘날 악비와 더불어 충절의 표상으로 숭앙받고 있으며, 남송 정권에게 있어 그 양끝에 있었던 이 둘은 남송에게는 실로 과분한 인물들이었다. 하지만 소수민족에 대한 동화정책을 추진하는 현 중국 정부 노선의로 평가에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는 점마저 악비와 비슷하다.

용모가 준수했으며, 집에 많은 처첩과 악사들을 거느렸고 멱을 감으며 장기를 두는 취미를 가졌을만큼 불굴의 충신이라는 이미지와 언뜻 안 어울려 보이는 호화현란한 사생활을 즐겼다고 전한다. 또한 임안으로 몽골군이 육박한 와중에도 친구들과 뼈있는 농담을 주고받기도 했다는데 이로 미루어 보면 실속 없는 엄숙주의를 배격하면서도 공사구분이 대단히 명확한 인물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코에이징기스칸 시리즈에서도 남송측의 핵심 장수로 등장하며, 징기스칸 4같은 경우 몽골측이 남송을 멸망시키면 쿠빌라이와 바얀의 능력치가 전부 +5되어 엄청난 먼치킨으로 거듭나지만 반대로 남송에서 대도를 빼앗으면 문천상의 모든 능력치가 +5씩 올라가게 된다. (이 때문인지 시나리오 2에서는 정치력 100인 인물이 없고, 가장 정치력이 높은 문천상의 정치력이 94다.) 덧붙여 시나리오 시작부터 충성도가 100인 유일한 인물.
  1. 여담이지만 정기가에 '위엄장군두' 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그 엄장군이 엄안이다. 장비가 엄안을 생포하고 항복을 요구하자 '촉에 단두장군(목 잘리는 장군)은 있어도 항장은 없다' 며 거절했던 일화를 인용한 것. 그 엄장군은 바로 다음 장면에서 항복했건만
  2. 송사 문천상기에 나오는 내용이라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