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우주 정거장)

615px-Mir_Space_Station_viewed_from_Endeavour_during_STS-89.jpg
파일:Attachment/uploadfile/mir.jpg
545px-Mir_diagram.svg.png

1 개요

사상 최초의 조립식 대형 우주정거장
러시아어로 '평화'를 뜻하는 미르(Mir)[1]는 과거 냉전시대의 미국소련 간의 우주개발 경쟁의 산물로 태어났지만 오히려 상호협력을 통해 더 큰 과학적 진보가 가능하다는 교훈을 남겼다.

1.1 러시아의 반격

러시아는 1961년 최초의 유인 우주선 '보스토크'를 발사해 우주시대의 기원을 열었지만 8년 뒤 미국에 달을 선점당했다. 우주정거장 건설을 통해 이 패배를 만회한다는 전략을 세운 러시아는 1971년부터 3차례에 걸쳐 소규모 우주 정거장 살류트를 발사하여서 미국을 엿먹이는 쾌거를 달성한다.

결국 한번 골탕을 먹은 미국은 소련이 해버렸으니 어쩔 수 없이 우주 정거장에 발을 담그게 되었다. 미국은 크고 아름다운 새턴 로켓을 활용하여 스카이랩을 쏴올렸는데 소련 로켓보다 훨씬 우월한 성능을 지니고 있던지라 살류트보다 훨씬 크고 여유로운 우주 정거장을 확보 할 수 있었다. 크기가 넉넉하니 재활용 시스템이란걸 때려 박는게 가능했고 미국 우주 정거장은 적절한 재활용으로 보급품을 오래오래 쓸 수 있었는데 반해 소련은 그딴 거 없어서 그냥 보급품 떨어지면 폐기인 상황이니 스카이랩이 살류트를 이긴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이때 스카이랩에서는 84일 우주체류라는 기록을 세웠다.

1.2 새로운 우주정거장의 탄생

결국 스카이랩에 의해 소련의 우주 정거장 관련 기록이 다 콩라인으로 전락 해버린 상황에서 이번에도 미국에 지기에는 정말 싫었나본지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게 된다. "더 큰 우주 정거장을 쏴서 미국의 코를 뭉개자!"고는 하고 싶었지만 문제는 소련은 스카이랩보다 우주 정거장을 발사할 로켓 엔진 기술이 후달렸다. 로켓 엔진 기술이 밀리는건 더 큰 물건을 띄우지 못한다는 뜻이고 크기에서 밀리는 것은 즉 공간도 좁고 재활용 시스템 등의 장기적 프로그램에 맞는 기능을 집어 넣지 못해 기록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 다시 말해 이번에도 소비에트가 우주 경쟁에서 처발린다는 의미였으므로 엄청난 궁리 끝에 우주 정거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버린다.[2] 후속작 살류트 4호부터 본격적으로 "로켓 기술의 근본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한 노력을 개시한다. 우선 본 모듈은 그대로 두되 복수의 우주선을 도킹 가능케 함으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려 했던것. 그러니까 재활용 수준이 아니라 우주선에다 화물을 실어서 우주정거장에 보급을 하는 완전히 신개념을 개발한 것이다. 살류트 4호와 그 후속작으로 발사된 살류트 5호에 이 기술이 적용 됐고 본격적으로 살류트 6호와 7호에 써먹어 보았는데 결과는 대박. 종래의 스카이랩이 세워 놓았던 우주 기록을 죄다 박살 내버렸다. 이 때 레오니드 포포프는 채소를 키워 자급자족을 시도하는 등의 노력으로 무려 184일을 우주에서 버티는 위엄을 과시했고 미국은 우주정거장 사업에서는 결국 GG를 치고(물론 새로운 우주정거장 프리덤을 발사할 계획은 있었으나 돈 문제로 우주왕복선 스페이스랩 프로그램에 전념했다.) 기고만장해진 소련은 아예 "우주선 여러 개 도킹 따위의 작은 스케일보다 모듈을 여러 개 끼워가지고 그냥 우주계의 혁명을 일으키는게 어때?!" 하는 비범한 생각을 갖게 되었다.

결국 공밀레의 결과로, 1986년 1월 19일에 마침내 미르의 20t짜리 중앙 모듈을 우주로 발사했다. 이 모듈은 살류트 프로그램의 7번째 정거장으로 예정되어있던 DOS-7[3]로, 다음해 3월에 기상 관측 모듈 크반트[4]와 결합하게 된 것을 시작으로 미르에는 1996년 4월까지 생물학실험실·생명지원장치 등이 설치된 모듈 7개가 추가되었다. 이후 미르는 러시아 우주개척의 상징물로 자리잡았다. 이때 소련 우주비행사 유리 로마넨코는 장장 324일을 우주에 체류하는 대기록을 수립하셨다. 그리고 소련에서는 서방에 선전하는 차원으로 동구권 각국에서 우주인들을 배출 시켜 주었다. 쿠바베트남이 그 대표격. 믿기지는 않을테지만 아프가니스탄도 이 기회에 어떻게 줄을 잘 잡아서 1988년에 우주인을 배출했다.

1.3 미국과 러시아가 손을 잡다

1993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막대한 돈이 들어간 미르를 유지할수 없었던 러시아 항공우주청은 역시 예산문제로 프리덤 계획이고 뭐고 줄줄이 취소가 되던 NASA와 눈이 맞아 우주왕복선우주 정거장을 공유하기로 합의를 보았다. 그후 7년간 수많은 임무를 성공시키며 우주개발의 한획을 그은 성공적인 우주 정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사실 미르의 제작이 알려진 후 미국에서도 '프리덤'이라는 이름의 우주 정거장 제작계획을 발표했는데, 때맞춰서 냉전이 끝났다. 덕분에 소련이 해체되고 러시아와 미국의 우주프로젝트는 어느것이든 대규모 예산삭감을 당해버려 프리덤 계획은 취소된다. 다만 이미 건설된 모듈들을 버리기 아까워 후에 미르의 후속작 미르2 의 모듈들과 합체 하여 저 유명한 ISS가 탄생한다.

1.4 노령화, 그리고 폐기

96년경부터 잔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기 시작했다. 특히 우크라이나에 있던 우주개발 설계국과 기업들이 대거 국영화 조치로 러시아의 영향권을 벗어나며 우주선 제작에 상당한 지장이 빚어졌다.[5] 급기야는 화재프로그레스 보급선의 도킹 실패와 충돌[6] 같은 아스트랄한 대형사고가 줄을 이었다.[7] 또한 이런 사건의 일처리에서 로스코스모스가 불곰의 기상으로 혼자 알아서 하다가 NASAESA보다도 늦게 사후 통보를 받는 사태가 빚어지며 미국 관계자들이 치를 떨기도 했다. 매년 2억달러씩 유지비가 들어 복구할 수가 없어 폐기될 예정이었으며 결국 2001년에 들어 폐기되었는데, 폐기되기 전에는 영화 스튜디오 등으로 쓰려고 민간에서 구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스페이스X같은 민간우주업체도 없었던 시절인데 도대체 어떻게 오가려 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너무 비싼 유지비 때문에 사는사람이 없었다. 끽해야 MirCorp라는 우주여행사가 급조[8]되어 소유즈 발사 비용을 지불하는 식으로 미르의 수명 연장을 꾀했으나 결국 로스코스모스는 이미 STS-88에서의 자랴-유니티 노드 도킹으로 건설이 시작된 ISS에 집중하기로 결정, 미르를 MirCorp에 넘겼다. 데니스 티토라는 미국 엔지니어를 첫 우주여행객으로 낚아서 우주여행 산업도 시작했다.[9] 그러나 MirCorp 역시 미국 정치인들이 미르에 손대는 것을 포주도 아니고 뭔 짓이냐고 까는등의 논란이 심했으며[10], 결국 2000년 6월 MirCorp의 펀딩으로 진행한 처음이자 마지막 유인 우주선 소유즈 TM-30이 세르게이 잘료틴, 알렉산드르 칼례리[11]를 태우고 미르를 떠난 뒤 MirCorp에 티토의 뒤를 이을 여행객들의 문의가 빗발치자 자기네 우주선 갖고 엉클 샘이 돈 버는 꼴을 못 봤는지 러시아는 그만 버려야겠다는 결론을 내리며 미르는 결국 버려졌다.[12][13] 그리고 2001년 3월 23일, 고도를 낮춰 대기권에 재진입시켜 싹 태워버리고, 남은 잔해는 태평양의 피지 근처 바다에 가라앉음으로써 임무를 끝냈다.

2 기록

  • 지구순회 : 15년간 9만 바퀴
  • 방문우주인 : 104명 (러시아 42, 미국 7, 기타 55)
  • 최고 탑승액 : 300억원 (일본.도쿄방송국이 1990년 창사 40주년 기념으로 아키야마 도요히로라는 기자를 1주일간 머물게 함)
  • 실험수 : 2만여 회
  • 사고횟수 : 1500여회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1999년 개봉한 호러 영화 바이러스의 오프닝 장면에서 역시 웅장한 장면으로 들어간다. 열대저기압연구 및 태풍 관측을 하며 지구, 남태평양에서 연락을 받고 있던 러시아 과학선 아카데미 블라디슬라프 볼코프(Academic Vladislav Volkov)[14][15]으로 태풍 레이아의 자료를 전송하려는데 전파형태로 온 외계인에 의해 본의 아니게 정거장이 점령된 상태에서 외계인을 과학선으로 옮기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미르호의 승무원들은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7일후 태풍을 만난 시스타호 선원들이 이 과학선을 만나게 되면서 비극이 시작된다.
  • 핀란드 영화 아이언 스카이에서는 사실 자폭하지 않았고, 정거장 중앙부가 레이저포로 개조되어 나치 우주선을 일격에 격파하는 능력을 보인다. 위엄넘치는 등장에 더해 울려퍼지는 러시아 국가와 각국 귀빈들의 박수로 인해 넘쳐흐르는 간지는 덤.

4 관련 문서

  1. 전쟁과 평화의 그 미르가 맞다. (Война и мир)
  2. 이는 마치 R-7 로켓을 개발할 때와 유사했다. R-7 로켓은 소련 로켓 엔진 기술이 미국에 비해 처절히 안습 할 때 "야 로켓 엔진 한개 가지고 딸리면 여러개 묶어서 크게 만들면 되잖아?"라는 위대하신 세르게이 코롤료프 옹의 빛나는 기지로 만들어진 물건이다. 물론 R-7 로켓의 개별 엔진을 다발로 묶을 때의 제어가 진짜 뭐 빠지게 힘드므로 코롤료프의 흰 머리는 늘어만 날 수 밖에 없었지만... 결국 사고가 터진 게 유인 달 탐사용으로 개발하던 N-1 로켓은 엔진 30개를 다발로 묶는 짓을 하다가 제어가 안되어 대폭발하고 소련은 결국 달 계획을 포기.
  3. седьмая долговременная орбитальная станция, 7번째 장기체류 궤도 정거장. 원래는 Мир라는 이름을 그대로 썼으나 조립된 전체를 칭하는 명칭과 구분하는 차원에서 базовый блок, 영어로는 코어 모듈이라 불렀다.
  4. квант, '양자(quantum)'라는 뜻
  5. 까놓고 말해 미르의 반절은 우크라이나에서 만든 셈이다. 크반트 1/2, 프리로다 등 미르를 구성하는 모듈 상당수는 하르코프에 소재한 하르트론 설계국에서 제작되었다.
  6. 게다가 이 사고는 도킹 시스템 이상이나 우주선 고장도 아닌 러시아 우주비행사의 수동 도킹 테스트 중 실수가 원인이었다.(...)
  7. 이 때문에 프로그레스가 정통으로 때려박은 스펙터는 다른 곳보다 일찍 버려야 했다.
  8. 경영진은 양키들이었으나 불곰국 우주산업 핵심인 소유즈 제작사인 에네르기야가 60% 지분을 갖고 있었다.
  9. 잘 알겠지만 티토 역시 끝내 미르에는 가지 못하고 ISS에 가게 된다.
  10. NASA 국장이 티토를 우주에 환장해서 러시아에 돈 갖다바치는 매국노라 까는등(...) NASA의 돈줄을 쥔 바버라 미쿨스키 의원을 비롯한 여러 정치인들이 이걸 못마땅하게 여겼다.
  11. 이들은 이후 ISS 엑스퍼디션에서도 활동한다.
  12. 이후 MirCorp 창립자 월트 앤더슨은 탈세혐의가 걸려서 9년간 감방에서 살아야 했다.
  13. 이 과정에서 엔싱크의 멤버 랜스 배스, 그리고 NASA 국장의 보좌관이었던 로리 가버가 각자 펀딩을 받아서 미르로의 우주여행을 도모했으나 모두 훈련 도중 계획이 취소되었다. 그리고 로리 가버는 이후 우주개발 민영화를 주장하며 존 케리, 힐러리 클린턴 등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의 우주개발 자문으로 활동한 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NASA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스페이스X 등의 민간기업들과의 협력을 이끌어냈...으나 SLS에 환장한 NASA에 일갈을 날린 뒤 그만뒀다.
  14. 정확히는 45,000톤급의 미사일 위성 추적용 과학선으로 길이 6,042피트에 2개의 증기터빈을 갖추었다. 최신 과학선답게 파라볼라 안테나가 3개 장착되 우주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할 정도로 당대 최고의 최첨단 과학장비를 탑재했으며, 최신 로봇공학기술을 갖춘 42개 연구팀과 5개 공장이 참여하여 총 300명의 승무원들이 탑승했다. 대신 자체 무장이 없고 해적등에 대비해 AKMRPG-7등 소형화기들이 탑재되어 있다.
  15. 소유즈 11호 승무원으로 활동하고 귀환 도중에 동료 승무원 2명과 함께 질식사했던 블라디슬라프 볼코프에게서 따온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