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열렬한 리하르트 바그너의 빠들을 일컫는 말.
좋은 의미, 나쁜 의미 모두에서 클래식 업계의 가장 열렬한 빠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상세
2.1 그들의 모습
물론 어느 예술가나 유명인이든 빠는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바그네리안들은 그 정도가 상당히 심하다(...)는 평이 중론. 거의 종교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평이 많다. 가장 강력한 증거 중 하나가 바그너의 악극을 독점 공연하는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에 가는 일을 바이로이트를 순례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베토벤이나 브람스의 빠들은 생가에 한번 방문할지언정 꼭 어느 특정 공연장에 가서 그들의 음악을 들으려는 시도는 하지 않는다. 그러나 바그네리안들은 바이로이트 축제극장 성지순례를 최고의 목표 중 하나로 삼는다.[1]
바그너 덕후가 되는건 결코 만만치 않다. 바그너의 악극은 기본 몇시간이 넘는 길이에 쉽게 들을수 있는 음악도 아니다. 니벨룽의 반지의 경우에는 4일에 걸쳐 무려 16시간이나 되는 길이를 자랑한다. 그 모든것을 이기고 바그너 악극에 빠져들어야 바그네리안이라 할만하다. 그래도 연주 계획도 없는 곡이 빨리 연주되기를 기다리는 사람보다는 낫다 니벨룽의 반지가 한국에서 초연되었을 때 바그네리안들이 근처 분식집에서 먹을거리를 사와서 공연 중간 휴식시간에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
이 바그너 덕후들은 지금 보면 후덜덜한 인사들이 수두룩하다. 당대 음악가들은 물론이요, 심지어는 전 세계를 파멸로 끌고간 아돌프 히틀러도 열렬한 바그네리안이었다. 히틀러는 바이로이트에서 바그너 악극을 감상하면서 프랑코가 보낸 스페인 국민진영의 사절을 만나서 스페인 내전의 지원을 협의했을 정도니(...)
2.2 바그너와 반유대주의
'바그너=반유대주의자' 딱지가 붙은 직접적인 계기는 바그너가 "음악 속 유대주의"("Das Judenthum in der Musik")라는 글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바그너는 노골적인 반유대주의를 드러내며 음악계에서 유대인들을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그너가 이 글에서 공격하려고 했던 진짜 목표는 멘델스존과 마이어베어였는데, 멘델스존은 '엄친아'라서 열등감을 느꼈기 때문이고, 마이어베어는 바그너에게 도움도 많이 주었지만 어쨌거나 잘나가는 음악가였다는 사실이 바그너가 출세하는데 걸림돌이 되었기 때문이다.(...) 마침 두 사람 다 유대인이라서 당시 반유대주의 정서를 업고 공격하기 딱 좋았다.
여기에 히틀러가 바그너 덕후였다는 사실까지 더해서 유대인들은 아직도 바그너라면 치를 떠는데, 그래서 이스라엘에서는 아직까지 바그너 오페라 전막이 공연된 일이 단 한 번도 없다. 이 사실은 이스라엘에서 바그너 음악이 연주된 일이 없다는 식으로 곧잘 와전되곤 하지만, 다니엘 바렌보임과 주빈 메타 등 유대인 지휘자들이 이스라엘에서 바그너 오페라 가운데 한 대목을 연주한 일이 있다. (그 뒷일은 상상에 맡긴다…;;)
사정이 이러니 바그너가 억울해할 괴담도 많은데,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유대인들을 가스실로 보낼 때 바그너 음악을 행진곡으로 연주했다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그러니까 이런 주장은 어디에도 증거가 없다.)
- 바그너 색깔론 떡밥 참고: #
사실 바그네리안 이전에도 '모차르티안'이라는 용어가 있었다고 하나 바그네리안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일종의 '신도'라는 느낌까지 갖는 낱말은 아니었다고 한다.#
2.3 저명한 바그네리안들
- 글렌 굴드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 아르투르 오네게르
- 아르놀트 쇤베르크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에른스트 쇼송
- 살바도르 달리
- 구스타프 말러[2]
- 안톤 브루크너
- 슈테판 말라르메
- 스기야마 코이치
- 오귀스트 르느와르
- 마츠모토 레이지
- 미시마 유키오
- 미야자키 하야오
- 존 윌리엄스
- 그리고 아돌프 히틀러
이 중 말러와 브루크너는 훗날 바그네리안 못지 않은 팬덤을 확보했고 이에 말레리안, 브루크네리안이라는 용어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