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규

1 대한민국소설가

제34회 이상문학상 수상
김연수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2009)
박민규
아침의 문
(2010)
공지영
맨발로 글목을 돌다
(2011)
이름박민규
출생1968년, 울산광역시[1]
학력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문예창작학과 학사
주요 작품지구영웅전설(2003)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2003)[2]
카스테라(2005)
핑퐁(2006)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2009)
더블(2010)[3]
눈먼 자들의 국가(2014)
주요 수상내역2003년 한겨레문학상
2003년 제8회 문학동네 신인작가상
2005년 제23회신동엽창작상
2007년 제8회 이효석문학상
2010년 제34회 이상문학상 대상
선박이 침몰한 '사고' 이자 국가가 국민을 구조하지 않은 '사건' 이다. - 눈먼 자들의 국가 中

장편소설 『지구영웅전설』로 2003년 문학동네 신인작가상을 받으며 등단,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의 성공으로 작가로 자리잡았다. 동 작품으로 제8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했다.[4] 단편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로 2004년 제 28회 이상문학상 우수상 입상, 이후 29, 32, 33회차 우수상에 입상하고

2010년 단편 「아침의 문」으로 제 34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하였다.[5] 또한 2007년 「누런 강 배 한 척」 으로 제8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했다.

단편 작품집으로 『카스테라』, 『더블』이 있으며, 장편소설로 『지구영웅전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핑퐁』,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6]가 있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는 영화화가 확정되었다. 하나 같이 기존 만화, 소설 등의 제목을 재탕한 것들이다. 제목 정하는 수고가 별로 들지 않았을 듯

박민규는

젊었을 적에 이런 저런 직업을 전전했고 또 밴드를 하기도 했다. 이런 경험이 단편소설에 묻어나 있다. 한때 베스트셀러라는 잡지의 편집장을 하면서 잡지에 정신나간 느낌의 칼럼을 쓰기도 했다. 또한 80년대의 문화적 코드를 작품 내에 활용하는 데 익숙하며(예컨대 단편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의 소재인 너구리 게임이라든가...) 심지어 무협소설의 형식을 차용하여 현실을 비판하는 류의 소설을 쓴 적도 있다.(그 이름 𪚥.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디씨 등에서 유행하는 문화적 코드를 가져오기도 하는 등(단편 "딜도가 우리 가정을 지켜줬어요"에서는 "오 내 어깨야"가 등장하기도. 흠좀무...[7])으로 하여 20대 중후반 세대에게는 재기발랄하여

읽는 재미가 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대체로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 안에 던져진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마술적 리얼리즘 형식의 비현실적인(혹은 초현실적인) 요소를 삽입하여 결말에서 여운을 주는 형태의 단편이 많다. 주로 단편집 『카스테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유형. 허나

다른 면으로는 그가 쓰는 글이 과연 문학인가 아닌가에 대해서 수많은 논쟁을 일으키는 작가이기도 하다. 등단을 하고 상은 줬지만, 이게 문학인가 싶어지는 글과 작가 특유의 기행 등이 합쳐진 결과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이후론

강제개행

꽤나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편

게다가 문장단위로 강제개행 할 뿐 아니라 그냥 갑자기 문장 중간에

강제개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엔 어디까지나 문장의 호흡을

위한점이긴 하지만 파격적이긴 한 셈. 게다가 최근 작에선 강제개행 뿐 아니라 를 다르게 한다든가, 을 다르게 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점점 여러가지 시도를 하는 중.

특히나 일반문학을 좋아하며 읽던 사람들이 박민규의 글을 보고 보이는 반응은, "이게 소설인가?"와 "오 이거 좋다!" 둘로 극명하게 나뉜다.[8] 요즈음에는 이런 식으로 소설적 문법 쓰기가 아닌 다양한 장르적 한계를 뛰어넘는 방식으로 쓰는 작가들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대표적으로 한유주), 초기 등장했을 때만큼의 파급력은 약해졌다고 해도 무방하다]

소설가 지망생이라면 습작을 위하여 읽어볼 필요는 있지만 함부로 따라하면 안될 작가이기도 하다. 박민규체라고 할 만큼

문체가 독특한데, "쓴다"라기 보다는

"말한다"라는 형식으로 이야기들을 나열하고는 한다. 가독성은 몹시 좋아졌지만 아직 자신만의 독자적인 영역이 완성되지 않은 습작생들이 휩쓸리게끔 손가락을 근질근질하게 만드는 단점 아닌 단점이(...).

참고로 그 특유의 기행적인 모습에 비해서 말재주는 없는 편이라고 한다. 말재주는 없지만 하고 싶은 말은 하는 편이다. 모 대학 작가와의 대화에서 강당 안에서 담배를 태우고 싶다는 이유로 사람들의 허락을 구하고서 피우고, 자신의 글을 쓰는 뮤즈로서 아내를 꼽는 등, 애처가적인 측면을 내보인다.

2015년 4월에 경향신문의 세월호 1년 기획에 을 게재했다.

이 글은 나무위키의 암묵적인 규칙으로 박민규체스럽게 쓰였

다.

특징을 꼽자면 화자의
외로움
을 꼽을 수 있겠는데, 쓸데없는- 아니, 쓸 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굳이 찾아야 있을
생각이 많은 20대 남성화자가 주로 등장한다

1.1 표절

대표작인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표절작이다.

원본과 박민규의 글 비교해보기

한 삼미 골수팬이 추억을 회상하는 식으로 90년대 후반 PC통신 시절의 스포츠 게시판에 실화 바탕의 글[9]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박민규는 이 글을 소재와 사건 전개 등에서 고스란히 표절하여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했다.
박민규는 이에 대해 은근슬쩍 얼버무리는 정도로 넘어가서 엄청난 성토를 받았으며, 박민규 자신은 표절임을 완전히 인정하지는 않고 소재 차용이라는 식으로 변명했다. 의외로 문학상을 수상한 유명작가의 글이 표절 같은 중죄를 저질러 놓고도 인맥빨로 은근슬쩍 덮고 넘어가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상기 펌글이 전부가 아니며, 저 정도로 끝이라면 표절이라고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ㅇㅇ야구라는 인천야구 골수팬 분의 원 사이트를 들어가보면 소설의 배경, 성장소설적 시점, 인천팀의 역사, 선수단의 변동 등을 아주 그대로, 훨씬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다. 소설을 뒤늦게 읽어본 야구팬들은 이 완벽한 표절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박민규의 소설이 원작 연재물과 얼마나 비슷했는지 PC 통신 시절의 야구팬들은 박민규가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발표했을 때, PC통신에 원작 글을 연재했던 글쓴이가 직접 자신의 글을 소설로 발표했구나(!?)라고 생각하여 오히려 문제 삼지 않았을 정도.

2015년에 표절을 인정하고 반성을 한다는 기사를 냈다. 기사보기 하지만 기사에서 박민규는 '야구에 대한 소설을 쓰려고 자료를 찾다가 해당 글을 보고 아이디어를 참조했을 뿐'이라는 정도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원본 글과 소설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듯,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애초 부터 원본 글을 바탕으로 재작성한 소설이지 부분적인 참조 정도로 변명할 수준이 아니다. 그러면서 글의 마지막에선 적반하장으로 표절논란을 예방하기 위해 작가를 지원하는 교육과 조정기구를 마련해야 한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도 박민규와 한겨레 출판은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박민규의 이름으로 계속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에 따른 소득도 박민규에게 귀속되고 있는 중이다.(원작자에게 경제적 보상을 하는 등 유효한 조치를 취한 바가 있다면 추가바람)

2 삼성 라이온즈 소속 투수

박민규(야구선수) 항목으로.

3 아프리카TVBJ

민크스 항목으로.
  1. 당시 경상남도 울산시.
  2. 후술하겠지만 작가가 표절을 시인한 작품이다.
  3. a권, b권 형식으로 2권 1세트로 나왔다.
  4. 이 소설을 읽은 영화 감독이 영감을 얻어 '슈퍼스타 감사용'이란 영화를 만들었지만 내용상 별 관련도 없고 판권을 사지 않았으므로 원작은 아니다.
  5. 이 때의 수상작 모음집이 가관인데, 수상작이 「아침의 문」, 자선 대표작이 「딜도가 우리 가정을 지켜줬어요」이 것 때문에 읽다가 변태로 오해받은 사람도 있다고 카더라, 문학적 자서전이 "자서전은 얼어 죽을"이다.
  6. M.J. 라벨의 피아노곡/관현악곡인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의 오마쥬. 작가 성향상 죽은 소녀를 위한 파반이나 레밀리아 스칼렛에 대한 오마쥬일 수도 있지만(...)
  7. '오 내 어깨야'의 경우는 단순히 문화적 코드를 가져온 것이 아닌 빌리 헤링턴의 팬(!)으로서 오마쥬형식으로 넣은 것이라고 한다.
  8. 박민규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재학 당시 시를 전공으로 배웠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 시적 기법을 이용하여서 소설을 쓴다. 시를 배운 사람이 시의 기법을 소설에 쓰는 경우는 드물다. 한강이나 이응준의 소설을 보면 기존의 소설 형태이지, 박민규처럼 무규칙 이종격투기를 하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9. 해당 PC통신은 이미 사라졌고, 엠엘비파크 등을 통해서 펌글은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