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화

1192188709.jpg

朴鍾和
1901년 10월 29일 - 1981년 1월 13일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의 소설가 · 시인 · 교육인이다. 아호는 월탄(月灘)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경성부(서울) 출신으로 1920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현재의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그 해 발간된 문학 동인지 문우에 참여하면서 문학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시 전문지 장미촌에 <오뇌의 청춘> · <우유빛 거리>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 1922년에는 문학잡지 백조의 발간에 참여했으며, 이때 <밀실으로 돌아가라>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이 잡지에서 그는 홍사용 · 박영희 등의 시인들과 만나게 되었으며, 이들은 곧 "백조파"라는 동인팀을 결성하기도 했다.

당초에는 현실과 거리가 먼 시를 발표했지만, 차츰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창작욕구가 높아지면서 시인으로서의 활동을 접고 소설가로 전향하게 된다. 1935년에 발표한 금삼의 피가 매일신보에 연재된 것을 시작으로, 1924년의 처녀시집 <흑방비곡>과 1946년에 낸 시집 <청자부>를 제외한 그의 모든 작품은 거의 다 역사소설이다. 금삼의 피는 1938년에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1945년에 광복을 맞이하던 시점에 그는 전 조선문학가협회 부회장을 맡았으며, 1947년에는 성균관대학교의 교수로 임명되었고, 서울시 예술위원회장을 겸임하기도 했다. 이후 1957년에 성균관대학교로부터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2년에는 교수를 정년퇴임했다. 1964년에는 문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그 뒤로도 통일원 고문, 통일 주체 국민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문화 훈장 대통령장과 국민 훈장을 받았다.

또한 이름난 문인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되기 마련인 작가 명의의 문학상을 살아 생전에 제정한 문학자로, 1966년에 정부로부터 제 1회 5.16민족상을 수여받으면서 상금을 받자, 그 상금을 걸고 자신의 호를 딴 월탄문학상을 만들었다. 1969년 마지막 작품인 <세종대왕>을 발표했으며, 그 뒤로도 문학계의 원로로 대접받았다. 1981년 1월 13일에 8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광복 전후의 한국 문단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으로 인해 한국의 순수문학이 크게 약화되어 있었고, 조선의 역사를 가르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민간의 설화나 일부 가문에 전해오는 사찬 역사서를 제외한 조정의 역사기록(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은 웬만큼 실력있는 집안의 인물이 아니면 접할 수 없었던 터라 국민들의 역사의식이 약해져 있었다. 이런 가운데서도 붓을 꺾지 않고 한국의 역사를 소설로 담아낸 그는 광복 이후의 한국 문단에 역사 소설의 부활탄을 쏜 몇 안되는 인물이었다. 물론 조선왕조실록같은 관찬사서를 열람하기 힘들었던 당시에 나온 작품들이라,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같은 관찬 역사서를 인터넷으로 쉽게 열람할 수 있는 오늘날의 우리들이 보기엔 고증이 잘못되었거나 잘못 알려진 사례를 그대로 인용하는 등의 자잘한 오류가 있긴 하지만, 월탄 박종화의 역사 소설은 그 자체로 한민족으로서 우리가 일제치하에서 잊고 있었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허나, 그 당시에도 단종이 이러한 시호로 불린 것은 이러한 적장자로서 계속 오른 숙종에 의해서라는 것이 그나마 알려졌을텐데도 이상한 자부심을 전달하는 것은 문학이 속한 문화가 가져야 하는 기득권에 대한 견제 및 감시를 포기한다는 점. 더 나아가 관련된 사실을 인지하는데, 위험성이 더 높아 민족이 바란다는 주체적인 자주성이 아닌 권력의 노예만 양성된 것은 부정하기 힘든 상황이다.

월탄 박종화의 소설들은 후에 미디어화된 작품들이 적지 않은데, 그의 첫 역사 소설인 금삼의 피는 1961년에 <연산군>이란 제목의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그 후에는 다정불심이 영화로 제작되었다. 두 영화 모두 감독은 신상옥이었다.
1966년 작품인 양녕대군과 1969년 작품인 세종대왕은 1996년에 큰 인기를 누린 KBS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의 베이스로 미디어화되었고, 2001년 SBS에서 방송되어 큰 인기를 누렸던 대하드라마 여인천하도 월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방송된 SBS의 대하드라마 왕의 여자 또한 월탄의 역사 소설인 <자고 가는 저 구름아>를 원작으로 만들어졌다. 2005년부터 2006년에 걸쳐 방송된 MBC의 대하드라마 신돈 역시 월탄의 역사 소설인 <다중불심>을 원작으로 만들어졌다.

삼국지연의의 번역으로도 유명하다. 이문열, 황석영 역이 요즘 세대에게 가장 유명한 번역이라면 한 세대 정도 전에는 가장 유명한 번역이 박종화의 월탄 삼국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월탄 박종화의 사돈이 바로 <운수 좋은 날>의 작가인 빙허 현진건으로, 박종화의 외아들 박돈수는 현진건의 막내딸인 현화수의 남편이다. 즉, 박돈수는 현진건의 사위가 된다.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박동건씨가 바로 이 부부의 아들이다(박종화에겐 손자, 현진건에겐 외손자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