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군의 약장에 해당하는 것을 일본에선 방위기념장(防衛記念章)이라고 한다. 다른 군대의 약장과의 차이점은 타군에선 훈장(메달)과 약장을 부여하고 훈장을 패용하지 않을 시에 간이로 약장을 패용하는데 비해 자위대의 방위기념장에는 훈장이 없고 약장만이 존재한다. 그때문에 타국군과의 교류에서 예복을 착용할 때 훈장을 패용할 일이 있을 때 불편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전후에 자위대의 건군기에 들어온 일본군 출신들은 일본군의 약장을 패용했는데 이는 위법이었다. 일본군 출신들이 사라진 뒤에 순수하게 자위대만을 경험한 인원으로 자위대가 구성되자 1982년 4월 1일에 방위기념장 제도가 생겼다. 처음엔 15종이 존재했다. 특징으로는 현직 자위관만이 패용할 수 있으며 자위대원이나 예비자위관, 즉응예비자위관, 예비자위관보, 방위성 직원 같은 사람들은 패용할 수 없다. 자위관이 퇴직해 예비자위관이 되어도 패용할 수 없다. 다만 서류상에는 해당 방위기념장을 받았다고 나온다.
2 종류
방위기념장 | 번호 | 설명 |
1호 | 특별상사(賞詞)[1] 수상자 | |
2호 | 1급상사 수상자[2] | |
3호 | 2급상사 수상자[3] | |
4호 | 자위대 행동[4]에 나가 현저한 공적을 세웠거나 기타 구조 업무 등으로 3급상사를 수상한 자. | |
5호 | 차량이나 항공기 등을 일정시간 이상 무사고 운행하여 3급상사를 수상한 자. | |
6호 | 기술발명/업무개선하여 3급상사를 수상한 자. | |
7호 | 일반훈련 등에서 우수하여 3급상사를 수상한 자. | |
8호 | 4호의 조건에서 4급상사를 수상한 자. | |
9호 | 5호의 조건에서 4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0호 | 6호의 조건에서 4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1호 | 7호의 조건에서 4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2호 | 4호의 조건에서 5급상사를 수상한자. | |
13호 | 5호의 조건에서 5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4호 | 6호의 조건에서 5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5호 | 7호의 조건에서 5급상사를 수상한 자 | |
16호 | 안전공로자표창/방재공로장표창 부대 해당 업무자 | |
17호 | 특별상장수상부대 해당 업무자 | |
18호 | 제1급상장수상부대 해당 업무자/대규모 재해파견부대 업무 종사자 | |
19호 | 육장/해장/공장 지휘관(부대장) 경험 | |
20호 | 육장보/해장보/공장보 지휘관 경험 | |
21호 | 1등육좌/1등해좌1일등공좌 지휘관 경험 | |
22호 | 2·3등육좌/2·3등해좌/2·3등공좌 지휘관 경험 | |
23호 | 위관급 간부 지휘관 경험 | |
24호 | 방위성 내부부국[5] 근무자 | |
25호 | 통합막료감부 근무자 중 방위대신이 정한 자. 단 통합막료학교는 제외. | |
26호 | 육상막료감부, 해상막료감부, 항공막료감부 근무자 | |
27호 | 구 통합막료회의 사무국[6] 및 정보본부[7] 근무자 | |
28호 | 방위성정보본부 근무자 중 방위대신이 지정한 자 | |
29호 | 방위성기술연구본부 근무자 | |
30호 | 방위성장비시설본부 근무자 | |
31호 | 방위감찰본부 근무자 | |
32호 | 25년 근속자 | |
33호 | 10년 근속자 | |
34호 | 외국 근무자[8] | |
35호 | 소말리아 해적 관련 근무자 | |
36호 | 통합임무부대[9] 참여자 | |
37호 | 국제 공헌 업무 파견자 중 방위대신이 정한 자[10] | |
38호 | 자위대 인도양 파견자 | |
39호 | 이라크 파견자 | |
40호 | 국가행사 업무 참여자[11] | |
41호 | 외국과의 연합훈련 참여자 |
간혹 특정 방위기념장을 복수로 받은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데[12] 이런 경우에는 기장 위에 은색 벚꽃과 금색 벚꽃이 추가된다. 아래의 예시는 12호에 해당한다.
원본(12호) | |
동일 방위기념장을 2개 받은 경우 | 은색 벚꽃 1개 |
동일 방위기념장을 3개 받은 경우 | 금색 벚꽃 1개 |
동일 방위기념장을 4개 받은 경우 | 은색 벚꽃 2개 |
동일 방위기념장을 5개 이상 받은 경우 | 금색 벚꽃 2개 |
- ↑ 상사는 찬사를 뜻하는 일본어로 여기서는 상훈의 이름이다. 2014년까지 특별상사 수상자는 없다.
- ↑ 현저한 공적이 있는 자위관에게 수여. 자위관으로 올림픽에 나가 금메달을 딸 경우에도 수상한다.
- ↑ 현저한 공적이 있는 자위관에게 수여. 자위관으로 올림픽에 나가 은/동메달을 딸 경우에도 수상.
- ↑ 방위출동(무력방어), 치안출동(계엄령), 재해파견 등
- ↑ 한국으로 치면 국방부의 부서들이다.
- ↑ 통합막료회의는 통합막료감부의 전신으로 2007년에 폐지되었고 통막회의 사무국장은 통합막료부장이 되었다.
- ↑ 현재의 방위성정보본부
- ↑ 방위주재관이나 기타 해외 업무자 중 방위대신이 정한 자.
- ↑ 자위대의 합동부대로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파견된 부대이다.
- ↑ 1991년 걸프전 파견 이후 생겼다.
- ↑ 덴노의 의전이나 올림픽, 월드컵, 국제회담 등.
- ↑ 2014년까지는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미야케 요시노부(三宅義信)와 오하라 히토미(小原日登美)가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