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관


1 자위대 소속의 제복요원

800px-Nakasone_and_Reagan_reviewing_troops_at_arrival_ceremony_at_Palace_in_Tokyo%2C_Japan_May_4%2C_1986.jpg
1986년 도쿄 황거에서 자위대의 유일한 의장대인 육상 자위대 동부 방면 경무대 제 302 보안 경무 중대원들로 편성된 특별 의장대[1] 로부터 사열을 받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自衛官
Self-Defense Official


군인에 가깝지만 법적으로 군인은 아닌 일본공무원. 일반적으로 방위성직원으로 분류된다. 방위성 내에서는 제복조(制服組)란 식으로 무관이라고 구분된다. 자위대원보다는 좁은 개념이다. 자위대원은 자위관을 포함하며 자위대에서 근무하는 군무원민간인을 포함한다. 자위대원은 방위성의 직원이 되며 방위성엔 자위대원 외에 한국의 국방부 공무원과 비슷한 문관들이 존재한다. 자위관자위대원방위성직원인 셈이다.

자위관은 크게 간부(장교), 준사관, 조(曹, 부사관), 사(士, 병)로 구분되며 간부는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춰야 하며 그 외에는 중졸 이상의 학력이면 가능하다. 의무나 군악 등 일부 특기의 부사관을 제외하면 부사관은 병 과정을 거쳐 진급한다. 병의 경우엔 대졸자가 30% 수준이라고 한다. 소방수경찰을 지망하는 사람들이 경력을 쌓기 위해 자위관으로 오기도 하는데 자위관의 허들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대학생이 학비 충당이나 아르바이트로 오는 경우도 있다. 자세한 부분은 자위대/교육훈련을 참고할 것.

2014년 7월 1일에 아베 신조가 집단자위권을 지닌 보통국가를 천명함에 따라 이들도 곧 정식 군인이 될 듯 하다.

1.1 개요

소속 자위대에 따라서 육상자위대면 육상자위관, 해상자위대면 해상자위관, 항공자위대면 항공자위관으로 불린다. 각 자위대의 병은 교육대를 거친다. 육자대는 사단마다 신대원교육대가 있고 해자대는 각 지방대 다섯 곳 중 네 곳, 공자대는 두 곳이다. 간부는 간부후보생학교(OCS) 등을 거쳐 선발되며 모든 자위관이 방위대학교 출신은 아니다. 방위대 출신은 한국의 사관학교 급의 엘리트이다. 보통 방대 출신이라 불리며 한국군참모총장에 해당하는 막료장이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통합막료장은 1990년대부터 방대 출신들이 독점하고 있다.

자위관의 숫자는 24만명 수준으로 여성은 12,000명이다. 현역 외에 한국예비군에 해당하는 비상근 예비 자위관과 즉응 예비 자위관 등이 있다. 군대는 아니지만 국제법에선 사실상 자위대를 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외국에선 군대의 구성원으로 보며 이는 한국군도 그렇다. 일본에서 통합막료장이 한국을 찾아오면 계룡대에선 합참의장이 응대하여 사실상 군으로 보고 있다. 자위관으로 복무하는 자는 총리나 각 (한국 정부의 각 에 해당)의 대신(한국의 장관) 이 될 수 없다. 그리고 선거에 피선거자로 출마할 수도 없다. 다만 예비자위관 등은 지방선거 등이 가능하다. 국회의원이나 고위 공무원 등은 되도 잘릴 수도 있다고. 일본에서도 사례가 없어 두고봐야 할 일이다. 문민통제로 인해 자위관 고위 장성 출신 중에 방위대신(국방장관)이 된 사람은 없다. 모리모토 사토시(森本 敏)의 경우 3등공좌(공군 소령) 출신으로 방위대신을 지내긴 했지만 전역한지 30년이 넘은 후였다. 이 정도면 민간인이라 봐도 무방할 듯. 미국도 전역 후 10년이 지나야 공직에서 민간인 취급하니.

1.2 처우

정식 군인이 아닌 애매한 신분 때문에 일본 사회에서 사생아 취급을 받았다. 안보투쟁이 활발했던 1950년대 말이나 1960년대와 자공시대 등의 1970년대까지 자위대는 일본의 좌익층에게 상당한 비난을 받았고 오키나와에선 특히 이미지가 나빴다. 1980년대에 버블 시대에는 일본 경제의 팽창으로 자위관의 인기는 더욱 낮아졌으나 1990년대 들어 경기가 나빠지고 각종 자연재해 등에 자위대가 적극 개입하면서 이미지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했다. 특히 자위관의 정치적 중립이 상당히 엄정하게 지켜졌고 일본 사회 내에서는 일단 자위대가 일본군의 유산을 청산해 냈다 생각하는 것도 한 몫 한다. 거기다가 정치인들이 자위대에 무게를 실어주는 분위기도 있기 때문.

그러나 이는 자위대에 대한 피상적인 수준의 호감도에 불과하며 자위관의 처우는 좋지 못 하다. 봉급이 낮고 기지에서 근무하며 일정 기간마다 순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결혼 대상으로 기피된다. 자위관 중에 외국인 아내를 둔 인원은 800명에 이른다. 일본도 한국처럼 외국인 신부를 맞는 비중이 커지고는 있지만 자위관들은 기본적으로 국가 안보 문제를 다루는 인물들로 최대한 내국인과의 결혼이 권유된다. 규모는 육상자위대가 500명, 해상자위대가 200명, 항공자위대가 100명 수준으로 비례상 해자대가 제일 높다. 수상함이나 잠수함 근무를 해야 하는 악조건 때문으로 보인다. 외국인 아내 중 70%가 중국인이다. 그 다음은 필리핀인, 한국인 순서. 2007년에는 중국인 아내를 둔 해상자위관이 간첩 혐의로 수사를 받았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 미군의 경우 외국인과 결혼할 경우 국무부에 결혼 90일 전까지 서류를 제출하고 상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군은 아예 군인과 외국인의 결혼을 금지한다. 관련기사

거기다 전역한 자위관의 경우에 제대군인으로 대접하는 것보다는 자위대에서 버티질 못 해서 나왔다는 둥 의지드립에 가까운 시선이 사업체에서 빈번히 나타난다. 물론 의지드립 자체는 일본 사회에서 흔히 벌어진다. 당장 1990년대 이전에도 회사에서 고강도 노동을 시키는 데 못 견디고 나오면 그 자체로 사회적 매장인 경우가 허다했으니까(다만 현재는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충성심도 위축되어 좀 나아졌다) 한국이 워낙 의지드립을 잘 쳐서 아프면 쉬게 해주는 식으로 최소한은 배려하는 일본 사회를 이상하게 여기기 쉽지만 전세계적인 기준으로 보면 일본도 상당히 의지를 중시하는 사회. 이런 부분은 일본 사회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한국과 비교하면 일본 내 자위관의 이미지는 한국에서 해병대원을 보는 이미지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일반 직업에 붙지 못 해서 들어갔다 이런 인식도 엄청 세다. 미군처럼 '문제아들이 들어간다' 그 정도는 아니지만 민간에서 경쟁률이 떨어지는 사람들이긴 하다. 일본은 징병제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고졸이나 대졸과 동시에 직장인이 되고 그 대열에 끼어들지 못 하면 니트나 프리터가 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자위관은 대열 밖으로 본다. 근데 일본이 하도 불황이다보니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당시만 해도 자위대에 남은 인간들은 민간에서 막장으로 봤지만 현재는 자위대 지원율도 꽤 높아졌고 연장복무 신청도 많은 편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여기서 얘기하는 인식은 자위관후보생에 대한 인식에 가깝고 간부는 얘기가 전혀 다르다. 부사관과 장교들은 최소 53세의 정년이 보장된다. 파일럿이 될 수 있는 항공학생이나 육조항공조종학생(육조=육군 부사관) 같은 과정은 인기가 높고 의무복무 이후 민간에서 간호사가 될 수 있는 고등간호학원 등의 인기는 높은 편이다. 이 고등간호학원은 2014년부턴 폐지되서 방위의과대학교 내의 간호학과가 된다. 원래도 방위의대 예하부대이긴 했지만. 고등간호학원은 2년여의 교육기간 동안 대우를 받아 월급도 받는다.

1.2.1 월급

한국군과 마찬가지로 선지급이다. 한국군이 매월 10일에 지급하는데 비해 자위대는 18일에 지급한다.

편의상 1호봉만 기재한다. 한국군 대장과 중장은 호봉이 없다. 자위대의 각군 막료장은 대장에 상당하지만 급여는 중장과 같이 받는다. 아래는 각종 수당 붙은 거 말고 모두 기본급을 뜻한다. 위관이나 부사관의 경우엔 무슨 정신인진 몰라도 145호봉까지 있다. 평균수명 200세를 대비한 준비인가.. 출처의 맨 밑에 있다.

단위는 엔이다. 아무래도 일본이 경제 수준이 높다보니 한국보다는 급여가 높다. 다만 면세 혜택이 없다. 이점은 자위관들도 몹시 아쉬워 하는 상황. 대장에서 그나마 비슷해지고 그 외에도 전반적인 대우는 좋은 수준. 다만 병의 급여는 한국군이 징병제임착취 수준으로 적은것을 고려해야 하므로 오히려 단기 부사관/장교들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

구분장보(1종)장보(2종)1좌(1종)1좌(2종)1좌(3종)2좌3좌
대장중장소장준장대령중령소령
1호봉(엔)720,000521,700470,200456,600400,500346,700319,000
KRW 환산(2014.2.12 기준)745만540만486만472만414만359만330만
한국군(원)6,808,6006,687,3003,743,5003,524,5002,838,0002,514,3002,049,700
구분1위2위3위준위조장1조2조3조
대위중위소위준위원사상사중사하사
1호봉(엔)269​​,900244,000236,000227,300221,500221,300212,700189,600
KRW 환산(2014.2.12 기준)279만252만244만235만229만229만220만196만
한국군(원)1,622,0001,246,9001,130,5001,493,1002,156,8001,455,8001,158,800970,700
  • 간부후보생 : 원사 상당이나 민간인.
  • 조후보생 : 병을 거치는 일반조후보생과 달리 고등공과학교는 학생과정에서 병을 거친 것으로 쳐서 훈련기간에 상병에 상당하는 월급을 받으며 의무 특기나 군악 등 하사부터 임용되는 특수 기술부사관의 경우도 상병 상당의 월급을 받는다.
  • 자위관후보생 : 훈련병에 상당하나 민간인이다. 한국군의 민간부사관에 해당하는 일반조후보생도 병 과정을 거쳐 부사관으 로 진급이 7할 이상 약속된 형태기 때문에 병 수준으로 일단 대우를 받는다.
구분사장1사2사간부후보생 [2]조후보생자위관후보생
상병일병이병사관후보생부사관후보생훈련병
1호봉 엔174,300159,500221,500174,300125,500
KRW 환산(2014.2.12 기준)180만165만229만180만129만
한국군(원)149,000134,600121,700323,200133,800112,500
구분4학년3학년2학년1학년
108,300
KRW 환산(2014.2.12 기준)112만원
한국군(원)406,000323,200291,900259,700
구분3학년2학년1학년
고등공과학교생도(엔)94,900
KRW 환산(2014.2.12 기준)98만
항공과학고등학교학생(원)133,800106,20084,400

1.2.2 각종 수당

자위대는 6월과 12월, 연 2회에 상여금을 지급한다. 일병(2사)이 39만 엔 수준이다.

그 외 추가수당으로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나오는 부양수당(扶養手当), 한국의 격오지에 해당하는 지역수당(地域手当), 홋카이도 등 추운 지방의 한랭지 수당(寒冷地手当), 해자대의 항해수당(航海手当), 공자대의 항공수 수당(航空手当等) 등이 있다.

퇴직금은 육자대가 2년을 마쳤을 경우 54만 엔이며 3년을 복무하는 해자대와 공자대는 90만엔 수준이다. 2임기(4년)를 복무한 육자대원은 138만엔을 퇴직금으로 받으며 2임기(5년)를 복무한 해자, 공자대원은 143만엔을 받는다.

1.2.3 순직보상금

자위대는 교전 경력이 없으므로 따로 전사자 보상금은 없으며 순직의 경우 최대 900만엔까지 보상금을 지급한다.

1.2.4 정년

계급한국어정년
막료장대장62세
중장60세
장보소장/준장//
1좌대령56세
2좌중령55세
3좌소령//
1위대위54세
2위중위//
3위소위//
준위준위//
조장원사//
1조상사//
2조중사53세
3조하사//
사장상병임기 만료시
1사일병//
2사이병//

자위대 부사관의 경우엔 장교로 40대 후반에 승진하는 케이스가 꽤 많다. 아래의 자위관 고령화에서도 다루는 부분이다. 특히 하사도 53세까지 정년이 보장된다. 즉 일단 장기만 결정되면 진급 안 해도 53세까진 무조건 간다는 것이다. 하사가 40세, 중사가 45세, 소령이 45세까지 진급하지 못 하면 나가야 하는 한국군과 비교하면 엄청 널럴한 것이다. 진짜 하사만 되면 일단 50대까지 보장이 되고 연금도 나오니 세금도둑이란 얘기를 듣는 것.

하지만 이건 자위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전반적인 처우를 고려한 측면이 크고, 또한 50대까지 보장된다고 쳐도 현대 사회에서는 어차피 어느 정도 고령이라고 해서 체력과 근력 차이가 크지 않음을 고려해야 한다. 당장 한국 경찰만 해도 이 점을 고려해서 연령제한을 40세로 늘렸다. 그리고 무엇보다 서민층 일자리 경쟁에 있어 일본은 한국보다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자위대에 사람을 끌어들이려면 그만한 대우는 반드시 필요한 게 사실이다. 현재 한국군도 장교는 대위 이상, 부사관은 상사 이상을 60세로 정년 연장하려는 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통과할지는 미지수지만(...) 대위로 60세까지 버틸수 있게 된다면 대위가 사단장 쪼인트 까는 진풍경을(...)

1.2.5 진급속도

다음 계급으로 진급하기 위한 최저 근무 기간은 아래와 같다.

  • 소위>중위: 2년
  • 중위>대위: 3년
  • 대위>소령: 4년 반-5년
  • 소령>중령: 4년
  • 중령>대령: 5년
  • 대령>소장: 6년
  • 소장>중장: 4년

막료장의 경우 일단 급여가 중장과 같은 체계기 때문에 최저 근무연수는 없지만 보통은 중장 중에 최선임이 한다. 이론적으로 40대 후반에 소장으로 진급하는 게 가능한데 방대 출신 엘리트들은 실제로 그렇다.

1.3 일본군과의 연계

GHQ는 일본군 장교 출신들이 들어오지 못 하게 제한했다. 이 시기에 생겨난 말이 내무군벌이다. 그런데 경찰예비대와 해상보안청이 1950년 한국전쟁으로 주일미군이 한반도로 가면서 치안공백이 생기자 규모를 확장하면서 사관학교 미임관자가 들어올 수 있게 조치를 풀었고 그 후엔 더 확대하여 대좌(대령)급까지 들어온 바가 있다.

초반에 일본육군사관학교일본해군병학교,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출신들이 꽤 있었다. 물론 최초에는 자위대 간부에서 일본군 장교 출신인 사람보다 출신이 아닌 사람이 더 많긴 했다. 추방령 때문에 입대가 안 됐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 선발한 간부 1,000명은 일본군 장교나 직업군인(부사관) 출신들을 배제했다. 그러다가 1951년에 6월 1일에 일반간부후보생 1기를 받아들이면서 종전 당시 사관생도였거나 위관/대령을 제외한 영관급이었던 인물들의 입대를 허용했고 규모는 245명이었다. 그 해 채용된 영관급은 405명, 위관급은 407명이었다. 그 후 1950년대 중후반까지 계속 일본군 출신들이 나이 제한에 걸리기 전에 입대한 탓에 초기 자위대 간부의 상당수는 일본군 장교 출신이었다. 일본군이 아닌 추천으로 입대한 간부들은 이른바 내무군벌로 일본군 파벌과는 따로 놀았다. 해상자위대는 일본군 해군 소해부대가 해상보안청으로 그대로 인수된 탓에 그런 과정도 없고 그대로 일본군이 이어졌다. 항공자위대는 약간 애매하다. 종전부터 창설까지 텀이 9년으로 다른 군종보다 늦게 생겼고 구 일본군에 전신이 없었기 때문.

병까지 포함한다면 자위대에 일본군 출신은 더 많아지긴 하겠지만 일반 병의 경우엔 일본이 징병제를 유지했던 탓에 구 일본군의 추방에서 제외됐다.

현재는 전후 세대들이 다 갈음했고 일본군 출신들은 나이가 들어서 있을 수가 없다.

1.4 군인과의 비교

자위관은 장관급 장교-영관급 장교-위관급 장교-준사관-부사관-병이란 군대식 체계를 따르고 있으며 장교를 보면 경례를 해야 한다. 장교에게 무례할 경우 영창은 존재하지 않지만 징계를 내리는 건 가능하다.단,여기에서 말하는 징계는 일본 공무원 징계 기준을 적용받게 되기에 처벌 수위는 그닥 높지 않으나 감봉 조치는 꽤나 아프다고 한다.

법무관이 없다.일단 자위대 내에는 법무관이란 직책은 존재하는데 군사법원을 중심으로 업무를 보는 인원이 아니라 그냥 일반 회사 법무팀처럼 자위대원들에 연관된 각종 법적인 문제를 처리해주고 자문해주는 수준의 일만 하는 사람이며. 또 군종병과가 존재하지 않으며 경무과(警務科)란 헌병 기능이 있으나 제한적이다.자위관에 대한 사법처리를 할 때 앞서 말한 것처럼 군 형법도 군사 법원도 없이 민간에 사건을 넘겨야 하기 때문에 그냥 이들은 범죄자를 체포하면 그걸 관할 경찰,검찰에게 넘겨주는 일만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자위대에선 총살당한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1.4.1 장교의 고령화 현상

5221.gif
맨 위의 도표는 2007년 육상자위대의 연령별 계급 구분이다. 소위부터 장군까지의 인원을 색깔별로 구분했는데 53세까지 소위, 중위, 대위가 있는 걸 볼 수 있다. 좌하단의 미군은 근속연수로 구분해놨는데 근속연수가 10년이 넘어가면 소위나 중위가 전역하거나 진급하게 되고 우하단의 영국군 역시 30세를 넘어가면 마찬가지이다. 그에 비해 자위대는 부사관들이 장교로 뒤늦게 진급하는 경우가 많고 만 50세 이전까지 그게 가능해서 40, 50대 위관급들이 널린 것이다.

다만 현대 사회에서는 50대 이후에도 자기 관리 능력에 따라 어느 정도의 체력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걸 무조건 비판할 수는 없다. 게다가 오랜 세월에 걸쳐 쌓인 경험은 오히려 소부대 전투 지휘에 매우 유리할 수도 있으며, 절대다수가 20대 초중반인 한국군과 달리 자위대 사들 중에서는 30대가 적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고령자의 지위로 누를 필요도 존재한다.

1.5 구성

한국군의 장교에 해당하는 급은 간부라고 한다. 준사관의 표현은 동일하며 부사관은 조(曹)라고 하며 은 사(士)라고 한다. 부사관과 병을 묶어 조사(曹士)라고 하는데 이는 영어의 enlisted에 해당한다. 장교를 세분화하면 위관은 동일하며 영관은 좌관으로 표시하며 장성급은 장(將)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군무원에 해당하는 이들은 사무원이라고 한다.

항공자위대의 경우엔 준사관까지 enlisted에 포함하여 본다.

1.5.1 계급

자위대/계급을 참고할 것.

1.5.2 병과

자위대/병과를 참고할 것.

1.5.3 제복

제복/자위대를 참고할 것.

1.5.4 주요 장성급 보직

구분OO막료장(대장)장(중장)장보(소장) 1종장보(소장) 2종장성급 합계
합동부대142512
육자대1251683125
해자대11593762
공자대11384062
합계45735165261

일본에선 사령부란 군 용어 대신에 집단이란 표현을 쓸 때가 많다.

통합막료장(한국의 합동참모의장)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장(한국의 육군참모총장)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장(한국의 해군참모총장)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장(한국의 공군참모총장)
통합막료부장(한국의 합동참모차장), 통합막료감부운영부장, 통합막료학교장, 정보본부장, 방위대학교 간사 등 5명.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부장(한국의 육군참모차장), 방면대 총감(5명, [3]), 중앙즉응집단사령관, 사단장(9인), 육상자위대간부학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장, 공급통제본부위원장, 육상자위대연구본부장 등 육자대 25명.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부장(한국의 해군참모차장), 자위함대사령관, 호위함대사령관, 잠수함대사령관, 항공집단사령관, 교육항공집단사령관, 지방총감(5명, [4]), 해상자위대간부학교장 등 해자대 15명.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부장(한국의 공군참모차장), 항공총대사령관, 항공총대부사령관, 항공방면대사령관(4명, [5]), 항공지원집단사령관, 항공교육집단사령관, 항공개발실험집단사령관, 항공자위대간부학교장 등 공자대 13명.
준장이 존재하지 않는 자위대의 특성상 1과 2로 종류를 나눠 구분한다. 1이 소장, 2가 준장에 가깝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여단장이 소장급인 건 사단장이 중장급인 자위대의 기형적인 계급 구조 탓이다.
1종
방위연구소부소장(소장은 민간인이 한다), 통합막료감부총무부장, 방위계획부장 등 3명.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감부 방위부장, 인사부장, 교육훈련부장, 장비부장, 방면총감부 막료장(5인), 여단장(6인), 자위대후쿠오카병원장 등 16명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 방위부장, 장비부장, 소해대군사령관, 자위함대참모장, 요코스카/사세보지방총감부막료장, 해상자위대제1술과학교장, 자위대요코스카병원장 등 8명.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 방위부장, 장비부장, 항공지원집단부사령관, 항공교육집단참모장, 항공구난단사령관, 항공자위대보급본부부본부장, 자위대기후병원장 등 8명.
2종
방위대학교훈련부장, 방위교육학군장(방위대학교의 학장 중 하나), 방위교육학군지휘/전사교육실장, 방위감찰본부감찰관, 장비시설본부 부본부장, 정보본부정보관(3인), 미국수석방위주재관(국방무관을 말한다), 통합막료감부지휘통신시스템부장, 수석후방보급관, 통합막료감부운영부장, 자위대정보보전대사령관 등 13명.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감부 감리부장, 운영지원/정보부장, 위생부장, 장비차장, 감찰관, 법무관, 방면총감부 막료차장(5인), 부사단장(9인), 중앙즉응집단부사령관, 단장[6](6인 추정), 경무대(헌병단)장, 중앙정보대장, 중앙업무지원대장, 각 직종학교장[7](10인 추정), 중앙회계대장, 자위대체육학교장,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육상자위대고등공과학교장[8], 육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통신과장, 특과장, 기갑과장, 보급통제본부 부본부장, 보급처장[9](?인), 연구본부간사/통합연구부장, 자위대 도쿄/오사카/오키나와지방협력본부장[10](3인), 육상자위대 센다이/구마모토/한신병원장(3인), 자위대중앙병원제1치과부장 등 수십명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감부 총무부장, 총무부부장, 지휘통신정보부장, 기술부장, 수석위생관, 오미나토/구레/마이즈루 지방총감 부막료장(3인), 호위함대사령부 막료장, 항공집단 막료장, 군[11] 사령관(9인), 경무대(헌병단)장[12], 한신기지대 사령관, 연습함대사령관, 개발대군 사령관, 잠수의학실험대 사령관, 해상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 해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술과학교장[13] (3인) 등 수십명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감부 총무부장, 운용지원/정부부장, 기술부장, 감리감찰관, 수석위생관, 항공총대사령부막료장, 항공방면대부사령관(4인), 서남항공혼성단부사령관, 항공단[14]단장, 경무대(헌병단)장[15], 기지경계관리단사령관, 제83항공대사령관, 항공안전관리대사령관, 항공의학실험대사령관, 제1운송항공대사령관, 항공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각 술과학교장(5인), 각 보급처장.

더 자세한 것은 자위대/장관급을 참고할 것.

1.6 자위대/생활

1.7 군종별 자위관

자위대군종은 셋으로 나뉜다. 육군에 해당하는 육상자위대해군에 해당하는 해상자위대, 공군에 해당하는 항공자위대가 있다. 자위관 중 최선임은 통합막료장이다. 역대 통합막료장과 군종별 막료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

간부 외에 주임원사도 있다. 여기를 참고할 것.

1.7.1 육상자위관

800px-JGSDF_22nd_Inf._official.jpg
육상자위관의 최선임은 육상막료장이다.

육상자위대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주일미군한반도로 이동하면서 발생할 공백을 막기 위해 소집된 경찰예비대에서 시작된다. 1952년 보안대로 개칭한 뒤 1954년에는 육상자위대가 된다. 해상자위대에 비하면 일본군 육군과의 연계는 낮은 편이고 초기에는 일본군 장교 출신의 입대를 금지했다. 그러나 군사 교육을 받지 못 한 비군인 출신 간부들이 조직 등에서 문제를 일으키자 일본군 장교 출신의 입대를 허용해 군정, 군령, 교육 등에서 상당 부분 일본 육군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일본 육군의 친목조직 해행사(偕行社)가 육상자위대 행사를 지원했고 육상자위대에서도 부대 행사 등에 일본군 장성 출신을 초대하고 그랬다. 현재 해행사에는 자위대 출신의 간부들도 전역 후 가입이 가능하다.

군가의 일부도 계승되고 있으며 주둔지 등의 부대 번호를 일본 육군 번호랑 최대한 유사하게 매겼다. 다만 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에 막료장들 대다수가 초대를 제외하면 군 출신인데 비해 육상자위대에선 내무부 출신의 각료들이 꽤 오래 잡았다. 이들을 내무군벌이라고 부른다.

1.7.2 해상자위관

800px-Japanese_sailors_jmsdf.jpg
해상자위관의 최선임은 해상막료장이다.

1945년 일본군이 무장해제되었으나 바다에 부설된 기뢰 등으로 인해 소해부대는 유지되었다. 1946년 미 군정은 일본 해군 소해부대를 바탕으로 해상보안청을 설치했다. 이들은 군사용이 아니었기에 배수량이 무장 등에서 제한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 해군 요원들은 영어에 능했고 파벌에서 겉돌았던 인물들을 중심으로 제2복원성(구 해군성)에 인원들이 꽤 남아서 미합중국 해군 인원들과 교류하였다. 해군 특유의 코스모폴리탄적인 기질이 작용했다고 일본 해상자위대는 자평하고 있다.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후생성 제2복원국(제2복원성에서 바뀐 부서다)에서 본격적으로 해상보안청의 무장 여부를 검토했고 미 해군에서 전함을 대여하였다. 1952년에 해상경비대가 설치되었으며 해상보안청에서 소해부대 등이 분리되어 경비대로 전환되었다. 해상보안청과의 분리는 이때 나타난 것. 1954년엔 경비대가 해상자위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제국 해군의 항만 시설이나 공군 기지를 해상자위대가 그대로 인수하였으며 호위함 와카바는 일본 해군의 구축함을 개조한 것이다. 장교나 부사관 가운데 일본 해군 출신이 98%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육자대와 비교할 때 월등히 높은 수치다.

526px-JMSDF_major_fleets.svg.png
해상자위대 지방대의 작전 구역. 이들은 연안해군의 속성을 띄며 자위함대는 대양해군으로 구분된다. 자세한 것은 자위대/편성을 확인할 것.

250px-Beef_Kaigun_Curry_at_CoCo_CHIBANYA.JPG
이들은 제국 해군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했다고 스스로 자처하고 있다. 주말에 카레를 먹는 전통까지 일본 해군을 그대로 답습했다. 군가의 경우에도 제국 해군 시절의 군가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항공자위대육상자위대에선 일본군의 색을 빼려고 사용하지 않는 사관(士官)이란 단어도 공식 문서를 제외하면 해상자위대 내에서는 통용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해상자위대를 참고할 것.

1.7.3 항공자위관

800px-Air_refuling%28061101-O-9999K-001%29.jpg

항공자위관의 최선임은 항공막료장이다.

항공자위대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와 달리 일본군에 전신이 존재하지 않았다. 경찰예비대가 보안대를 거쳐 육상자위대가 되고 해상보안청에서 기능이 분리되어 경비대가 되고 해상자위대가 된 것과 달리 항공자위대는 1954년에 자위대가 생기면서 독립 군종으로 나타났다. 9년 간의 공백을 두고 초창기 인원은 일본군 시절의 항공 계열 인원들이 주를 이뤘다. 겐다 미노루처럼 해군 항공 출신자들도 적지 않았으나, 아무래도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가 따로 있었던 육군 항공 출신이 다수를 이뤘다. 그도 그럴 것이 해군 파일럿들은 가미카제가 성행하면서 1타로 썰려나갔... 다른 자위대와 달리 영어를 상당히 중시하며 35세 이하의 자위관은 매년 영어능력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여담으로 특촬물 촬영 등에 협조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한국군에서도 공군이 덕군이다. 다만 항공자위대가 협조하는 영상물에선 항공자위대 소속의 전투기가 추락하면 안 된다고 한다.

800px-JASDF_soldiers_with_Type_91.jpg
방공포병 자위관들.

img03.jpg
조종장교의 복장. 계급은 중위다. 항공자위대 대원 인터뷰

1.8 인적 구성/규모

2013년 3월 31일 기준인 일본 방위백서에 근거한 자료이다. 출처

소속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통합막료감부총계
티오151,06345,51747,0973,495247,172
현재인원136,57342,00742,7333,213224,526
충족율90.492.390.791.990.8
구분비임기제 자위관임기제 자위관
소속간부(장교)준위조(부사관)사(병)[16]사(병)
티오45,4174,936141,06155,758
현재인원43,0484,496138,62621,78516,571
(현재여군)(1,926)(31)(6,702)(1,393)(2,298)
충족율94.891.198.368.8

보면 알겠지만 병에 해당하는 사의 인원부족이 심각하다. 특히 사는 가장 기초전투병력인데 여군의 비율이 38,356명 가운데 3,691명으로 9.6% 수준으로 자위대 평균 5.5%보다 높다.

이 외에 예비자위관은 47,900명 수준이며 즉응예비자위관은 8,467명, 예비자위관보는 4,600명 수준이다.

1.8.1 주요 장관급 장교

1.8.1.1 합동부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군종
1대장통합막료장가와노 가쓰토시河野克俊방대21기수상함해자
2중장방위성기술연구본부 기술개발관(선박담당)구라사코 겐지蔵迫兼志가고시마대학기술행정해자
3통막 운용부장마에하라 히로아키前原弘昭방대27기조종공자
4방위성기술연구본부 기술개발관(항공기담당)고조 신이치小城真一방대26기조종공자
5방위성정보본부장미야카와 다다시宮川正닛폰대학조종공자
6방위의과대학교 간사오하시 고이치로大橋幸一郎방의1기군의공자
7방위대학교 간사모리야마 나오타다森山尚直방대28기포병육자
8방위성기술연구본부 기술개발관(육상담당)이즈카 미노루飯塚稔방대25기군수육자
9통합막료부장스미다 가즈아키住田和明방대28기포병
10통합막료학교장다카하시 가쓰오髙橋勝夫방대25기포병육자
11자위대중앙병원 부원장우와베 야스히데上部泰秀방의6기군의육자
12소장방위성장비시설본부 부본부장(함선차량담당)이치가와 다케히코市川武彦방대25기기술행정해자
13통막 부교장아카시 겐지明石健次방대25기항공해자
14통막 총무부장다카시마 다쓰히코高嶋辰彦교토대학잠수함해자
15방위성기술본부 부기술개발관(선박담당)사토 나오토佐藤直人방대28기기술행정해자
16미국방위주재관세키구치 유키関口雄輝방대33기수상함해자
17방위감찰본부 감찰관(해)시라네 쓰토무白根勉불명수상함해자
18통막 수석후방보급관다이리키 마사토미大力政富방대30기기술행정해자
19방위대학교 훈련부장유아사 히데키湯浅秀樹방대30기수상함해자
20방위감찰본부 감찰관(공)이즈쓰 슌지井筒俊司방대30기조종공자
21통막 지휘통신시스템부장도키토 가즈오時藤和夫방대29기통신공자
22내각관방 보좌관나가시마 준長島純방대29기조종공자
23자위대정보보전대사령와타나베 긴조渡邊金三방대26기포병육자
24자위대중앙병원 제1치과부장스즈키 미치히코鈴木通彦규슈치과대학군의육자
25자위대체육학교장호사카 가즈히코保坂一彦방대25기보병육자
26통막 방위계획부 부부장오노즈카 다카유키小野塚貴之방대30기공병육자
27통막 운영부 부부장히로카와 도시유키蛭川利幸방대31기보병육자
28방위감찰본부 감찰관(육)우니지마 기즈키牛嶋築방대33기군수육자
29방위성정보본부 정보관마사키 유키오正木幸夫도쿄대학보병육자
30방위성장비시설본부 부본부장(무기수품담당)구마모토 요시히로熊本義宏방대27기군수육자
31방위연구소 부소장야마모토 요리토山本頼방대27기포병육자
32자위대도쿄지역협력본부장다케모토 류지竹本竜司방대25기군수육자
33자위대오사카지역협력본부장오오즈카 유지大塚裕治방대32기군수육자
34자위대오키나와지역협력본부장야마네 도시카즈山根寿一방대33기포병육자

1.8.1.2 육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육상막료장오카베 도시야岡部俊哉방대25기보병
2중장육상막료부장스즈키 준지鈴木純治방대26기보병
3북부방면대총감다나베 기시로田邉揮司방대24기공병
4제2사단장이치노 야스미市野保己방대24기포병
5제7사단장오타 마키야太田牧哉방대26기보병
6동북방면대총감마쓰무라 고로松村五郎도쿄대학보병
7제6사단장가와사키 아키라川崎朗방대24기군수
8제9사단장야마자키 고지山崎幸二방대27기공병
9동부방면대총감이소베 고이치磯部晃一방대24기군수
10제1사단장나가이 마사히로永井昌弘방대25기포병
11간토 보급처장에구치 나오야江口直也방대26기군수
12중부방면대총감야마시타 히로타카山下裕貴일본문리대학군수
13제3사단장고바야시 시게루小林茂방대27기포병
14제10사단장호마쓰 히데지로保松秀次郎방대24기포병
15서부방면대총감반조 고이치로番匠幸一郎방대24기보병
16제4사단장후카즈 아키라深津孔방대26기군수
17제8사단야마노우에 데쓰로山之上哲郎방대27기보병
18중앙즉응집단사령관가와마타 히로미치川又弘道방대25기공병
19육상자위대간부학교장오가와 기요시小川清史방대26기보병
20육상자위대후지학교장다케우치 세이이치武内誠一방대24기보병
21육상자위대연구본부장마쓰오 유키히로松尾幸弘방대24기포병
22육상자위대보급통제본부장다구치 요시노리田口義則도쿄학예대학군수
23자위대삿포로병원장센사키 고지千先康二방의3기군의
24소장육막 감찰관스즈키 나오에이鈴木直栄방대30기포병
25육막 법무관가이 요시키甲斐芳樹방대28기보병
26육막 개발관시바타 쇼이치柴田昭市방대29기보병
27육막 감리부장기요타 야스시清田安志방대29기항공
28육막 인사부장다카타 가쓰키髙田克樹방대29기기갑
29육막 운용지원정보부장하라다 도모후사原田智総방대31기통신
30육막 방위부장마에다 다다오前田忠男방대31기보병
31육막 장비부장유아사 고로湯浅悟郎방대28기보병
32육막 교육훈련부장모토마쓰 다카시本松敬史방대29기보병
33육막 위생부장스즈키 사토시鈴木智史방의10기군의
34북부방면대 막료장다우라 마사토田浦正人방대28기기갑
35북부방면대 막료부장니시 히로노리西浩德방대28기보병
36북부방면대 막료부장나카무라 히로아키中村裕亮방대32기보병
37제2사단 부사단장고모리 가즈오小森一生방대27기보병
38제5여단장도쿠타 히데히사德田秀久방대27기기갑
39제7사단 부사단장이토 노부키伊東伸基방대27기항공
40제11여단장와타베 히로유키渡部博幸고쿠가쿠인대학보병
41제1특과단장가지와라 나오키梶原直樹방대32기포병
42제1고사특과단장곤도 미치로權藤三千蔵방대29기포병
43홋카이도 보급처장마스다 준이치増田潤一방대26기군수[17]
44동북방면대 막료장노토미 나카納富中방대29기포병
45동북방면대 막료부장다나카 시게노부田中重伸방대30기항공
46동북방면대 막료부장오모리 다케요시大森丈義방대28기군수
47제6사단 부사단장다키구치 류지滝口龍治방대27기통신
48제9사단 부사단장다하라 요시노부田原義信방대26기포병
49제2시설단장이케다 야스이치로池田安一郎방대25기공병
50도호쿠 보급처장우치다 유조内田雄三방대29기군수
51동부방면대 막료장이와야 가나메岩谷要방대28기공병
52동부방면대 막료부장스에요시 히로아키末吉洋明방대33기보병
53동부방면대 막료부장오키무라 요시토코沖邑佳彦방대31기항공
54제1사단 부사단장후나타 히로카즈藤田浩和방대28기포병
55제12여단장아카마쓰 마사후미赤松雅文방대26기공병
56제1시설단장호리이 다이로堀井泰蔵니쇼가쿠샤대학보병
57간토 보급부처장고바야시 히로시小林博史방대26기보병
58중부방면대 막료장스나미 류지角南良児방대27기보병
59중부방면대 막료부장후지오카 도시키藤岡登志樹방대31기보병
60중부방면대 막료부장모리시타 야스노리森下泰臣방대32기기갑
61제3사단 부사단장가메야마 신지亀山慎二방대31기기갑
62제10사단 부사단장오바 히데아키大庭秀昭방대30기보병
63제13여단장가케가와 히사이치掛川壽一방대26기포병
64제14여단장기시카와 기미히코岸川公彦방대28기공병
65제4시설단장다카다 유이치髙田祐一방대30기보병
66간사이 보급처장야마오카 다케오山岡健男방대27기군수
67서부방면대 막료장가네마루 아키히코金丸章彦방대27기항공
68서부방면대 막료부장요시다 요시히데吉田圭秀도쿄대학보병
69서부방면대 막료부장가와모토 히로아키河本宏章방대28기군수
70제4사단 부사단장기쿠치 데쓰야菊池哲也주오대학포병
71제8사단 부사단장구키 도이치九鬼東一방대30기보병
72제15여단장아가리오 히데키上尾秀樹방대29기보병
73제2고사특과단호시사시 다카시星指隆방대27기포병
74제5시설단장나카노 요시히사中野義久방대31기공병
75규슈 보급처장가미하라 세이지神原誠司방대26기군수
76중앙즉응집단 부사령관호리키리 미쓰히코堀切光彦방대30기보병
77중앙즉응집단 부사령관기도 겐지鬼頭健司도쿄대학보병
78제1공정단장이와무라 기미히토岩村公史방대29기보병
79제1헬리콥터단다지리 유스케田尻祐介방대32기항공
80육상자위대통신단장니시카와 기미야스西川公康방대26기군수
81육상자위대경무대장야마우치 다이스케山内大輔방대29기경무
82육상자위대중앙정보대장구도 다카히코工藤天彦방대28기보병
83육상자위대회계대장후쿠다 가즈히코福田和彦방대30기군수
84육상자위대중앙업무지원대장오우치다 겐지大内田憲治방대28기군수
85육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사카모토 도모시坂本知司방대29기보병
86육상자위대후지학교 부교장야마모토 아쓰마사山本敦督방대25기포병
87육상자위대후지학교 보통과부장도가시 유이치冨樫勇一방대33기보병
88육상자위대후지학교 기갑부장후지모토 다쿠미藤本卓美방대27기보병
89육상자위대후지학교 특과부장도쿠가와 야스히사德川泰久방대28기포병
90육상자위대후지학교 교도단장야마나카 요지山中洋二방대26기보병
91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오오바 히데아키大庭秀昭방대30기보병
92육상자위대고사학교장이사이 스스무飯盛進방대29기포병
93육상자위대항공학교장오니시 히로후미大西裕文방대27기항공
94육상자위대항공학교 부교장핫토리 다다시服部正방대29기항공
95육상자위대시설학교장고세 미키오小瀬幹雄도쿄대학공병
96육상자위대통신학교장나리타 지하루成田千春방대25기통신
97육상자위대무기학교장미야모토 다다아키宮本忠明방대24기군수
98육상자위대수품학교장이마가와 하지메今金元방대27기군수
99육상자위대수송학교장나카노 시게노리中野成典방대25기군수
100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장야마시타 스미오山下純夫방대25기보병
101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 부교장사사키 신지佐々木伸司홋카이도대학군수
102육상자위대위생학교장이시카와 다쿠시石川卓志방의3기군의
103육상자위대화학학교장이마우라 유우키今浦勇紀에히메대학군수
104육상자위대고등공과학교장오와세 하지메小和瀬一방대29기기갑
105육상자위대연구본부 간사가와세 마사토시川瀬昌俊방대26기통신
106육상자위대연구본부 총합연구부장노자와 신野澤真방대30기포병
107육상자위대개발실험단장데즈카 신이치手塚信一방대27기보병
108육상자위대보급통제본부 부본부장다하라 게이田原計방대26기통신
109자위대삿포로병원 부원장오치 후미오越智文雄방의9기군의
110자위대센다이병원장시로타니 도시키城谷寿樹방의4기군의
111자위대한신병원장모리사키 요시히사森崎善久방의5기군의
112자위대후쿠오카병원장오시카 요시로大鹿芳郎방의8기군의
113자위대구마모토병원장마쓰미 야스노리松木泰憲방의11기군의

1.8.1.3 해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해상막료장다케이 도모히사武居智久방대23기수상함
2중장해상막료부장히게오카 야스히로重岡康弘방대25기항공
3구레지방대총감이토 도시유키伊藤俊幸방대25기잠수함
4마이즈루지방대총감도시타 데츠로堂下哲郎방대26기수상함
5사세보지방대총감이케다 도쿠히로池田徳宏방대25기수상함
6오미나토지방대총감사카타 류조坂田竜三방대26기항공
7요코스카지방대총감이노우에 지카라井上力방대24기수상함
8자위함대사령관후나타 에이이치鮒田英一도쿄대학항공
9잠수함대사령관가지 마사카즈鍛冶雅和방대24기수상함
10항공집단사령관사토 마코토佐藤誠방대26기항공
11호위함대사령관가와무라 마사오河村正雄방대25기수상함
12교육항공집단사령관이케 다로池太郎방대27기항공
13해상보급본부장무라카와 유타카村川豊방대25기기술행정
14해상자위대간부학교장야마시타 가즈키山下万喜방대27기수상함
15자위대중앙병원 부원장[18]히라다 후미히코平田文彦방의4기군의
16소장해막 감찰관도쿠만 세이이치道満誠一방대26기잠수함
17해막 기술부장니시야마 다다쓰네西山中庸니가타대학기술행정
18해막 방위부장와타나베 고지로渡邊剛次郎방대29기항공
19해막 방위계획부장야마무라 히로시山村浩방대28기수상함
20해막 보도관나오키 신세이真木信政방대26기항공
21해막 수석위생관사토 미치야佐藤道哉방의8기군의
22해막 인사교육부장가스이 히로유키糟井裕之방대29기수상함
23해막 장비부장후나키 히로시舩木洋요코하마대학기술행정
24해막 총무부장기쿠치 사토루菊池聡방대28기항공
25해막 총무부 부부장데구치 가쓰토出口佳努오카야마대학항공
26구레 총감부 막료장하루키 히데유키春木秀之방대28기기술행정
27마이즈루 총감부 막료장사에키 세이지佐伯精司도쿄대학수상함
28사세보 총감부 막료장후치노우에 히데토시淵之上英寿방대26기잠수함
29오미나토 총감부 막료장사토 겐조佐藤賢上방대29기잠수함
30요코스카 총감부 막료장나카니시 마사토中西正人방대27기잠수함
31자위함대 막료장오쓰카 우미오大塚海夫방대27기수상함
32잠수함대 막료장이노우에 쓰카사井上司방대28기잠수함
33항공집단 막료장모리타 요시카즈森田義和방대30기항공
34호위함대 막료장사카이 료酒井良방대31기수상함
35개발대군사령우치지마 오사무内嶋修방대26기수상함
36소해대군사령오카 히로시岡浩방대27기수상함
37연습함대사령관나카하타 야스키中畑康樹방대30기수상함
38제1호위대군사령사이토 아키라齋藤聡방대33기수상함
39제2호위대군사령이와사키 히데토시岩崎英俊방대31기수상함
40제3호위대군사령마나베 히로시眞鍋浩司방대28기수상함
41제4호위대군사령이토 히로시伊藤弘방대32기수상함
42제1항공군사령소노다 나오키園田直紀방대31기항공
43제2항공군사령마도노 도모히코真殿知彦방대33기항공
44제4항공군사령후타카와 다쓰야二川達也방대32기항공
45제5항공군 사령하타노 슌이치畠野俊一방대28기항공
46제21항공군사령가마가타 요시노리鎌形義憲센슈대학항공
47제22항공군사령니시 세이토西成人방대30기항공
48제31항공군사령오세토 이사오大瀬戸功방대25기항공
49해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기타가와 후미유키北川文之방대26기수상함
50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스기모토 다카유키杉本孝幸방대29기항공
51해상자위대제1술과학교장도쿠마루 신이치徳丸伸一방대25기수상함
52해상자위대제2술과학교장시모조노 데루아키下薗輝昭방대26기기술행정
53해상자위대제3술과학교장모토하시 도시히코本橋稔彦방대26기수상함
54해상자위대제4술과학교장나카오 다케히사中尾剛久방대29기기술행정
55한신기지대사령사토 히사노리佐藤壽紀방대26기수상함
56해상보급본부 부본부장오시마 고지大島孝二방대29기기술행정
57요코스카병원장야나기다 시게키柳田茂樹방의5기군의
58잠수의학실험대사령이노우에 기미토시井上公俊방의6기군의

1.8.1.4 공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항공막료장스기야마 요시유키杉山良行방대24기조종
2중장항공막료부장모리모토 데쓰오森本哲生방대25기군수
3남서항공혼성단사령아라키 준이치荒木淳一방대27기조종
4북부항공방면대사령관오에 사다마사尾上定正방대26기조종
5서부항공방면대사령관마루모 요시나리丸茂吉成방대27기조종
6중부항공방면대사령관히라모토 마사노리平本正法방대25기조종
7항공총대사령관스기야마 요시유키杉山良行방대24기조종
8항공총대 부사령관요시다 고스케吉田浩介방대25기조종
9항공개발실험집단사령관이와나리 신이치岩成真一방대24기군수
10항공교육집단사령관한자와 다카히코半澤隆彦방대24기조종
11항공지원집단사령관후쿠에 히로아키福江広明방대25기조종
12항공자위대보급본부고카 히사오古賀久夫방대24기조종
13항공자위대간부학교장오노 요시조小野賀三방대26기조종
14소장공막 감리감찰관기도노 다모쓰城殿保방대29기조종
15공막 기술부장사쿠라이 요시노부櫻井喜宣방대26기군수
16공막 방위부장미타니 나오토三谷直人방대29기조종
17공막 수석위생관후쿠시마 고지福島功二방의8기군의
18공막 운용지원정보부장야마다 마사시山田真史방대28기조종
19공막 인사교육부장무토 시게키武藤茂樹방대28기조종
20공막 장비부장하시모토 나오노리橋本尚典방대27기군수
21공막 총무부장아라키 히로시荒木文博방대28기조종
22남서항공혼성단 부사령가미노타니 히로시[19]上ノ谷寛방대30기조종
23북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마스코 유타카増子豊방대29기조종
24서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다나카 간지田中幹士방대28기방공포병
25중부항공방면대 부사령관가네코 신이치金古真一방대30기항공관제
26북부항공경계관제단사령아사이 아키라浅井玲방대29기항공관제
27서부항공경계관제단사령모리타 다케히로森田雄博방대33기조종
28중부항공경계관제단사령야마모토 유이치山本祐一방대26기군수
29항공총대 사령부 막료장아라키 마사쓰구荒木正嗣방대26기군수
30항공총대 사령부 방위부장우치쿠라 히로아키内倉浩昭방대31기조종
31항공개발실험집단 사령부 막료장고토 마사토後藤雅人방대31기군수
32항공교육집단 사령부 막료장쓰루타 신이치鶴田眞一방대28기조종
33항공지원집단 부사령관스기야마 마사키杉山政樹방대26기조종
34비행개발실험단사령아라키 데쓰야荒木哲哉방대31기항공관제
35항공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요시키와 레이지吉川礼史방대26기군수
36항공자위대제2보급처장마쓰야 준이치松谷淳一도시샤대학군수
37항공자위대제3보급처장후카세 나오히사深瀬尚久방대27기방공포병
38항공자위대제4보급처장야마쿠라 유키야山倉幸也방대30기군수
39제1항공단사령[20]우에타 도모유키上田知元방대25기조종
40제2항공단사령고카와 요시미치小川能道방대29기조종
41제3항공단사령이노우에 히로히데井上浩秀가쿠슈인대학조종
42제4항공단사령아리마 다쓰야有馬龍也방대28기조종
43제5항공단사령오자키 요시노리尾崎義典방대32기조종
44제6항공단사령나구모 겐이치로南雲憲一郎방대33기조종
45제7항공단사령후카자와 에이이치로深澤英一郎방대30기조종
46제8항공단사령모리타카 유스케森川龍介방대31기조종
47제1수송항공대사령[21]노나카 사카리野中盛방대27기조종
48제83항공대사령[22]스즈키 야스히코鈴木康彦방대32기조종
49항공구난단사령고쿠분 마사히로國分雅宏방대25기조종
50항공안전관리대사령하시모토 스스무橋本進방대26기조종
51항공의학실험대사령야마다 노리히코山田憲彦방의5기군의
52항공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가키하라 구니시柿原国治방대33기조종
53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오우라 히로요시大浦弘容방대27기조종
54항공자위대제1술과학교장히라모토 가스야平元和哉방대30기군수
55항공자위대제2술과학교장니시타니 고이치西谷浩一방대31기방공포병
56항공자위대제3술과학교장나카하라 시게키中原茂樹방대27기기술행정
57항공자위대제4술과학교장아베 무쓰하루阿部睦晴방대32기기술행정
58항공자위대제5술과학교장와타나베 히로시渡邊博史방대28기항공관제
59항공전술교도단사령히라쓰카 고지平塚弘司와세다대학조종
60기후병원장[23]요시무라 가즈요시吉村一克방의5기군의

1.9 군번

자위대는 군이 아니므로 군번이 아닌 인식번호(認識番号)라고 한다.

94838002_624.jpg
인식번호가 기재된 신분증명서. 육상자위대 소속의 이조 즉,중사다.

1.9.1 육상자위대

G1234567

위와 같이 Ground Force의 G를 따오고 일곱 자리 숫자를 배열한다.

1.9.2 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

MO12-345678A

M은 Maritime에서 따온 것이다. 장교의 경우 MO(Maritime Officer), 준사관은 MW(Maritime Warrant Officer), 사병은 ME(Maritime Enlisted), 군무원이나 민간인은 MC(Maritime Civilian)로 시작한다. 앞의 알파벳 뒤의 두 글자는 자위관의 현 주소지를 말한다. 이사를 가면 바뀐다. 뒤의 숫자 6자리는 입대에 따라 배정받는 것으로 입대부터 전역 때까지 바뀌지 않는다. 맨 끝의 알파벳은 - 뒤의 숫자 6자리의 합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되는 구분기호이다.

AO12-345678

A는 항공자위대의 Air를 뜻함 AO는 장교, AE는 사병과 해상자위대와는 달리 준사관까지 합쳐 이른다. AC는 민간인과 군무원이다. - 앞의 숫자 두 자리는 해상자위대와 마찬가지로 현 거주지를 뜻하며 뒤의 숫자 6자리는 입대 순서에 따라 배정받는 것이다.

1.10 자위대/교육훈련

항목이 길어져 별도 분리하였다.

1.11 자위대가

군가 역할을 하는 자위대가이다. 항목을 참고할 것.

1.12 예비군

예비자(予備自)라고 줄여서 부른다. 발음은 '요비지'이다. 예비자위관과 즉응예비자위관, 예비자위관보의 분위기가 굉장히 다르다. 한국의 예비군과 가장 비슷한 곳은 예비자위관 정도.


소집된 예비자위관들.

한국만큼 당나라 분위기는 아지만 현역 자위관이나 다른 예비자위관에 비해 예비자위관의 분위기가 널럴하긴 한듯 하다. 관련 블로그

1.12.1 즉응예비자위관

即応予備自衛官. Ready Reserve Self-Defense Official. 육자대에만 존재한다. 육상자위대를 퇴직한 인원으로 구성되며 유사시나 훈련 등에 소집된다. 여러모로 미국의 예비군 제도와 비슷하다. 방위성의 정원 외 직원으로 티오는 8,175명. 1997년에 생긴 제도로 다른 예비자위관이나 예비자위관보보다 훈련일수나 횟수가 많다. 도호쿠 대지진 때 최초로 재해소집명령이 떨어졌다. 계급은 즉응예비2등육위(중위)부터 즉응예비1등육사(일병)까지로 정해져 있다. 소집되면 영내생활을 해야 한다. 3년을 1임기로 쳐서 계약하며 연간 훈련일수는 30일 수준. 수당은 월 1만6천엔이며 훈련소집이 될 경우 하루에 1만4백에서 1만4천2백엔을 지급한다. 조건이 있는데 자위관으로 1년 이상 근무했어야 하며 퇴직 후 1년 이내거나 예비자위관이어야 한다. 예비자위관보 출신은 허용치 않는다.

1.12.2 예비자위관보

260px-Flag_of_JGSDF_reserve_candidate.svg.png
予備自衛官補. Reserve Candidate. 2002년부터 시작된 육자대의 시스템으로 자위관 경력이 없는 민간인을 선발하여 비상근 방위성 직원으로 삼은 뒤에 일정한 교육훈련을 거쳐 예비자위관에 임명하는 제도다.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에서 이 제도를 학군사관으로 바꾸자는 말도 나오는데 이 제도의 지원자들이 일반대학교에 다니며 간부후보생학교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이다. 위생(군의관)이나 어학, 자동차 정비, 정보 처리, 통신, 건설, 방사선 관리 등의 직종을 채용한다. 어학 중엔 한국어도 있다. 이 제도 덕분에 자위관 경력이 없는 민간인이 예비자위관이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일반직은 3년을 1임기로, 기술직은 2년을 1임기로 하며 갱신한다. 훈련은 일반직이 3년에 50일, 기술직은 2년에 10일이며 훈련수당은 일 7,900엔.

1.12.3 예비자위관

260px-Flag_of_JGSDF_reserve.svg.png
予備自衛官. Reserve Self-Defense Official. 비상근의 방위성 직원이다. 195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티오는 5만이지만 실제 충원율은 70% 수준이다. 자위관을 퇴직했거나 예비자위관보를 거친 사람을 임용한다. 본래는 병과 부사관에만 두었지만 1961년부터 간부과정도 일부 개방하였고 2002년에는 영관급 예비자위관도 생겼다. 훈련일수는 연 5일이며 월급은 월 4천엔. 훈련소집 될 경우에는 일당 8,100엔. 3년을 단위로 임기를 두며 계약갱신한다. 법률상으론 20일까지 가능하지만 돈 문제나 생업 문제 등으로 5일내로 하고 있다. 이 제약 때문에 갑갑한 육자대는 위의 즉응예비자위관을 만들었다.

1.13 특성

특이한 것은 원사 계급에 해당하는 조장(曹長) 이하의 조(曹)와 에 해당하는 사(士)는 영내 생활을 한다. 관사에서 살긴 하지만. 간부가 아닌 사들은 아직도 내무반(内務班)이란 용어를 쓰며 외출을 하는데 허가를 받아야 한다. 기본적으론 주5일 근무에 8시 15분 출근, 5시 퇴근이지만 자위관의 인기가 낮아 만성적인 인원 부족때문에 잘 안 지켜진다고. 그 때문에 내무 부조리도 심한 편이라 '60만의 한국군보다 24만인 일본 자위대의 자살자가 더 많다. 한국은 징병제라 사회에서 계속 군에 견제를 하지만 일본은 그게 안 돼서.

재밌는 점은 한국군에서 육군은 병과, 해군은 직별, 공군은 특기란 말을 쓰는데 일본의 육상자위대는 직종,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는 특기란 말을 쓴다. 일본군에서 유래한 것인지 단순히 수렴진화한 것인지는 불명.

1.14 여성 자위관

74a07ad78d63830212972bf725f66b47.jpg
계급장을 보니 육사장(육군상병)이다.

여군과 마찬가지로 여성 자위관이 있다. 여성 자위관의 경우 과거에는 전투 병과에 배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남녀평등을 이유로 해상자위대잠수함항공자위대전투기 조종사를 제외한 거의 전 직종에 개방됐다. 육상자위대는 전 직종에 개방.

1952년 육상자위대는 간호직 대원 간호부인자위관(看護婦人自衛官)을 선발했고 1958년에는 간호학생이란 이름으로 여군 과정을 개설했다. 1967년부터 일반 직종에서 대학 졸업에 준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자위관을 모집했다. 1992년부터 방위대학교에 여학생이 입학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현재 진급 상한선은 장보(소장)로 알려져 있다. 이는 준장이 없는 자위대의 특성 때문으로 사실상 한국 여군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htm_2007072011280840004010-002.JPG
1968년부터 부인자위관교육대가 생겨 여성들을 교육훈련했고 2003년부턴 여성자위관교육대로 바뀌었다. 수료식 자리에서 쉬고 있는 여성자위관들.

2001년 전역한 사에키 히카루(佐伯光) 해장보(해군소장)는 최초로 장성급에 올랐다. 간호장교 출신으로 여성 자위관의 복제에 임부복을 추가했다고 한다. 남편이 자위함대사령관인 사에키 세이지(佐伯聖二) 해장(해군중장)이었다. 간호나 의관 직종을 제외한 직종의 첫 장성은 카지다 미치코(梶田ミチ子) 공장보(공군소장)이 최초였다. 다만 카지다 미치코는 전역하면서 특별 진급한 케이스이다.

RoleModelParagraph680image.jpg
가시하라 게이코(柏原敬子) 소장. 일본 역대 3번째 여성 장성이다. 본래는 간사이학원에서 합기도를 공부했으며 1979년에 여성 자위관 채용이 시작되면서 일반간부후보생에 지원하여 주로 참모로 일하다가 2010년 호후미나미기지의 사령관이 되었다. 이 부대는 비행부대가 아니라 교육부대이다. 그 후 항공자위대제3술과학교장을 거쳐 2013년 8월 22일에 퇴임하였다.

일본 방위성 홈페이지에 10사단 여성 자위관들의 하루를 정리해 놓은 페이지가 있다.

1.15 트리비아

300px-JDF_Uniform01a.jpg
  • 일본 자위관들이 하는 말에 따르면 세키가하라를 기준으로 동쪽은 자위대의 취급이 나쁘고 서쪽은 자위대를 잘 대해준다는 소문이 있다. 다만 오키나와에선 자위대에 대한 감정이 나쁘다는 평가다.
img4ef745e9zik5zj.jpeg
  • 결혼하는 자위관. 한국의 장교나 부사관처럼 제복을 입고 결혼하기도 한다.
  • 일본 내에서 상당히 인권 사각지대에 속하는 곳이다. 2010년대 들어서 구타는 거의 사라졌다. 대신 자위대 사들은 기본적으로 병영 내 생활관에서 지내야 하고 이 경우 당연히 청소, 빨래 등을 자기들이 알아서 해야 하는 건 기본인데 자기 일을 후임병들에게 전담시키고 이지메 하는 등 가혹행위는 여전하다고 하다. 여군의 숫자가 1만 2천까지 늘어났지만 여군에 대한 인식은 바닥 수준이다. 인권 소송 기사 성추행이나 성폭행 등이 일어나지만 쉬쉬하는 분위기.
200px-23392227_19766227_126large.jpg
  • 군견도 있다. 해상자위대에서는 경비견, 항자대에서는 보초견이라고 한다.
51AArpOI%2BKL._SL500_AA300_.jpg
  • 자위대수첩이란 수첩도 있는데 자위대에서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의 아사구모(朝雲)신문에서 발행한다. 아사구모신문은 1952년 경찰예비대가 기관지를 내도록 외부에 위탁한 신문사로 자위대와 방위성 관련 뉴스를 다룬다. 이름과 달리 주간지이다. 공식적인 자위대 수첩이 아니기 때문에 민간인도 구입할 수 있다. 자위대 조직편성이나 위치, 전화번호 등이 기재된 수첩이다. 한국이면 코렁탕 크리지만 자위대는 일단 군이 아닌 관계로 정보의 상당수를 민간에 공개한다. 일본 밀덕들이 꽤 구입한다.

2 중국의 지명

800px-JiayuguanFort.jpg
4.jpg
중국 여행 사이트의 자위관(가욕관) 구조도

중국어로는 자위관이며 한국 한자음으로는 가욕관(嘉峪關)이라 읽는다. 만리장성의 서쪽 끝에 위치하며 주요 관광지이다. 보통 만리장성이 산세에 있는 것과 달리 이쪽은 광야에 위치한다. 1372년 명나라 때 세워 계속 보강을 했다고한다.
  1. 特別儀じょう隊라고 쓰며 사실 이들은 전문 의장대가 아니라 의장 교육을 받은 헌병대원들이다.
  2. 원사 상당이나 민간인.
  3. 북부방면대, 동북방면대, 동부방면대, 중부방면대, 서부방면대
  4. 구레지방대, 마이즈루지방대, 오미나토지방대, 요코스카지방대, 사세보지방대
  5. 북부항공방면대, 중부항공방면대, 서부항공방면대, 남서항공혼성단
  6. 여단과 같은 일본의 부대 단위이다. 통신단, 고사특과단(방공포병단), 시설단, 제1특과단, 방면혼성단, 개발실험단, 후지교도단 등이 있다. 여기서 혼성단은 대령급 지휘관으로 제외한다.
  7. 후지와 간부학교를 빼면 10곳이 있다.
  8. 한국의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와 비슷한 곳이다.
  9. 관동보급처장 제외
  10. 지방협력본부를 줄여서 지본이라고 한다.
  11. Flotilla와 Squadron으로 호위대군, 해상훈련지도대군, 항공군, 잠수대군, 소해대군, 정보업무군, 개발대군, 교육항공군, 시스템통신대군, 해양업무군 등 10곳이 있다. 여기서는 개발대군을 제외.
  12. 우리나라의 해군헌병단은 준장인데 비해 해자대는 가끔 1등해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해장보(2종)를 임명한다
  13. 1술과학교를 제외한 2-4술과학교장
  14. 한국의 비행단에 해당하며 2(홋카이도), 3(미사와), 6(이시카와), 7(이바라키), 5(미야자키), 8(후쿠오카), 1(하마마츠), 4(미야기) 항공단이 있다.
  15. 우리나라의 공군헌병단은 준장인데 비해 공자대는 가끔 1등공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공장보(2종)를 임명한다
  16. 한국으로 치면 장기복무된 병. 일반조후보생으로 선발한다.
  17. 화학, 수송, 보급(수품), 무기, 인사행정 등 비전투병과를 일괄적으로 통칭. 본래는 세세한 병과를 다 적으려고 했으나 자료의 한계로 이렇게 적는다.
  18. 원장은 방위성 소속의 기술관, 즉 민간인.
  19. 대령 시절에 대한민국 일본대사관에서 방위주재관으로 근무했다.
  20. 4항공단과 함께 항공총대가 아닌 소속의 항공단이다.
  21. 항공지원집단 소속
  22. 다른 항공방면대 소속이 항공단인 것과 달리 항공혼성단 소속이라 격이 낮다.
  23. 미사와와 나하에도 공자대 소속 병원이 있으나 대령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