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D.I.O)

게임 판타지 소설 D.I.O의 용어. 말 그대로 수의 단위인 100(10의 18승) 분의 1[1]의 확률로 나타나는 천재를 말한다. 전 우주를 뒤져도 다섯을 넘지 않을 정도로 희귀한 존재. 데모닉?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파라곤템플릿과 유사할지도?

  • 윤용노(멀린): 소설의 주인공이며 무공마법, 수영 등에 다재다능하면서도 모두 뛰어나다. 즐기는 천재.
  • 김세영(아더): 무공에 엄청난 재능을 보이며 소환술에도 일가견이 있는 듯. 노력하는 천재.
  • 크루제: 오오라 능력에 큰 재능을 보여주고, 남들보다 훨씬 뛰어난 공간지각능력이 있는 듯. 나태한 천재.

분류는 이렇게 해뒀지만 편의를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어떤 분야든 일반인과는 궤를 달리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그 중에서 자신의 성향이 있는 셈. 말그대로 성향이므로 다른 것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멀린을 해부해 살펴본 결과 아예 뇌를 비롯한 신체 구조부터가 차이가 있으며, 유전자 레벨에서는 인간과 침팬지와의 차이보다도 인간과 백경의 차이가 크다고(...) 하지만 백경이라는게 종족 같은게 아니라 말 그대로 백경분의 일의 확률로 나타나는 돌연변이적인 천재를 일컫는 말이므로 애초에 인간이라는 보장도 없고 성관계는 가능하지만 종족번식이 불가능할지도 상상을 초월하는 말도 안 될 정도의 천재라는 것 말고는 모든 백경에게 적용되는 특징이나 공통점은 없을 수 있다. 침팬지와의 차이보다 크다는 것도 윤용노를 조사해서 나온 결과이므로 다른 백경은 어떤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렇게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석적인 재능[2]이 아닌 돌연변이적인 재능이기 때문에 의외로 초월자가 된 백경은 많지 않다고 한다.[3][4]3명중 2명이 한국인인건 안 비밀 하지만 그 발상력과 지식은 오히려 초월자를 뛰어넘는 경우고 종종 존재한다.

태어난지 하루도 안 돼 언어를 습득하고, 5살짜리가 성인 남성을 가뿐히 이겨버리는 등, 비인간적인 천재성때문에 절대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며,[5] 보통 주변과는 도를 달리하는 재능으로 인해 함몰되거나 스스로의 재능을 억제한다. 크루제는 마음의 문을 닫은 것으로, 김세영은 자신을 노력가로 포장해 초월적인 재능이 있는게 아닌 그저 노력을 할 뿐이라는 자기세뇌를 하고 있으며 윤용노는 현실에서 도피하는 방법으로 자신을 지키고 있다. 어렸을 적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가족에게 버림받고[6] 그렇기에 디오라는 게임이야말로 그들이 재능을 펼칠 수 있는 세상이라는 언급이 나온다.

백경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개성을 가지고 있다. 이 개성은 다른 백경들도, 심지어 초월경에 오른 존재들도 흉내낼 수 없는 특수한 능력이나 개성이다. 아더는 천룡인으로서의 재능, 멀린은 개발자로서의 재능, 크루제는 설계자로서의 재능이 그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랜슬롯은 백경과 대비되는, 재능은 바닥일지라도 미친 듯이 노력하는 자이다. 올마스터의 등장인물이자 작중에선 마도황녀로 불리는 제니카도 돌연변이적 재능이라는 의미에선 백경과 비슷하지만, 제니카의 경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인공 천재여서 백경이라고 볼 순 없다. 본인 말로는 자신은 백경의 확률도 아닌 우주 유일이라고(...)[7]

최종권인 11권에선 300년 전 다른 행성에서 태어난 백경인 쉔이 등장했다. 고래인간이라는데 덩치가 크다는거 말고는 외형 묘사가 없는지라 도대체 고래인간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는 알 수 없다(...)[8]. 50세 정도에 초월지경의 벽을 느낀다음 거기서 정체되어 300살이 된 지금까지 정체중이라고(...) 초월지경에 오를뻔한 동수에 대해 비하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초월지경에 오르기 위해 별의 별 짓을 다 해봤다고 되어있다. 그렇게 집착해서 더 안되는게 아닐까

백경이 재능을 갖고도 초월자가 되기 쉽지 않은 건, 그 재능 자체가 버그나 치트와 다름없어서 그렇다고 한다.[9]
  1. 참고로 SI 접두어에서 10억 분의 1을 나노라고 부르는 것 처럼 백경 분의 1은 아토 라고 부른다. 정작 백경 분의 1의 확률이 아니라 백경에서 따온 '퀀탈리온'이 다른 명칭인듯 싶지만.
  2. 전생을 거듭하며 카르마를 쌓아 얻은 재능. 전작인 올마스터에서 대부분의 마스터들은 이런 재능 때문에 단기간에 마스터로 성장한 이들이다. 개중에서도 최고는 혁월의 환생인 레이그란츠
  3. 백경의 재능으로 초월지경 직전까진 모든게 너무 쉬워서 '벽에 막혀서 정체한다'는 걸 모르다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초월지경의 벽에 멘붕하기 십상이다. 실제로 세영은 멘붕해 슬럼프에 빠지기도 했다. 작중 표현은 백경은 일종의 치트키를 치고 게임을 하는 상태이며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진실된 실력을 쌓을 수는 없다고.
  4. 산을 직진해서 지나가야 될 때 일반인 들은 산을 넘어가야되는데 백경들은 굴착기로 뚫고 간다고 보면 된다. 다만 초월지경은 오리하르콘 산인게 문제(...) 백경보다 더 희귀한 확률로 오리하르콘 굴삭기가 나온다면 초월지경도 뚫어버릴 수 있는건가 권왕전생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산을 넘어갈 때 일반인은 산을 돌아가고 책사는 돌아가는 길 중 최단 거리를 찾고 오러유저나 마법사는 힘으로 산을 넘어가지만 10서클 대마법사는 산을 날려버릴 수 있다고...
  5. 중세와 같은 환경에서 태어난 백경은 십중팔구 악마로 몰려 죽는다고 한다.
  6. 부모가 권력이 있어 지킬수 있었는데도 방관했다. 부모도 멀린이 가게될 곳이 인체실험을 하는 수준의 연구소라는 것은 몰랐지만. 일종의 영재 연구소의 여러단계 업그레이드 버전정도로 생각했던 모양.
  7. 사실 전 우주에서 십여명 밖에 없다는 중급신위를 얻었다는 거 자체로 제니카는 백경 분의 1 확률 따위 우습게 보일거다.
  8. 굳히 생각하면 백경이 주로 쓰이는 의미인 흰고래 모비딕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백경인 백경
  9. 작중에서 표현하길 치트키로 게임을 즐긴 플레이어가 진짜 실력을 쌓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한다. 특히 쉔은 백경의 재능을 두고 스스로 원하지 않아도 취소할 수도 없는 악질적인 치트키라고도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