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새

벌새
Hummingbird이명 :
Trochilidae Vigors, 1825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칼새목(Apodiformes)
벌새과(Trochilidae)



사진은 검은턱벌새(Black-chinned hummingbird, Archilochus alexandri)의 수컷(위)와 암컷(아래)

Hummingbird.

1 개요

칼새목 벌새과의 조류.[1] 몸길이는 6.5∼21.5cm 등으로 다양하며[2],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 영어 단어인 Hummingbird는 날개짓이 빠르다 못해 휘파람 소리마냥 들린다고 붙은 이름이다.

2 상세

이름답게 날개짓 하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다. 빠른 녀석은 초당 55회도 친다! 날고 있는 때 소리를 들으면 다른 새처럼 '퍼덕퍼덕'이나 '후두둑' 같은 소리가 아니라 정말 벌처럼 '부우우웅~'소리가 난다. 듣기

짧은 다리에 발가락은 약한 대신 나는 것 하나만은 수준급. 벌새의 날개는 특이하게도 어깨 관절을 축으로 어느정도 회전이 된다. 목이 짧은 대신 부리가 길어서 주로 공중에 체공하며 꿀을 먹는데, 이게 가능한것도 저 특이한 날개 구조 때문. 전진, 후진, 호버링(공중 체공)이 전부 가능한 유일무이한 새이며, 날개 양쪽을 다른 속도로 움직일 수도 있다.

모든 비행물체를 만드는 인간의 꿈에 가장 완벽한 목적을 부합하는 새 중 하나이며, 벌새의 모든 테크닉을 비행 물체로 구현하는 순간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평가받을 정도로 벌새의 비행기술은 항공역사상 넘을 수 없는 영역으로 손꼽힌다. 그 영역에 가장 근접한것이 바로 우리가 잘 아는 드론이다. 하지만 드론도 날개 방향을 실시간으로 회전하거나 몸통 자체를 꺾을 수 없기에[3] 아직도 벌새는 비행역사상 UFO 다음으로 불가침의 영역을 고수하고 있다.

제한없는 초월적 자유 비행이나, 작고도 빠른 날갯짓의 이상을 비유할때 흔히 허밍버드를 찾는 이유가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보기도 힘들지만 존재감과 현대 기술로도 구현이 불가능한 구조와 신체능력으로 인해 구사하는 자유로운 비행기술 하나만큼은 엄청난 새이기 때문.

깃털 색깔도 다양하지만 녹색·갈색·검정색이 주를 이룬다. 머리 꼭대기에 장식깃이 있는 녀석도 있어서 인기는 많다. 대신 성질은 공격적이고 더러워서(…)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물가에서 목욕을 즐긴다.

활동량이 많기 때문에[4] 주로 고열량의 소화잘되는 고기 곤충이나 을 먹는다. 그것도 모자라기 때문에 자는 것 만으로도 에너지 부족으로 죽을 수 있어서 벌새가 잠을 잘 때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해 거의 가사상태에 이른다. 최대절전모드.

수면을 가장한 휴면상태에서 깨어날 때는 몸의 심박과 신진대사가 정상으로 돌아가면서 호흡과정중에 '삐이이이' 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코고는 영상이라고 소개되었지만 사실은 최대절전모드 해제 중이라는 뜻이다. 링크끄아악 내 심장심쿵 저기 부리끝에 가는 실은 혀인가?

3 여담

한국의 경우 꼬리박각시나 줄꼬리박각시를 벌새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굳이 차이점을 뽑으면 벌새는 달려들지 않는다고 한다. 색상 배열도 닮았다. 수렴진화의 한 예이기도 하다.

손으로 벌새 먹이주기 섬네일 화면에서 손에 있는 빨간 액체는 피가 아니라 벌새 먹이용 음료수이다. 미국 알래스카 주의 한 산장 광고비디오이다.

불행히도 덩치가 작아 미국 쪽에서는 사마귀단백질 공급원으로 먹히는 굴욕을 당하기도 한다(...). 하지만 적어도 몸길이는 대충 비슷하니 해당 링크의 영상들처럼 살아남는 경우가 많다.[5] 게다가 가끔씩 거미줄에도 걸리고 네펜데스 같은 식충식물에도 잡힌다. 보통 '새도 잡아먹는~' 류의 기사가 나오면 대체적으로 이 녀석인 경우가 많다.

뽀롱뽀롱 뽀로로의 해리는 벌새가 모티브이다.

유희왕 시리즈의 네오 스페이시언 에어 허밍버드지박신 Aslla Piscu 역시 벌새를 모티브로 한다.
  1. 조류는 분류학상 공룡에 속하기 때문에 비조류 공룡을 포함한 모든 공룡 중 가장 작은 공룡이다.
  2. 가장 작은 벌새는 쿠바에 서식하는 콩벌새(Bee Hummingbird영어로도 진짜 벌새인 벌새다, 학명 Melisuga Helenae)로 몸길이가 꼬리를 제외하면 2.5cm, 꼬리까지 합쳐도 5~6cm에 불과하다.
  3. 어깨관절의 완벽한 구현이 현재 기술로 절대 불가능하다.
  4. 초당 수십회씩 날개짓하는 것만으로도 에너지 소모량이 다른 새의 몇배는 된다.
  5. 사마귀는 방아깨비같이 자신과 몸길이가 비슷하거나 더 큰 곤충도 잡아먹는 포식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