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동물)

1 개요

鳥類(Aves)
날개와 부리가 특징인 석형류 동물이자, K-T 멸종에서 살아남아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공룡.
가장 빠른 동물이 속한 분류군.

조류는 정온동물로써 깃털이 나 있고 부리가 있다. 가슴뼈가 발달하였으며 을 낳는다. 새 혹은 날짐승이라고도 하며, 생물학적 분류로는 조강이라 불린다. 비행에 특화된 형태로 진화하여 대부분의 새가 비행이 가능하다.
포유류를 제외한 유일한 정온동물인 동물로 유명하지만 일부 어류와 파충류도 그럴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리가 흔히 새와 포유류를 제외한 모든 동물이 변온동물이라는 것은 확실히 잘못되었다.

본래 수각류 공룡의 먼 후손으로 여겨져 석형류로 분류되었으나, 자연과학해부학적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조강이 수각류 공룡과 같은 분기임이 밝혀졌고, 수각류 공룡에 포함되었다. 또한 기존의 수각류 공룡 일부도 조강으로 재분류되었다. 즉, K-T 멸종 이후에도 살아남은 유일한 공룡 분류인 셈이다.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파충류로서의 공룡과는 모습에 큰 차이가 있으나, 데이노니쿠스에 관한 연구 이후 공룡이 정온동물이었다는 가설도 힘을 얻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수많은 깃털 공룡 화석이 발견됨에 따라 대부분의 수각류 공룡도 현생 조류처럼 깃털이 있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가설하에 복원된 수각류 공룡들은 타조악어를 합친 모습을 연상케한다.
인간을 제외한 꿈을 꾸는 유일한 동물로 한때 알려져 있었지만, 포유류와 파충류도 꿈을 꾼다는 사실이 알려졌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vertebrate.png
우리가 흔히 '파충류'라고 하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조류와 포유류를 제외한 양막류의 총칭이므로 제대로 된 계통군이 아니라 외관에 의한 편의성으로 분류한 측계통군이다. 조류와 포유류 계통군은 각각 제대로 된 단계통군이다. 더 자세히는 파충류 항목 참조.

포유류,새 등 대형동물을 연구하는 학생들이나 과학관,동물병원의 직원 같은 경우에는 이들의 박제를 쉬이 접하게 되며, 직접 박제를 만드는 수업이나 아르바이트도 받을 수 있다.

3시간 8분 37초의 나이팅게일의 울음소리 음원이다.

2 기본적인 설명

척추동물의 한 종류로 알을 낳아서 번식하며 날개부리가 있고, 몸이 깃털로 덮여 있는 정온동물의 총칭. 물론 이 특징들은 조류만 가지고 있는 특징은 아니지만 이 특징을 전부 가지고 있는 건 조류뿐이다.

타조펭귄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날 수 있기에 활동 공간이 3D라서 대부분 시력이 매우 좋으며 시야도 넓다. 또 잘 날 수 있도록 뼈 속은 공기로 차 있어 매우 가볍고, 신체에서 가슴 근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인간의 20배이다. 즉 인간이 아무리 팔에 날개 달아 봤자 새처럼 나는 건 불가능하다. 글라이더는 그저 바람을 타고 미끄러져 갈 뿐. 날 때는 무조건 퍼덕여서 나는 것은 아니며 활강을 섞어서 비행한다. 물론 벌새참새같은 작은 새는 무조건 퍼덕여야 한다. 때문에 이런 새들은 몸무게에 비해 어마어마한 양의 먹이를 매일 먹어야 한다. 벌새는 먹이활동을 못하면 길어야 12시간 내에 사망하는데, 이유는 허기로 인한 저체온증. 그리고 제비나 독수리 같은 빠른 새들은 대부분 이 활강을 이용해서 먹이를 잡는다. 또한 포유류와는 호흡기관의 구조자체가 달라 산소이용률이 매우높다. 덕분에 이런 높은 대사율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며, 많은 새들이 높은 곳에 올라가도 고산병에 거의 걸리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고산병 항목을 참조 할 것.

양서류처럼 총배설강이 있으며, 소변과 대변을 섞어서 배설[1]하며 도망칠 때 조금이라도 몸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배설을 하면서 도망친다.[2]

이렇게 도망치다 지치면 일반적인 동물이나 사람처럼 부리를 벌리고 헉헉거리는데 사실 당연하지만 흔히 볼 수 있는 일이 아니기에 매우 신비로운 광경이다.

사람들에게 새를 그리라고 하면 보통 비둘기 비스무리한 것을 그린다. 근데 왠지 어리석다라는 비하성의 의도로 말할때 파충류와 함께 언급 되는 종류. 대부분의 조류에게 실례되는 말로 조류중 상당히 머리가 좋은 종이 매우 많다. 까마귀라든가[3] 케아앵무[4]등등. 그래서 멍청한 놈들이 석형류를 자기보다 멍청하다고 믿어 닭띠뱀띠를 싫어하는데 그것은 동물을 멍청하다고 생각하는 편견, 고정관념일 뿐 조류와 파충류도 영리한 동물이다. 모르면 나서지 말고 절대 동물을 비하하지 말자.

고립된 환경에 처하면 덩치가 작은 아종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포유류와는 반대로, 조류는 고립된 지역의 아종은 덩치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일부 학자는 파충류와 조류를 묶어서 석형류(蜥形類, Sauropsid)로 분류하기도 한다. 아니면 전통적으로 파충류라고 부르던 것을 그냥 조류를 제외한 파충류라고 부르든가. 실제로 어떤 전공 교재들은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조류의 출신이 출신이니만큼, 조류와 파충류를 따로 분류하는 것이 넌센스가 되는데 그렇다고 그냥 같이 묶기엔 일반적인 인식이 영 그렇지 않기 때문. 그리고 그 경우엔 타조가 "나는 기능이 퇴화된 예외적인 녀석"이 아니라 타조를 제외한 다른 조류들이 예외적인 녀석이 되는 셈이다.

옛날 사람들은 높은 것을 신성한 것과 동일시 했고, 그래서 하늘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래서 많은 경우 신화에서 주신은 태양처럼 하늘에 있는데,[5] 이 하늘에 접근할 수 있는 새는 천상계로 다가갈수 있는, 즉 지상을 초월하는 대상으로 숭배되었다. 새를 최고의 식재료로 대접하는 문화도 여기서 나왔고,[6] 독수리는 오랫동안 유럽에서 특권층의 상징이었으며 책 '사탄의 종말'에서는 새가 천사로 변하기도 한다.[7] 심지어 새가 성적인 것을 나타낼 때도 새만큼은 뭔가 더 고상한 것을 상징했다.[8] 그래서 엄청난 권력을 '나는 새도 떨어트릴 권세' 라고 비유하기도 한다. 지나가는 새에게 떨어지라고 명령하면 새도 그 명령에 따라 떨어진다는 비유적인 표현인 듯 하다. 실제로 비슷한 일이 중국에서 일어난 적이 있다.

3 조류가 아닌 것

4 대중 문화 속의 조류

컴퓨터에서 알집을 설치하고 나서 새 폴더(new folder)를 만들면 자동으로 새(bird) 이름으로 폴더를 만든다. 이것 자체가 사실상 이스터 에그. 그런데, 이를 계속하다 보면 새의 이름이 모자란지 "새 뻐꾸기", "새 새 병아리", "새 새 새 가마우지" 등 새 이름 앞에 새가 붙기 시작한다. 이것마저 다 떨어지면 어느 순간  "제발 그만좀 만들어" "쫌~~" "부탁이야" "새이름도 바닥났어" "정 그렇게 나온다면" 같은 폴더명이 나온다.

4.1 가공의 조류

5 관련 용어

6 참고 링크

위키백과
  1. 이 배설물은 PH4 정도의 강산성이므로 차량 외부에 묻은 채 그대로 두면 도색이 변하거나 고무류가 부식하는 등의 피해가 생길 수 있다. 묻으면 빨리 치우자.
  2. 조류는 배설물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생체 조직을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사람은 직장과 방광에 대소변을 각각 저장하지만, 조류는 비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조금이라도 무게를 줄이는 게 이익이기 때문에 배설물은 생성되는 즉시 체외로 버리는 것. 동일한 이유로, 상당수의 조류는 뼈 내부가 비어있다.
  3. 대략 여섯 살 정도의 사람에 해당하는 지능 수준이라고 한다.
  4. 지능이 가장 높은 새라는 이야기가 있다.
  5. Mircea Eliade,'성과 속',이은봉 옮김,한길사,1998
  6. 그래서 귀족이 아니면 새고기를 먹기 힘들었다고 한다.
  7. 질베르, 뒤랑, & 진형준. (2007).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문학동네,2007,p193
  8. Bachelard, Gaston. L'air et les songes: essay sur l'imagination du mouvement. Corti, 1943.p28-29
  9. 방언으로 빡새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박쥐를 조류로 오해한거와 일맥상통 할지도?
  10. 온라인게임 거상에서는 염라대왕을 거의 새취급 하기도 한다... 원인이 염라대왕이 드랍하는 유명계석이라는 아이템 때문인데 이게 생긴게 마치 알처럼생겨서 조류취급 당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