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고사우루스

부경고사우루스[1]
Pukyongosaurus millenniumi Dong et al., 200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용각아목(Sauropodomorpha)
미분류†티타노사우리아(Titanosauria)
†부경고사우루스속(Pukyongosaurus)
P. millenniumi (모식종)


한반도의 공룡의 부경고사우루스

부경사우루스가 아니다[2]

1 개요

우리나라의 경상남도 하동군의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디플로도쿠스류의 용각류 공룡. 1999년에 화석이 발굴되어 2001년에 명명되었다. 속명인 부경고사우루스는 발견자인 백인성 교수의 소속대학인 부경대학교에서 유래하였고 종명은 새천년이 시작될 무렵에 발견된 것에서 유래하였다.하지만 부경고등학교의 일부학생들은 부경고의 마스코트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다른 이름으로는 "천년부경룡"이라 불린다.

발견 부위는 경추 5개, 갈비뼈 1개, 쇄골 1개, 꼬리뼈 1개. 골격의 특징 등을 보면 중국에서 발견된 마멘치사우루스오메이사우루스와 가까운 종류로 보인다. 현재 부경대학교 교내에 전시중인 골격도 오메이사우루스를 바탕으로 복원한 것. 몸길이는 화석 비율을 계산하여 약 20m 가까이될 듯 보이나, 화석이 단편적이어서 이외의 신체 스펙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한때 지나치게 단편적인 정보 등으로 인해 의문명 상태로 취급되었지만 이후 부경고사우루스의 화석에서 티타노사우루스류의 특징이 발견되어 티타노사우루스류에 분류되면서 의문명에서 벗어났다.

2 대중매체

화석 상태가 안습인 만큼(...) 별 인지도는 없지만 그래도 EBS다큐멘터리 한반도의 공룡에 출연하긴 했다. 하지만 다큐가 워낙 막장인 만큼(...) 크기가 지나치게 부풀려져서 나오고[3] 복원 역시 잘못된 복원도로 나온다.[4]

오리온에서 초코파이 정 2016년 신년맞이 이벤트로 끼워 파는 3D퍼즐에 부경고사우루스가 있다.
  1. 사진은 부경대학교에 전시된 복원 골격.
  2. 부경(Pukyong)에 -o-가 붙으면서 앞의 g 발음이 살아난 것.
  3. 약 27m(?)로 나오지만 워낙 화석이 단편적이어서 정확한 크기 추정이 불가능하다.
  4. 극중에서는 목을 수직으로 세운 자세로 나오지만 실제 용각류의 경추 구조상 목을 수직으로 들어올리지 못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