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군단장

대한민국 육군의 지휘관
대(隊)급 지휘관 & 지휘자
분대장반장소대장중대장지역대장대장대대장연대장
부분대장 부소대장부중대장  부대대장부연대장
단(團)급 지휘관군(軍)급 지휘관
단장여단장사단장군단장야전군사령관집단군사령관
 부여단장부사단장부군단장부사령관
포병의 지휘관 & 지휘자사령부
포반장전포대장포대장사령관

{{틀:문서 가져옴| title=틀:육군편제단위| version=16}}

  • 한자: 副軍團長
  • 영어: Assistant Corps Commander

1 개요

군대의 각 군단 부지휘관으로 군단장 다음의 직위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해당 군단의 2인자인 셈이다. 원래는 군단장을 보좌하며 군단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행하기 위해 만든 보직이다. 하지만 실제 그 임무는 군단 참모장(준장)이 대신하며 부군단장은 전역 직전이거나 진급예정인 소장, 준장이 잠시 거쳐가는 직책화 되었다.

미합중국 육군의 경우 보통 부지휘관을 보통 2명 둔다. 전개(Maneuver)와 지원(Support) 임무를 맡는다. 둘 다 소장이 보임되며 참모장은 준장이 보임된다. 미군 기준으로 보면 일반 참모 기능 가운데 중요한 두 구분(작전과 군수)을 두어 이를 총괄하는 역할이 된다. 참모장은 기타 잡다한 참모들을 관리하고 가장 중요한 참모 기능 2개를 격상시킨 것. 즉 참모다.

2 특징

한국 육군의 부군단장은 군단당 1명이 보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역 직전의 소장, 준장이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1], 공석인 경우도 왕왕 있다. 평소에는 부군단장이 별 필요 없으나 군단급 FTX와 같은 훈련의 경우에는 군단 지휘부가 군단장(중장), 참모장(준장)만으로 운영되기 힘들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1. 3사 12기 출신의 예비역 소장 이진모 장군은 준장시절 1군단에서 부군단장을 맡았으며, 소장시절 마지막보직을 6군단 부군단장으로 지냈다. 준장, 소장 때 각각 부군단장을 맡아본 특이한 이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