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포대장

대한민국 육군의 지휘관
대(隊)급 지휘관 & 지휘자
분대장반장소대장중대장지역대장대장대대장연대장
부분대장 부소대장부중대장  부대대장부연대장
단(團)급 지휘관군(軍)급 지휘관
단장여단장사단장군단장야전군사령관집단군사령관
 부여단장부사단장부군단장부사령관
포병의 지휘관 & 지휘자사령부
포반장전포대장포대장사령관

{{틀:문서 가져옴| title=틀:육군편제단위| version=16}}

200px
전포대장의 직책표지[1]

1 개요

군대포병대대 예하의 중대급 부대인 포대에서 전포와 FDC를 통제, 지휘하는 직책. 보병으로 따지면 소대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계급은 보통 중위.

대한민국 국군 기준으로는 소대장과는 달리 각 포대당 1명밖에 없다. 그래서 전포대장은 포대의 거의 전부에 해당되는 병력을 휘하에 두며 통제하기 때문에 전포대장의 업무는 소대장보다는 중대장에 더 가깝다. 또한 포대에서는 장교라고는 포대의 장으로서 중대장에 해당되는 직책인 포대장과 그 밑의 전포대장 및 관측장교 세 사람 말고는 없고 여기서 관측장교가 빠져 버려서 결과적으로 포대에는 장교가 포대장과 전포대장 두 사람 외에는 딱히 없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2], 이런 경우 전포대장이라는 직책이 보병으로 치자면 소대장이라기 보다는 부중대장에 가깝게 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3] 차이가 있다면 보병의 부중대장이 제대로 완편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직책인 반면, 포병의 전포대장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필수적으로 완편이 되어야 하는 직책이라는 점.

전포대장은 이른바 포병 장교의 꽃이라 여겨진다. 혼자서 포대 업무의 전반을, 병력 지휘와 훈련 전반까지 도맡아 하는 만큼 그 책임과 포대 내의 권한은 소대장의 그것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예를 들자면 포대장이 없을 때는 포대가 돌아가는 데 문제는 없지만, 전포대장이 부재 시 포대 운영이 난감해진다던가… 포대 전술훈련 평가를 "전포대장"으로 대체하는 경우나, 포술경연대회에서의 비중을 생각해 보자면….

2 특징

현대포술이란 것이 많이 어려운데다가 홀로 임무를 수행해야 되고 몸으로 깨쳐야만 하는 임무의 특성상 FEBA 지역에서는 포병 장교로 임관하자마자 전포대장 직책을 맡는 경우는 거의 없다.[4] 물론 이것은 부대마다 차이가 있다. 군단 포병대대의 경우 처음 자대배치받은 초임 소위가 전포대장을 맡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5] 어차피 포대에는 포대장이 존재하고 대대본부로 올라오면 포 만질 일이 없게 되므로 초임 소위에게 전포대장으로 보직해 포대장 밑에서 포술이나 부대 통제 등을 배우고 중위 달면 대대본부로 올라와 행정 일을 익힌 후[6] 대위 달고 포대장이 되는 경로를 많이 거친다.

자신의 대대보병연대의 직접화력지원을 한다면 포대 내에 자신보다 짬이 안되는 관측장교들이 있기에 스트레스를 마음껏 풀 수 있으나,[7] 인근부대의 간접화력지원을 한다면 대대에서 관측반을 운영하기 때문에 관측장교가 포대에 없다. 따라서 포대장을 제외한 장교가 자기 한 명뿐인데 하사-중사 계급 부사관은 득시글거리는 안습한 상황이 될 수 있다(하지만 관측이 있어서 관측장교가 포대에 존재한다면 의외로 편할 수도 있다).

진지변환이 많은 훈련에서는 포대장, 행정보급관, 부전포대장(계급이 원사,해당 직책자가 없으면 전포사격통제관(보통 중사)이 대신 할 가능성이 높다), 전포사격통제관, 통신반장 등의 짬되는 간부들은 죄다 지휘차와 정찰차를 타고 선정찰을 나가는 관계로[8]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하루에 진지변환 7~8번 하면 그야말로 정신줄이 쏙 빠져나간다. 그렇게 이동하다가 전포대, 긴급임무, 긴급임무긴급 사격명령이 떨어지면 5분내로 가용진지를 찾아 방열을 끝내고 초탄을 쏴야하는데 FDC나 포반이 어리버리하면 지옥문이 열린다.

어쨌거나 꽤나 힘든 직책. 보병소대장과는 다르게 몸은 하나인데 요구하는 것이 너무 많다.물론 교육장교인사장교 같은 레알 헬보직들과 비교하면 그나마 낫다. 밑의 포반장(보병으로 따지면 분대장. 본래 부사관이 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사관이 부족한 부대는 병사가 하기도 한다)은 6명이나 된다. 전부 중하사급이다. 현재 병 포반장은 거의 사라지는 추세이며 그 자리를 전문하사로 대체하고 있다.[9]
  1. 보병에서는 이 직책표지부중대장의 직책표지로 사용하는 부대도 있다.
  2. 관측장교의 경우에는 대대 편제로 되어 있어서 포대에는 파견 형식으로 오는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 당연히 포대에 장교라고는 포대장과 전포대장 두 사람 밖에 없게 된다.
  3. 포병의 전포대장과 보병부중대장직책표지가 동일한 이유도 그래서인 모양.
  4. 포병학교를 막 수료하는 소위들 상당수의 지식수준상태가 전포대장을 바로 맡기엔 무리가 있다. 의외로 공부 빡세게 안하는 인원들이 많아서..
  5. 군단포병은 포대내에서 자체 관측반을 운영하지 않고 표적을 군단으로부터 하달받기 때문에 포대 내 관측장교 보직이 없다. 그러므로 OBC(Officer Basic Course)를 마친 햇병아리 포병장교가 자대로 배치받음과 동시에 전포대장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전포대장 임무라는게 포대 내 포반장들을 아우르며 전포사격통제관과의 힘겨루기도 해 가며 포대장 비위도 맞추어야 하는 임무라, 신임 쏘가리가 한 두달해서 익히기에는… 애로사항이 꽃이 핀다….전포대장의 애로사항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자기보다 경력많은 간부포반장, 전포사격통제관, 행보관 등 부사관이 우글거려 이들을 통솔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전포대장이 좀만 실수해도 포대장은 바로 그 자리에서 쌍욕을 퍼붓는다.
  6. 그러나 단기복무 장교 특히 학군출신들은 2년 내내 전포대장만 맡다 전역하는 경우도 있다.
  7. 다만 간혹 가다가 관측장교가 전포대장보다 짬이 많은 포대도 존재하므로 주의할 것.
  8. 포대장이 지휘차에, 전사관·사통관(부대마다 약자가 다르다)이 정찰차에 선탑하고 이들과 운전병을 제외한 나머지는 각 차량의 적재함에 탄다.
  9. 간부포반장이더라도 바로 밑에 병 분대장이 있다. 즉, 1개의 포반에 간부포반장과 병 분대장이 함께 있는 것이다. 아무래도 간부포반장은 내무생활을 하지 않고, 출퇴근을 하므로(특히 기준포인 3포반은 포반장이 중사일 가능성이 99%다.) 병 분대장이 있는 것이다. 부대상황에 따라 병 분대장이 견장을 차는 곳도 있고, 차지 않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