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군대 관련 정보
대한민국 육군의 지휘관 | |||||||
대(隊)급 지휘관 & 지휘자 | |||||||
분대장 | 반장 | 소대장 | 중대장 | 지역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
부분대장 | 부소대장 | 부중대장 | 부대대장 | 부연대장 | |||
단(團)급 지휘관 | 군(軍)급 지휘관 | ||||||
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군단장 | 야전군사령관 | 집단군사령관 | ||
부여단장 | 부사단장 | 부군단장 | 부사령관 | ||||
포병의 지휘관 & 지휘자 | 사령부 | ||||||
포반장 | 전포대장 | 포대장 | 사령관 |
{{틀:문서 가져옴| title=틀:육군편제단위| version=16}}
1 개요
Field Army Commander. 野戰軍司令官. 군대에서 육군의 작전술 제대인 야전군의 지휘관. 계급은 대장이다. 해, 공군의 작전사령부에 대응한다.[1]
그동안 야전군사령관은 '군사령관'으로 축약해서 불러왔으나 2013년 5월 14일 군인사법 시행령의 개정으로 육군의 군사령관은 '야전군사령관'으로 명칭이 공식화되게 되었다. 뉴시스 기사
2 보직
대한민국 육군은 창군이래 전방을 맡고있는 1야전군과 후방지역 방어를 담당하는 2야전군 등 2개 야전군사령부밖에 없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이 10월 유신을 선포한 뒤 1973년 7월 전방경계를 강화하기 위해 1야전군사령부 중 경기도 지역 중서부전선을 떼내 3야전군을 창설하면서 3개 야전군사령부 체체로 개편됐다. 이렇게 우리 육군은 2007년 상반기까지는 강원도의 제1야전군, 경기도와 수도권의 제3야전군, 그 이외의 경상·전라·충청 지역을 담당하는 제2야전군 등 총 3개 야전군이 있었기에 야전군사령관 자리도 셋이었다. 그러다가 2007년 11월 1일 제2야전군이 「국방개혁 2020」에 따른 야전군급 부대 개편의 일환으로 제2작전사령부로 새롭게 바뀌어 야전군사령관은 형식상 두 자리밖에 없게 됐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제2작전사령관도 같은 야전군사령관이다.
야전군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의 지휘아래 일선 군단, 사단을 통할하는 역할을 맡는다. 말그대로 야전 실병력을 거느리고 있어 대장 직위 중에는 유사시에 가장 큰 무력의 위세를 발휘할 수 있는 직책이다. 또한 육군사관학교 출신 엘리트 장교도 흠없이 잘 올라가야 앉을 수 있는 지고의 위치이기도 하다. 북한과 접해 있는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의 사령관 자리는 육사 출신 이외에는 보임이 거의 안 된다고 보면 된다. 반면에 제2작전사령관은 非육사 출신 장성이 보임되는 경우가 비교적 많은데, 사실상 육군에서 非육사 출신이 대장 계급을 달 수 있는 유일한 자리였다. 2011년 상반기까지 학군 출신 5명, 3사 출신 1명 등 총 6명의 대장이 제2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이처럼 3사나 학군단 같은 非육사 출신 장성은 대장이 되어도 1야전군이나 3야전군사령관은 맡지 못하는 것이 관례처럼 이어져 왔지만, 2011년 하반기 대장급 인사에서 3사 출신 최초의 1야전군사령관이 탄생했다. 어쨌든 야전군사령관은 계급으로 보나 직위로 보나 대한민국 육군 최고의 자리로 육사, 非육사 할 것 없이 '최종목표'인 셈이다.
3개의 야전군사령관직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자리는 서울-평양 축선과 서울-원산 축선 등 중서부전선과 수도권 방위를 담당하는 3야전군사령관이다. 3야전군은 병력 수만 해도 육군 전체의 40%를 넘으며 주요 전투장비와 기갑 및 기계화부대를 포함한 전투력을 평가하면 절반을 웃돈다[2].이렇게 육군의 주력이 포진하고 있는 등 유사시 정권안보에 절대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만큼 군사정권 시절에는 가장 통수권자와 정치적 교감이 진한 인물이 사령관에 임명되어 왔었다. 12.12 당시 3야전군사령관 이건영 중장이 보안사령관 전두환 등의 신군부 군사반란 세력에 처음에 반발, 전두환이 한때 수세에 몰리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사례로도 3야전군사령관의 정치적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때문에 5공화국 들어 신군부 세력은 예외없이 하나회 출신이거나 하나회의 후견인을 3야전군사령관에 앉혔다. 5공 이후 3야전군사령관을 지낸 사람은 제5대 사령관 유학성 대장부터 6대 황영시, 7대 정호용, 8대 박희도, 9대 최세창, 10대 고명승, 11대 신말업, 12대 구창회 등 8명. 이 가운데 유학성과 황영시 두 사람은 하나회의 후견인들이었고 나머지 6명은 전부 하나회 소속이다.
이에 비해 동부전선 방위를 담당하는 1야전군사령관은 3야전군사령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감이 떨어지는 편. 5공 이후 임명된 1야전군사령관은 제16대 사령관 윤성민 대장을 시작으로 17대 김윤호, 18대 소준열, 19대 정진권, 20대 안필준, 21대 정호근, 22대 이진삼, 23대 이문석, 24대 조남풍 등 9명이다. 이중 하나회 소속은 안필준, 이진삼, 이문석, 조남풍 등 4명으로 1야전군사령관은 더러 非하나회 출신들이 섞여있던 것에 비교하면 3야전군사령관이 얼마나 중요하게 여겨졌는지를 알 수 있다.
영·호남과 호서지역 방어를 담당하는 2작전사령부는 실병력도 적은 등 3개 야전군사령부 중 가장 말석이다. 그러나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등 북한의 후방 해안지역을 통한 간첩침투 사례가 늘면서 해안경비를 맡는 실병력도 많이 충원됐다.
3 참조
- 위키백과의 야전군사령관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