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장

대한민국 육군의 지휘관
대(隊)급 지휘관 & 지휘자
분대장반장소대장중대장지역대장대장대대장연대장
부분대장 부소대장부중대장  부대대장부연대장
단(團)급 지휘관군(軍)급 지휘관
단장여단장사단장군단장야전군사령관집단군사령관
 부여단장부사단장부군단장부사령관
포병의 지휘관 & 지휘자사령부
포반장전포대장포대장사령관

{{틀:문서 가져옴| title=틀:육군편제단위| version=16}}

200px
대대장의 직책표지

1 개요

大隊長. Battalion Commander. 육군 기준으로 최소 단위 전술제대인 대대의 지휘관.大大長이 아니다

대개 중령이 보임되며 장교로 임관하여 고생끝에 진정한 장교로서 지휘권을 누려볼 수 있는 단계이다. 어떻게 보면 장교에게는 이때가 군생활의 진정한 시작인 셈이다. 다만 동원사단에서는 소령이 보임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편제인원이 너무 적어서이기 때문이다. 독립부대 지휘관으로서 그동안 여러 보직을 거치면서 얻은 지식과 경험은 모두 이 자리를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임기는 대개 2년 가까이. 하지만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때문에 48개월로 강제 연장하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당장 중대장은 이미 강제 연장 되었다.

2 특징

독립된 하나의 부대를 지휘하기에, 자대의 모든 장교와 부사관이 떠받든다. 지휘관으로서 당번병, 운전병, 전용 군차량이 따로 나오며 숙식의 모든 부분에 있어 항상 최고급으로 대접받기 때문에, 장교들이 고생해서 올라간 만큼 가장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병사들 입장에서는 ...까지는 아니고 한 나라의 임금님 같은 존재. 심지어 연대장이나 사단장도 공적인 회의 같은 자리에선 대대장에게 해요체로 존댓말 써준다. 연대본부나 군단본부 등 상급제대로 가지 않는 이상 연대장이나 군단장을 볼 일이 없으니, 실질적으로 만날 확률이 높은 사람 중 제일 높은 사람이 대대장이라 할 수 있다. 단, GOP 근무자의 경우 이틀에 한 번꼴로 전방철책을 순찰하러 오는 연대장을 응대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많지 않은 예이다.

이러한 좋은 대우 외에도 자기 생각대로 부대를 직접 지휘하고 훈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기의 생각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장교에게는 보상인 셈. 하지만 상급부대와 인접해 있거나 가까이에 있다면 아무래도 그 위세는 많이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상급부대 지휘관(연대장 혹은 여단장)을 직접 대면하고 보고할 일이 많다보니 여기서 오는 스트레스도 상당하다. 대대에 무슨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지휘관이 직속상관에게 대면보고 해야할 일도 생긴다. 병참, 회계 등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시 그에 대한 해결을 위해 대대장이 직접 상급부대로 올라가서 보고를 할 때도 있기 때문에 지휘부담이 절대로 적지 않다. 군단 직할 공병대대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대대장이 부군단장(준장)에게 직접 보고할 뻔한 일도 있었다.

중대장까지는 지휘책임이 그나마 좀 덜하지만 대대장은 대대 전체를 책임지기에 책임은 더 크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오는 수백 명의 병사들이 무슨 문제를 일으킬지는 아무도 모른다. 한국군미군과는 달리 부하가 잘못하면 진상조사 없이 직속상관을 무조건 보직해임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그동안 군생활 잘해오다가 이 시기에 사고가 터져 일이 꼬여버릴 수도 있다. 미군의 경우 병사가 사고를 내면 지휘관이 지휘를 잘못해서 사고가 난 것인지 아니면 사고자가 원래 사고를 칠 놈인지를 파악해서 지휘잘못이 있을 경우에만 보직해임을 시키지만 한국군은 이런 점이 부족하다. 사고가 나면 제일 먼저 고려하는 행동이 해당 지휘관의 보직해임이다. 정말 유능하고 열정적인 장교가 웬 또라이 병하나 때문에 옷벗는 사례가 속출하는 실정이다.한마디로 국가에 도움이 될만한 사람이 짤리는거다. 군대는 미군처럼 해야한다. 또한 이렇게 되지 않기 위해 군 내에 보신주의 문화가 만연하고 있다는 비판도 많다. 다만 과거 개인사고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고에 대해 지휘관의 책임을 묻던 것을 이제는 개인책임과 지휘책임을 엄격히 구분해 적용함으로써 사고 지휘관의 문책비율이 2010년 43%에서 2011년에는 6%로 감소하였다고 한다. 기사 사고가 났을 시 지휘책임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듯.

대대장부터는 지휘관 보직을 이수하면 정복에 약장을 달 수 있다. 모양은 육군 기준으로 녹색 바탕에 흰색의 굵은 선이 세로로 두줄 그어져 있다.

독일군의 경우 참모 장교와 지휘자 장교가 겹치는 유일한 보직이다. 다만 의미는 정반대인데 지휘자 장교는 소대장과 중대장을 거쳐 마지막으로 도달하는 자리인 반면 참모 장교는 위관급 장교시절 내내 대대급 이상에서 참모 보직만 수행하다가 이제서야 비로소 처음으로 담당하게 되는 지휘관 보직이다.

3 공군

대한민국 공군의 지휘관
편대장대대장전대장비행단장공군기능사령관공군작전사령관
중대장포대장방공유도탄여단장

{{틀:문서 가져옴| title=틀:공군편제단위| version=8}}


大隊長. squadron leader.

공군 또한 대대장 보직을 사용하며 비행대대장, 관제대대장, 포대장 등이 있다. 다만 공군은 보통 비행단에 모여살기 때문에 대대장 정도로는 임금님 취급 받기 힘들다(...) 물론 중령이라는 계급 자체의 위력은 별반 다르지 않지만, 병사 입장에서야 중령 위에 대령도 있고 준장도 있고 상급부대같은 경우는 소장이나 중장도 있으니 그렇게까지야 높아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사이트나 포대에서는 보통 중령이 제일 높기 때문에 대대장 파워가 육군만큼 센 듯하다.